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핵연료봉 제조용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봉단마개와 피복관을 용접하는 과정에서 용접 비드(weld bead) 발생을 방지하여 용접 공정 이후에 용접부에 대한 연삭 공정을 배제할 수 있는 핵연료봉 제조용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 피복관(110)이 삽입 위치하도록 관통 형성된 관통홀이 형성된 튜브전극(210)과, 상기 피복관(110) 일단과 용접 고정이 이루어지는 봉단마개(120)를 고정하는 마개전극(220)을 포함하여 피복관(110)과 봉단마개(120)를 용접하기 위한 용접장치에 있어서, 상기 튜브전극(210)은 상기 관통홀을 감싸도록 몸체(211)의 표면 일부에 절연체(212)가 마련되며, 상기 절연체(212)는 개구부에 상기 관통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인입 형성된 스텝(S)을 포함하여, 튜브전극과 봉단마개 사이의 미세한 갭(gap) 설정으로 인하여 아크 또는 누설전류로 발생할 수 있는 핵연료봉의 용접 품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핵연료집합체용 하단고정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핵연료집합체용 하단고정체의 이물질 여과 성능을 향상하고 냉각수 분배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하단고정체에 형성되는 유로홀 사이에 프로펠러형 여과유닛을 포함하는, 향상된 이물질 여과성능을 제공하는 핵연료집합체용 하단고정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향상된 이물질 여과성능을 제공하는 핵연료집합체용 하단고정체는, 핵연료집합체용 하단고정체에 있어서, 냉각수의 유동을 위한 복수의 유로홀(120)이 형성되는 플레이트(110); 및 복수의 유로홀(120) 중 적어도 일부 내에 형성되는 프로펠러 형태의 여과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핵연료집합체용 하단고정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핵연료집합체용 하단고정체의 이물질 여과 성능을 향상하고 냉각수 분배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유로홀 사이에 이물질 여과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여과장치가 형성되는 핵연료집합체용 하단고정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여과장치가 형성되는 핵연료집합체용 하단고정체는 상면에 형성되는 플레이트(110); 및 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로홀(120)로서, 복수의 유로홀(120) 중 적어도 일부는 복수의 가로요소(112) 및 가로요소(112)에 수직인 세로요소(114)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되는 복수의 유로홀(120)을 포함하고, 가로요소(112)와 세로요소(114)가 만나는 부분에는 연결홀(130)이 형성되며, 복수의 유로홀(120) 안에는 연결홀(130)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면서 동시에 플레이트(110)의 두께방향으로 곡선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윙(14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특히 하단고정체에 형성되는 유로홀에 이물질이 방지되도록 삽입형 이물질여과장치를 가지는 핵연료집합체의 하단고정체에 관한 것으로서, 다수의 유로홀이 형성되는 유로판 및, 유로판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유로판을 지지하는 하부 다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와; 상기 유로홀 내주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로홀 저면에 삽입되는 부재로서, 유로홀 내주면과 일정 폭 만큼 이격되게 유로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일정 폭 만큼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냉각수가 상승되고, 냉각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은 상기 베이스 저면에 잔류함으로써 냉각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이 걸러지게 형성되는 삽입구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삽입 여과부;로 구성됨으로써, 하단고정체의 제작 과정에서 이물질 거름 수단이 미리 조립될 수 있고, 이물질 거름 수단이 조립되더라도 하단고정체 자체의 부피 외에 추가적으로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면서 또한 냉각수의 온도 상승이 방지되며, 냉각수의 원활한 흐름은 계속 유지될 수 있는 삽입형 이물질여과장치를 가지는 핵연료집합체의 하단고정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핵연료집합체용 상단고정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핵연료집합체의 상단고정체와 연료봉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물결형태의 유로판을 구비하는 핵연료집합체용 상단고정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물결형태의 유로판을 구비하는 핵연료집합체용 상단고정체(100)는, 핵연료집합체용 상단고정체로서, 하부에 형성되고 안내관 연결을 위한 안내관 결합부(104), 계측관 연결을 위한 계측관 결합부(106) 및 냉각수의 유동을 위한 복수의 유로홀(108)을 구비하는 유로판(102)을 포함하고, 유로판(102)의 하부면에는, 유로판(102) 하측에 배치되는 연료봉(10)과의 간극 유지를 위하여 유로판(102)의 제1 방향으로 반원형의 컷아웃부(110)가 형성되고, 반원형의 컷아웃부(110)는 제1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제2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중량 롱 볼트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형설비의 롱 볼트 분해와 체결시 롱 볼트를 안내하도록 볼트 홀의 입구에 설치되는 원통형 관부와, 롱 볼트의 안내시 롱 볼트를 잡거나 풀어주도록 원통형 관부의 입구 내주면에 가변적으로 돌출시키 수 있도록 다수개 설치되는 가변형 베어링부와, 상기 원통형 관부의 회전과 가변형 베어링부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원통형 관부의 입구 둘레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호형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이동제한 판부와, 상기 가변형 베어링부와 함께 이동 후 이동제한 판에 일시 결합시켜 가변형 