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최적화 개량스터럽과 이를 적용한 철근콘크리트보 구조물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개량스터럽의 측면 수직부의 단면적을 중앙부의 사각형 형상과 사각형 형상의 양단에 반원을 붙인 형상으로 형성하고 바닥부의 단면적이 측면 수직부와 동일하거나 상부가 삭제된 하부 1/2의 단면으로 형성시킨 개량스터럽을 통해 철근량을 감소시켜주어 작업성과 품질관리가 유리하도록 하는 철근콘트리트보 구조물과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의 양측에 위치한 수직부의 직경은 크게 하고 바닥에 위치한 것은 수직부 단면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거나 수직부 단면의 1/2 단면으로 이루어진 개량스터럽을 통하여 보 내부에 사용되던 보강근의 갯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배근 간격이 더 넓어지고 그 개수가 최소화 됨으로서 비용절감과 작업시간을 절약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사계절용 아궁이식 온돌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발열 장소인 아궁이, 상기 아궁이에서 발생된 열기 및 연기가 이동하는 통로인 고래부, 상기 아궁이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아궁이 및 상기 고래부로부터 공급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굴뚝, 상기 굴뚝의 하부에 배치되며, 송풍팬을 포함하는 송풍부, 상기 아궁이와 상기 굴뚝을 연결하는 제1 연결배관, 상기 제1 연결배관 내부에 장착되어 제1 연결배관의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댐퍼, 상기 고래부와 상기 굴뚝을 연결하는 제2 연결배관, 상기 제2 연결배관 내부에 장착되어 제2 연결배관의 통로를 개폐하는 제2 댐퍼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아궁이와 굴뚝을 측방에 배치하고, 아궁이의 열기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래를 통해 굴뚝으로 이송되거나, 또는 바로 굴뚝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여름에는 상기 아궁이를 취사용으로만 사용하고 겨울에는 취사 및 난방용으로 사용하도록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누구나 사용 가능한 이동식 공중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상기 누구나 사용 가능한 이동식 공중화장실은 지면에 안착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육면체이되, 저면에는 바퀴 및 지지로드가 장착되어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배치되는 데크, 상기 데크의 전방 일부구간에 설치되어 지면과 상기 데크를 연결하는 계단, 상기 데크의 전방 일부구간에 설치되어 지면과 상기 데크를 연결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는, 남녀노소 사용 가능한 가족용 화장실과, 성별이 남성인 다양한 유형의 장애인 및 일반인이 사용 가능한 남성용 화장실과, 성별이 여성인 다양한 유형의 장애인 및 일반인이 사용 가능한 여성용 화장실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장애인화장실을 위주로 남녀로 구분, 일반인과 장애인이 성별에 따라 사용하거나 가족단위로도 사용하여 장애인과 일반인 모두가 쉽게 접근하여 사용하도록 마련되어 사회정서적 차별을 완화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해저 탐사 분야에 적합한 수상 가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바닥면 하측에는 둘 이상의 부유체가 구비되고, 바닥면 상측에는 주거공간이 구비되는 수상가옥에 있어서, 상기 주거공간은 다각뿔 또는 다각뿔대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다각뿔 또는 다각뿔대의 벽면에 대응하는 태양광 패널이 구비되고, 상기 태양광 패널은 다각뿔 또는 다각뿔대의 상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태양광 패널에서 태양광 발전을 통해 생산된 전력을 주거공간에 공급하고, 상기 바닥면 하측에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가지는 잠수정 도크가 구비되어, 잠수정의 보관 및 출입이 가능한, 수상가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레이스웨이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명유닛, 및 조명유닛에 고정되어 한 곳 이상의 레이스웨이의 거치구에 삽입됨에 따라 조명유닛을 레이스웨이에 근접되거나 밀착될 수 있게 결합하는 탄성있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조명유닛에 장착된 클립을 레이스웨이(race-way)의 거치구에 탄성 변형시키며 삽입 후 탄성 복원되도록 함에 따라 조명유닛을 레이스웨이의 하측에 접하거나 근접되게 고정 설치가 가능하여, 클립의 노출을 방지하면서 천장 거치형 조명유닛의 상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커넥터와 볼트를 이용한 레이스웨이와 조명유닛의 설치 대비 끼움 방식의 클립을 통한 조명유닛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로전환기용 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밀착조절 간에 결합하는 간격조절 부재의 후면에 간격조절 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연결 간과 연결 간의 사이에 형성된 브라켓트의 거리를 간편하게 조절하고, 간격조절 부재의 전면에 풀림 방지와셔와 고정부재를 순차적으로 결합하면서 풀림 방지와셔에 형성된 제1,2 날개가 간격조절 부재와 고정부재의 회전방지 턱에 밀착되어 간격조절 부재는 정 회전을 고정부재는 역회전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선로전환기용 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풀림 방지와셔에 형성되는 제1,2 날개의 절곡되는 길이와 탄성력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도록 베이스의 절개홈의 길이를 다르게 절단한 특징과, 철도차량의 과중한 무게와 철바퀴와 레일간의 마찰 및 진동으로 발생하는 간격조절 부재와 고정부재의 풀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간격조절 부재가 최초 세팅된 위치를 이탈하여 브라켓트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부재 또한 최초 세팅된 위치 그대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밀착조절 간이 브라켓트에서 이탈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레일(궤도)를 이용한 운행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손과 발을 이용한 동력으로 운행하며, 궤도이탈을 현저하게 방지하여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는 레일 바이크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몸체와, 레일에 안착되어 운행할 수 있는 전륜 및 후륜을 구비하고, 전륜과 후륜의 동력전달은 인력에 의하여 구동되는 레일 바이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전륜 또는 후륜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발에 