본 발명은 인삼의 재배과정에서 해양심층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여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인삼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인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인삼의 제조방법은 진세노사이드를 포함하는 기능성 성분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 성분이 개선된 인삼의 제조방법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인삼은 특정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이 유의하게 개선된 기능성 성분이 증진된 인삼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발명은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불규칙한 피부 표면에 발병한 피부암 치료를 위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한 원격 후장착 방사선 근접 치료 장치는 3D 스캐닝 및/또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환자 맞춤형 어플리케이터를 통해 환부와 일정한 간격으로 치료용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위치시킬 수 있고, 일정한 두께의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위치시켜, 균질한 처방선량을 전달할 수 있으며, 액상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함으로써 불규칙한 환자의 피부 표면에 유연한 적용이 가능하고, 액상 베타선원 또는 저에너지 감마선원을 사용할 수 있어, 정상 조직의 방사선 피폭을 최소화하여, 기존 외과적 수술 혹은 방사선 치료 기법으로 치료가 어려운 피부암 환자에게 합병증 없이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방사성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환자의 치료를 수행하는 의료진 및 작업자의 방사선 피폭을 원격 후장착을 통해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방사선 치료기기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기공명영상유도 방사선 치료기기의 정도관리를 위한 팬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방사선 치료기기의 정도관리를 위한 팬톰은 자기공명영상유도 방사선 치료기기의 주기적 정도관리를 위한 영상 및 방사선 품질을 동시에, 매우 정밀하게 검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공명영상유도 방사선 치료기기 외에도 여러 종류의 방사선 치료기기의 다양한 정도관리 항목을 수행함으로써, 임상에서의 정교하고 정확한 방사선 치료를 가능하게 하며,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개시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에 있어서,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경피적 폐생검 시술례에서 추출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기반으로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환자에 대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추출하는 단계; 환자의 추출된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하는 단계; 위험도 예측 확률 모델을 사용하여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 인자에 따른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계산하는 단계; 그리고 계산된 환자의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피적 폐생검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바늘 삽입형 중재시술 로봇 장치에 있어서, 수술장 영상에 수술 계획 정보를 통합하는 컴퓨터;로서, 이질성을 가지는 환부(heterogeneous surgical target)의 가장 자리(border) 상의 목표점(target point) 및 바늘형 의료 도구의 삽입 경로를 포함하는 수술 계획 정보를 수술장 영상에 통합하는 컴퓨터; 바늘형 의료 도구를 구비하는 로봇;으로서, 바늘형 의료 도구가 삽입 경로를 따르도록 컴퓨터의 지시에 따라 동작하는 로봇; 그리고 컴퓨터와 연동되어 수술 계획 정보가 통합된 수술장 영상을 사용하여 환부의 가장 자리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로서, 수술 계획에 따라 로봇이 동작할 때 목표점에 대한 바늘형 의료 도구의 끝의 예상 도달 위치를 보여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늘 삽입형 중재시술 로봇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믹신 B 및 콜라게나아제를 이용한 췌도세포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를 이용한 췌도세포 분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콜라게나아제 처리시 폴리믹신 B(polymixin B)를 추가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췌도세포 분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췌도세포 분리방법은 콜라게나아제에 혼입되어 있는 엔도톡신의 작용을 저해함으로써 췌도세포의 피해를 막아주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으로 췌도세포를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췌도세포 분리방법은 췌도세포 이식시 효과가 뛰어난 우수한 품질의 췌도세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 지향적 전자 임상시험 데이터 관리시스템은 데이터의 입력 또는 수정에 대한 데이터 권한이 개별적으로 부여된 담당자 데이터와 임상 피험자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객체 데이터가 계층 구조를 가지는 복수 개의 데이터그룹으로 디자인된 eCRF가 저장된 메인저장부; 각 객체 데이터마다 로그인 정보에 해당하는 데이터 권한이 부여된 상기 eCRF를 로그인에 의하여 접속한 담당자에게 전송하는 객체 전송부; 상기 담당자로부터 입력된 입력 데이터를 결합시켜 상기 eCRF가 갱신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입력 데이터가 기 설정된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경우 이에 대한 쿼리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하고 생성된 쿼리정보를 해당 담당자에게 전송하는 데이터 확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더욱 사용자 지향적인 데이터 입력 및 수정 인터페이싱 환경을 통하여 데이터 가공, 분리 및 활용 등의 효율성을 더욱 제고시킴과 동시에 데이터 신뢰성을 더욱 간단하고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전자 임상시험 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준 컬러 테이블이 포함된 대상 인물의 정면 컬러 영상 및 여러 각도의 측면 컬러 영상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하거나, 상기 카메라와 설정된 각도만큼 이격된 각도로 상기 대상 인물에 일정한 패턴을 가진 구조화된 빛(Structured Light)을 조사하여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을 카메라를 이용하여 획득한 후, 상기 정면 영상과 측면 영상에서 기준 컬러 테이블 영역을 검출하여 기준 컬러 테이블의 컬러값과 일치되도록 상기 정면 영상과 측면 영상의 컬러값을 보정한다. 