베어링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 관부의 양측 둘레 내부에 설치되는 키이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대형설비의 고중량 롱 볼트를 수평상태에서 분해 및 체결 시 가이드장치의 내측에 설치된 가변형 베어링의 세팅을 통해 센터링을 유지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분해 및 체결 작업공정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열관을 세척할 수 있는 전열관 세정 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의 관지지판 및 전열관에 축적된 슬러지(sludge) 및 스케일(scale)을 세정할 수 있도록 한 다중 격발 구조를 갖는 세정 건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내부를 세척하는 세정 건에 있어서,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압축공기를 유입하여 선택적으로 토출할 수 있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의해 구동되는 격발부와, 상기 격발부 끝단에 결합되어 압축공기를 최종적으로 토출하는 노즐부를 포함하는 다중 격발구조를 갖는 세정건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용 다종류 절단 휠 연결장치는 전동 그라인더와 연결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연결모듈의 상측에 결합되어, 서로 다른 지름의 제 1 내지 제 3 절단 휠을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제 1 지름을 가지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지름보다 작은 제 2 지름을 가지는 제 1 지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지름보다 작은 제 3 지름을 가지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차의 위킷 게이트 인출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중앙에는 제1 나사체결홀이 관통형성되고,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제2 나사체결홀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2 나사체결홀과 위킷 게이트 암의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4 나사체결홀을 일치시킨 후 나사체결되는 원판; 상기 원판의 제1 나사체결홀과 체결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수직봉; 상기 수직봉의 일측단에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하는 핸들; 및 중심부근에는 복수 개의 제3 나사체결홀이 형성되고, 양측단에 체결부가 구비되는 리프트판을 포함하여, 위킷 게이트 인출 작업시 발생하는 스틱 슬립을 줄이고, 위킷 게이트가 인출 작업시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힘의 집중으로 인해 케이싱과 위킷 게이트 암 및 위킷 게이트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위킷 게이트가 기울어진 상태로 인출되어서 발생하는 흔들림을 줄임으로써 안전사고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발전소 또는 산업용 플랜트의 취수구에 설치되는 바스크린(Bar Screen)을 청소하는 취수구 바스크린 클리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바스크린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한 여러 구성요소들이 설치되는 프레임(110)과,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스크린을 따라 이동하는 주행 이동수단(120)과,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바스크린의 레인과 레인 사이 공간을 통과하는 회전 클리닝수단(130, 140), 및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바스크린을 향하는 노즐로부터 물이 분사되는 물 분사수단(15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취수구 바스크린 클리닝장치는 종래기술에 비해 대단위 면적의 취수구 바스크린을 보다 신속하면서도 효과적으로 청소함으로써 바스크린의 청소작업능률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물을 분사하면서 바스크린에 부착된 부착물을 제거하지 않는 자동화 방식으로, 바스크린의 청소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인력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안전사고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배기용 다중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커넥터에 2종의 서로 다른 규격의 배관 연결 사용이 가능하게 됨으로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작업시간 단축에 따른 작업자의 피폭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커넥터 본체(10)의 일측에는 굽힘배관(20)이 커플링(30)에 의해 체결되는 커플링 체결부(11)가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 본체(10)의 타측에는 튜브배관(40)이 엔드캡 밸브(50)에 의해 체결되는 밸브 체결부(12)가 구비되며; 상기 밸브 체결부(12)는 구경을 달리하는 제1탭부(12a)와 제2탭부(12b)가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기의 세관 및 열교환기의 전열관에서 발생된 미세피팅을 검출하기 위한 표준 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두께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정한 위치에 형성된 φ1.3mm의 핀홀과, φ1.3mm의 핀홀로부터 일정 거리에 위치하고 φ1.3mm의 핀홀의 80% 의 깊이로 형성된 80% 핀홀과, 상기 φ1.3mm의 핀홀에 의해서 검출되는 미세피팅보다 작은 미세피팅에 대하여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추가 핀홀을 포함하고; 추가핀홀은 φ0.6mm의 핀홀, φ0.4mm의 핀홀, φ0.2mm의 핀홀을 포함하여 실시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원자력 발전소의 계획 예방 정비시에 터빈 밸브 작동기를 분해, 점검, 조립 공정에서 작동기를 안전하게 분해하고 균형을 유지하며 방향전환 등다용도로 활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동기 플랜지의 가장자리 외측부분과 서로 면접촉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스커트부와; 