의한 구동장치로 동력을 전달하는 레일 바이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전륜 또는 후륜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손에 의한 구동장치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레일 바이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전륜 또는 후륜 중 어느 하나는 손에 의한 구동장치로 구동력을 전달하고, 그 나머지는 발에 의한 구동장치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레일 바이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레일의 안쪽 또는/및 바깥쪽에 탈선 방지용 보조롤러부가 구비된 레일 바이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 겸용 레일바이크 궤도는 제1 레일부, 제1 레일부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서로 나란하게 형성되는 제2 레일부, 제1 레일부와 제2 레일부의 하단에 형성하되 제1 레일부와 제2 레일부를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제1 지지부, 제1 지지부에 제1 레일부와 제2 레일부를 체결시키는 체결부 및 제1 지지부와 다른 물질로 형성되되, 제1 레일부와 제2 레일부 사이에 형성되면서 제1 레일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철도 교량 상부 슬래브 위에 콘크리트 궤도를 부설하는 경우 기존과 같이 이곳의 콘크리트궤도를 끊지 않고 거더 신축부위에 설치되는 완화용 콘크리트 궤도를 연속시키고 종방향으로 거더에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열차가 이곳을 통과 할 때 거더의 회전이나 단차 등을 감소시켜 궤도의 연속성을 높여 주게 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거더의 온도신축에 의한 레일과 거더의 상대 변위로 인한 교량상 콘크리트궤도의 레일 축력과 상대변위를 감소시키게 되어 거더의 온도신축에 의한 레일의 추가축력이나 레일 체결구의 내구성저하를 완화시킬 수 있어 궤도의 내구성 증가는 물론 궤도유지보수에서도 유리하다.
본 발명은 철도교량 중 기존의 강판형 교량에 PC-슬래브를 부착하여 궤도개량을 실현하는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판형교량을 해체하지 않고 상부의 무도상궤도를 대신하여 PC-슬래브(Precast, Prestressed Concrete Slab)를 얹혀서 스터드와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시킨 후 판형교를 PC합성형교로 리모델링하고, 필요에 따라서 하부보강PC로 I형강의 하부플랜지를 보강하거나 에폭시로 복부를 보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 한 쌍의 I형강으로 이루어진 강판형 교량의 하부플랜지의 외측에 스터드를 이용하여 하부보강PC를 결합한 후 그 사이를 에폭시로 충진한다. 또한, 상부플랜지의 윗부분에 미리 제작한 PC-슬래브를 거치시키고 접착제 및 스터드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구조이며, 필요에 따라서 FREP(Fiber-Reinforced Epoxy Panel)을 I형강의 복부에 거푸집으로 사용하여 경량콘크리트 또는 에폭시 등을 주입하여 보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무도상 판형교량을 유도상화 시키는 공법으로서, 대부분의 기존 무도상 판형교량은 열차의 반복하중으로 인하여 구조적 및 선로의 유지관리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무도상인 판형교량을 유도상화 시킴으로서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선로의 유지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함으로써 열차의 주행성을 보다 양호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종방향으로 운송이 가능한 크기정도의 횡방향 프리스트레싱을 도입한 하로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 부재를 공장제작하여 이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고 종방향 프리스트레싱 가한 후 교량을 가설하는 공법으로서 거더의 높이가 낮음으로 그만큼 거더의 저부가 높게 되어 상대적으로 통수단면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거더 전체가 공장제품인 PC이므로 품질이 양호하며 비교적 경량구조로서 구조적인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기차 운행용 장대레일에 있어서 직선구간 또는 곡선구간의 장대레일을 재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상태 온도를 이용한 장대레일을 재설정함에 있어서 긴장장치를 사용하여 장대레일 신축이음부에서 직선구간을 재설정하며, 급 곡선구간에서도 횡방향 마찰력 저감장치를 이용하여 장대레일 긴장장치로 재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직선부와 곡선부용 장대레일의 신축 이음을 위한 재설정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장대레일 신축이음부(a) 양단에 고정 지그 몸통(18)이 장대레일(11)을 감싸도록 하고 그 하측으로 고정용 지그(14, 14')를 설치하여 실린더축(15)으로 긴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긴장장치(10)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긴장장치(10)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체결장치를 해체하고 롤러(31)를 설치하여 상태편 신축 이음부에서 부동구간(약 100m 정도)의 위치까지 진행시키는 단계; 긴장장치(10)를 사용하여 장대레일을 소정의 압축력까지 긴장시키는 단계; 긴장이 완료되면 체결장치의 해체와 반대순서로 장대레일 체결장치로 재구속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폐 FRP 선박의 용융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FRP가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가연 성분으로부터 연소 에너지를 공급받고 당해 연소 에너지를 이용하여 유리섬유를 용융 안정화시킴으로써 FRP 선박을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해성이 높은 FRP의 처리에 따른 환경오염 물질의 발생을 최대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FRP 선박의 처리에 따른 비용의 발생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부가가치를 창출해 내는 경제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탄소 함량 95% 수준의 흑연 정광을 정제하여 탄소 함량을 99% 수준으로 고순도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흑연 정광 내의 불순물은 석영과 금속 산화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금속 산화물을 EDTA 용액에 녹여서 제거하는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며, 이후 석영을 불산 용액에 녹이는 본 공정을 수행한다. 전처리 공정을 통해 금속 산화물이 제거되는 바, 정제 흑연의 순도를 99.9% 수준으로 매우 높게 나타난다. 고순도의 흑연은 그래핀 등의 첨단 소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