그리고, 컬러가 보정된 정면 영상과 측면 영상에서 기준 컬러 테이블 영역을 제거한 후 눈, 입에 해당하는 영역의 특징점 좌표를 추출하고, 정면 영상과 측면 영상에서 서로 대응되는 특징점 좌표를 매칭시켜 하나의 3차원 텍스쳐를 형성하고, 획득한 정면 영상 및 측면 영상에서 상기 구조화된 빛의 변형된 정도에 따라 모든 픽셀의 깊이 정보를 추출하거나 특징점을 매칭시켜 공간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특징점 좌표를 기준으로 상기 깊이 정보를 결합 또는 반영한 3차원 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되어, 폐쇄된 공간이 아닌 개방된 공간에서 촬영하여도 정확한 컬러값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시점에서 본 영상으로 3차원 영상 정보를 획득가능하며, 3차원 모델링시 광원 변화 정보를 이용하여 음영이 진 굴곡진 곳에서도 정확한 매칭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호장근을 알콜 또는 알콜 수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된 추출액을 여과하고 감압 농축하여 얻어지는 호장근 추출물 및 상기 호장근 추출물을 노르말 헥산, 에칠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순으로 계통분리하여 얻어지는 에칠아세테이트층 분획물, 부탄올층 분휙물을 이용한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초미세분쇄 기질의 액상 발효에 적합한 홍국균주 및 홍국 액상발효 공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초미세분쇄화 기술을 활용해 미립화된 기질의 액상 발효에 적합한 모나스커스(Monascus sp.)RY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홍국 액상발효 공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액상발효 공정은 홍국 발효가 용이하고 발효시간 단축 및 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알콜발효, 초산발효, 젖산발효 및 청국장발효 등에 다양하게 활용하여 홍국을 이용한 웰빙식품 개발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AB 타입 세균 독소(AB5 toxin)의 톡신 B-서브유닛(toxin B-subunit)이 결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AB 타입 세균 독소가 결여된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성을 보유하는 하나의 A-서브유닛과 세포수용체와 결합하는 한 개 또는 다수의 B-서브유닛 단백질들이 결합하여 하나의 톡신 집합체(holotoxin)를 구성하는 AB-타입의 세균 독소(bacterial exotoxin)를 산생하는 병원성 세균들에서, 상기 톡신 B-서브유닛의 기능적 발현을 중지시킨 돌연변이체에서는 독성을 나타내는 효소적 활성부위를 가진 A-서브유닛 단백질이 세포질에서의 발현은 이루어지지만, 톡신의 A-B 서브유닛간 합체와 균체 외부로의 분비로 연결되는 페리플라즘(periplasm)에서는 존재하지 않고, 상기 돌연변이체에서 분비된 외막소포체(OMV)의 독성이 정상 균주에 비해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톡신 B-서브유닛 결손에 의해 AB 타입 세균 독소가 결여된 균주, 및 이로부터 분비 생산된 외막소포체(OMV)는 감염성 질환을 위한 백신 조성물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글리세롤 또는 폐글리세롤을 탄소원으로 하여 에탄올 생성능이 증가된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알콜 디하이드로지네이즈 Ⅱ(alcohol dehydrogenase Ⅱ, AdhⅡ)의 효소활성이 증가되어 있고 1,3-프로판디올 옥시더리덕타제(1,3-propanediol oxidoreductase, DhaT)의 효소활성이 감소되어 있는 글리세롤 또는 폐글리세롤로부터 에탄올 고생성능을 가지는 변이 미생물에서,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 A(Lactate dehydrogenase A, LdhA)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결실시키거나 피루베이트 디하이드로게나아제(pyruvate dehydrogenase, Pdc) 및 알데하이드 디하이드로게나아제 Ⅱ(aldehyde dehydrogenase Ⅱ, AldhⅡ)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과발현시킨 새로운 변이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에탄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XY-플로터를 이용한 모듈형 종이 기반의 미세 유체 바이오센서 제작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X축 방향으로 종이 기판을 공급하는 공급부와, 공급부에서 공급되는 종이 기판에 설계된 패턴을 Y축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인쇄하는 XY-플롯부와, XY-플롯부에서 인쇄된 패턴을 X축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종이 기판에 인쇄된 패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절단시키는 레이저 커팅부와, 레이저 커팅부에서 절단된 패턴에 의해 구획된 패턴영역과 기판영역 사이를 연결시키는 브릿지(BRIDGE)에 소수성의 왁스로 패턴을 인쇄하는 왁싱패턴부와, 브릿지(BRIDGE)에 설치된 왁스를 가열하여 브릿지(BRIDGE)의 내측으로 침투시키는 히팅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브릿지를 통하여 시약의 번짐이 방지될 수 있다.
레이저 가공된 포토마스크를 이용한 미세유체칩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멤브레인에 레이저빔을 조사하여 절단 가공되어 미세유체칩의 구조와 일치되는 형상으로 포토마스크를 제조하는 a)단계와, 포토마스크를 이용하여 미세유체칩의 구조가 양각된 미세유체칩 몰드를 제작하는 b)단계와, 미세유체칩 몰드에 경화형 수지를 도포 및 경화시켜 미세유체칩 몰드의 양각된 구조물이 음각화된 레플리카를 제조하고, 레플리카를 칩기판에 실장하여 미세유체칩을 제조하는 c)단계;를 포함하는 레이저 가공된 포토마스크를 이용한 미세유체칩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을 갖는 미세유체칩을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어 상용화 및 대량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