상기 스커트부의 상향으로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슬링을 끼워 결합하기 위한 슬링결합공이 형성된 인양부와; 그리고 작동기 플랜지를 끼워 결합하기 위하여 수평으로 연장되고 작동기 플랜지를 서로 체결구에 의하여 고정 결합하기 위한 고정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스커트부 및 상기 인양부와 함께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돌부;를 포함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터빈 밸브 작동기의 다용도 취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잔류응력개선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연결부재의 하부에 일부분이 고정설치되며 유압의 공급에 따라 택일적으로 신장축소될 수 있도록 한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하부에 고정결합되는 가압부재와, 소성변형을 일으키고자 하는 배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신장축소에 따라 배관을 가압하는 압축링을 포함하는 잔류응력개선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전동기 3상 전류신호의 합성을 통한 기기결함 신호의 해상도 증가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동기의 전원 케이블(3상)에 전류 센서인 클램프 훅 메타를 설치하는 센서설치단계(S1단계)와; 설치한 센서로 3상 전류신호를 각각 측정하는 3상 전류신호 측정단계(S2단계)와; 상기 3상 전류신호 측정단계(S2단계)에서 측정된 신호를 신호합성기로 합성하는 신호합성단계(S3단계) 및; 상기 신호합성단계(S3단계)에서 얻어지는 합성신호의 주파수를 통상의 주파수 분석기로 분석하여 주파수의 이상 유무에 따라 전동기의 상태를 감시하고 전동기의 결함을 진단하는 신호분석단계(S4단계)로 이루어져 전류신호(3상)를 합성하여 전원 주파수 성분(60Hz)을 제거함으로써 필터(filter) 등의 복잡한 회로 및 계산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결함주파수에 대한 신호만 받을 수 있고, 60Hz 근방의 주파수 분석정밀도가 높아지며, 60Hz 성분이 제거된 결함성분의 신호만 받기 때문에 신호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기존의 개별적인 한 상(one phase)의 신호보다는 결함신호의 정밀도(Signal to Noise ratio)가 향상되어 분석시 잡음신호 레벨(noise level)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을 뿐만 아니라 60Hz의 신호가 제거되기 때문에 60Hz 동기속도의 전동기에서도 결함 주파수의 분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탐촉자를 구비한 검사장치는, 링크구조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서로 다른 직경의 피검사체를 검사할 수 있고, 스캐너 하우징에 여러 개의 탐촉자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 초음파 검사 및 와전류 검사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발전소에서 가스터빈의 로터에 설치되는 블레이드의 교체시 블레이드의 길이 가공을 위하여 블레이드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플레이트를 소성 변형시키지 않고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가스터빈 블레이드 가공용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터빈의 로터에 설치되는 블레이드의 교체시 블레이드의 가공을 위하여 블레이드를 고정시키기 위한 락 플레이트의 중간을 분리하여 한 쌍의 상, 하부고정판으로 구성하고, 이들 한 쌍의 상, 하부고정판이 서로 결합되는 부위엔 분리고정기구를 설치하되, 상기 분리고정기구는 상, 하부고정판에 서로 마주하도록 나사산을 갖으며 호형으로 구성된 호형나사부를 각각 구성하고, 이들 호형나사부엔 체결용 벌림볼트를 설치하여 구성이 이루어지는 가스터빈 블레이드 가공용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이 발명은 광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광카드의 이상 유무를 시험하기 위하여 광신호를 발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광카드 시험용 광신호 발생장치는 구동전원이 입력되면 파이어링(firing)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파이어링신호발생부와, 구동전원이 입력되면 데이터백(data back)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데이터백신호발생부와, 구동전원이 입력되면 S1558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S1558신호발생부와, 구동전원이 입력되면 RS-232 전기신호를 발생하는 RS-232신호발생부와, 상기 파이어링 전기신호와 데이터백 전기신호와 S1558 전기신호와 RS-232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시험대상인 광카드에 송출하는 광출력부와, 상기 구동전원과 상기 파이어링신호발생부, 데이터백신호발생부, S1558신호발생부, RS-232신호발생부 사이를 각각 스위칭하는 다수의 선택스위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분리된 제어봉구동축을 원자로제어봉에 체결시킬 때, 제어봉구동축의 전체 높이와 제어봉구동축의 버턴 높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제어봉구동축의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관통공을 갖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다단으로 분리 및 조립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하단부 외주면에 설치되고 원자로의 제어봉구동축을 상기 튜브의 통로로 안내하는 깔대기형상의 안내부와; 상기 튜브의 통로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봉구동축의 안내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샤프트와; 상기 튜브와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제1관통공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의 슬라이딩에 따라 제어봉구동축의 전체높이와 제어봉구동축 버턴의 높이를 동시에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제2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 고정되어 측정장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걸림고리; 로 구성된다.
이 발명은 BCS(Burner Control System) 설비에 운용되는 각종 제어카드(SSI, G/L, SSO)의 각종 입출력 데이터를 시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의 버너제어시스템의 제어카드 시험장치는, 상용전원을 입력받아 구동전원을 생성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시험대상 제어카드가 장착되는 접속소켓과;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구동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접속소켓에 장착된 시험대상 제어카드를 시험하는 주제어부와;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구동전원을 입력받고, 상기 주제어부에서 시험하는 상기 시험대상 제어카드의 시험 과정을 표시하며, 사용자에게 제어카드종류 및 테스트종류 선택환경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제어카드종류 및 테스트종류를 상기 주제어부에게 전달하는 터치스크린을 포함한다.
이 발명은 전기가열전선(EHT cable: electric heat tracing cable)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장을 탐지하여 그 전기가열전선의 고장 부위를 비파괴 방식으로 검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전기가열전선의 고장 부위 검출장치는, 전기가열전선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압전류발생기와, 상기 전기가열전선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에 의해 상기 전기가열전선으로부터 방출되는 전기장을 수신하는 전자기장수신기와, 상기 전자기장수신기에서 수신한 전기장의 변화 추이로부터 상기 전기가열전선의 고장 부위를 탐지하는 신호처리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천정 크레인이나 오일 잭이 사용하지 않고서도 저압 터빈에 사용되는 하부 그랜드 하우징을 상하좌우로 정밀하게 이동시키면서 후드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저압 터빈용 하부 그랜드 하우징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후드에 조절블록 고정볼트로서 고정 설치되고, 타측이 하부 그랜드 하우징에 상하 위치 조절부로서 연결 설치되는 상하 위치 조절블록; 상기 후드와 하부 그랜드 하우징 간의 간격 조절을 위해 상기 후드와 하부 그랜드 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되는 좌우 위치 조절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의 상면에 설치되어 계통의 진동이나 반발력에 충분히 견디고, 유압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의 축 중심과 정렬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안전밸브 및 압력방출밸브의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조임수단(100)을 가지며,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10)의 상면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안착베이스(102)와; 상기 안착베이스(102)의 상면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몸체에 다수개의 고정홀(104)을 갖는 제1, 제2 및 제3지지용다리(106)(108)(110)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제2 및 제3지지용다리(106)(108)(110)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압실린더(112)와;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10)의 축 중심과 정렬상태를 이루되, 유압공급부(114)의 유압공급시 상기 유압실린더(112)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축(116)과; 상기 제3지지용다리(110)의 중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116)의 이동시,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10)의 축의 이동을 센싱하는 변위센서(118)와; 상기 축(116)의 중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116)의 이동시,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10)의 축의 인장응력을 센싱하는 인장응력센서(120)와; 상기 축(116)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축(116)의 이동시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의 스핀들너트(3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원통형상의 스핀들홀더(122)와; 상기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의 순간열림시에 방출되는 에어의 소리를 센싱하는 음향감지센서(124)로 구성된다.
가변익 펌프의 베인 동작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압잭(10)과; 서보실린더(20)와; 파이프형 축(30)과; 제어로드(40)와; 피스톤(50)과; 잠금너트(60)와; 인디케이트 베이스(70)와; 상기 인디케이트 베이스(70) 상에 설치되는 인디케이트(80)와; 상기 서보실린더(20) 일측 받침턱(21) 상에 설치되는 마그네틱 눈금자(90)와 피스톤 스톱퍼(100) 및; 상기 서보실린더(20) 측면 중앙부에 형성된 유압공(21)으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구동장치(A)로 구성되어 해수 관련 기기의 정비시에 유압회로에 의해 오일의 공급을 조절함으로써 가변익 펌프의 베인 동작을 신뢰성 높게 점검하여 정비의 품질을 높이고, 장비의 개발전 계획예방정비 수행 과정에서 가변익 펌프에 있어서의 베인의 오일 압력에 의한 동작 및 그에 따른 문제점 발생을 간편하게 점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러너 보스(Runner Boss)의 동작 검사, 풀 스트로크(Full Stroke) 검사, 동작압력 검사, 동작시 러너 보스(Runner Boss) 내부 오일의 누설여부 검사, 베인 동작시 간섭여부 검사 및 피스톤 행정과 베인의 개폐각도 비교 검사 등을 베인이 움직이는 각도와 피스톤 행정을 용이하게 비교 점검하여 검사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