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RGB 카메라 및 RGB-D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복수의 비정형 재활용품의 영상으로부터 데이터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세트를 이용하여 Mask R-CNN을 학습시켜 학습 모델 Mask R-CNN 및 파라미터를 생성시키는 딥러닝 학습부(110), 상기 RGB 카메라 및 RGB-D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비정형 재활용품의 영상으로부터 색상 데이터 및 깊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를 획득하는 영상 입력부(120), 상기 학습 모델 Mask R-CNN 및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색상 데이터로부터 인스턴스 영역 분할 기법을 이용하여 배경과 구분되는 마스크를 검출하고, 상기 비정형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구분하는 딥러닝 시스템부(130), 상기 딥러닝 시스템부(130)에 의해 종류별로 구분된 상기 마스크에 대해 이름을 부여하여 레이블링(labeling) 데이터를 생성하는 네이밍부(140), 상기 딥러닝 시스템부(130)에 의해 검출된 상기 마스크 및 상기 영상 입력부(120)에 의해 획득된 깊이 데이터로부터 장축, 단축 및 장축 경계 상자를 검출하고, 장축 경계 상자의 중심점의 월드 좌표 및 중심 너비 값을 획득하는 위치 검출부(150) 및 상기 영상 데이터, 레이블링 데이터, 장축 경계 상자의 중심점의 월드 좌표 및 중심 너비 값을 로봇 장치(200)로 전송하여 상기 로봇 장치(200)가 비정형 재활용품을 분류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계절용 아궁이식 온돌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발열 장소인 아궁이, 상기 아궁이에서 발생된 열기 및 연기가 이동하는 통로인 고래부, 상기 아궁이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아궁이 및 상기 고래부로부터 공급되는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굴뚝, 상기 굴뚝의 하부에 배치되며, 송풍팬을 포함하는 송풍부, 상기 아궁이와 상기 굴뚝을 연결하는 제1 연결배관, 상기 제1 연결배관 내부에 장착되어 제1 연결배관의 통로를 개폐하는 제1 댐퍼, 상기 고래부와 상기 굴뚝을 연결하는 제2 연결배관, 상기 제2 연결배관 내부에 장착되어 제2 연결배관의 통로를 개폐하는 제2 댐퍼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아궁이와 굴뚝을 측방에 배치하고, 아궁이의 열기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고래를 통해 굴뚝으로 이송되거나, 또는 바로 굴뚝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여름에는 상기 아궁이를 취사용으로만 사용하고 겨울에는 취사 및 난방용으로 사용하도록하여 에너지를 절감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미소블럭별 절단속도 제어기반 파이프 베벨링 겸용 형상절단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미소블럭별 절단속도 제어기반 파이프 베벨링 겸용 형상절단 방법은 파이프가 서로 접합되는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절단 궤적을 미세분할하는 미소블럭 별로 용접개선을 위한 베벨링정보가 할당되어 베벨링을 고려한 실제 절단두께에 적합한 절단속도로 베벨링/형상절단 가공이 동시 수행되도록 하므로, 가공불량 방지와 가공 정밀도 향상이 도모될 수 있고, 모관과 지관의 다양한 접합형상들에서 정확하고 정교한 베벨링/형상절단 가공이 가능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경험적 학습기반 음원을 이용한 상황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감시영역에서 발생한 다양한 사건, 사고를 포함하여 사전에 정의한 비정상적인 상황에 대한 음원을 경험적으로 학습하여 학습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감시영역에서 감지되는 실제 음원을 상기 생성한 학습모델에 적용함으로써, 해당 감시영역에서 발생한 비정상적인 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식하여, 상기 비정상적인 상황에 대한 대처를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LNG 냉열을 이용한 냉동 공조 시스템은,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는 LNG 저장부(100); 상기 LNG 저장부(100)의 액화천연가스를 기화시켜 엔진에 공급하는 LNG 연료공급부(200); 상기 LNG 저장부(100)에서 자연 발생되는 BOG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BOG 저장부(300); 상기 BOG 저장부(300)의 BOG 일부를 엔진연료로 제공하기 위한 BOG 연료공급부(400); 상기 BOG 저장부(300)의 BOG 일부를 재액화하는 BOG 재액화부(500); 냉열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냉열을 상기 BOG 재액화부(500)에 분배하는 냉열제어부(600); 및 상기 냉열제어부(600)에 저장된 냉열을 전달받아 냉동 공조에 이용하는 냉동공조부(700); 를 포함하고, 상기 BOG 저장부(300)는 BOG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모듈(310), 상기 저장탱크모듈(310)에 저장된 BOG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각모듈(340) 및 분배모듈(320)을 포함하되, 상기 분배모듈(320)은 저장된 BOG의 온도를 바탕으로 상기 BOG 연료공급부(400)와 상기 BOG 재액화부(500)에 BOG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수 있다.
본 발명은 과실 및 채소 성형틀 착탈기에 관한 것으로, 상, 하부로 구성되어 상호 분리 및 결합가능하게 형성된 성형틀을 분리시키는 착탈기에 있어서, 상면에 성형틀이 안착되는 제1 안착챔버가 형성된 하부몰드와, 상기 하부몰드의 상면에 하부몰드와 대응되게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며, 저면에 제2 안착챔버가 형성된 상부몰드와, 상기 제1 안착챔버 및 제2 안착챔버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안착챔버 및 제2 안착챔버에 안착된 성형틀의 상, 하면을 각각 흡착하는 흡착부와, 상기 제2 안착챔버에 결합되어 상기 제1안착챔버에 안착된 성형틀의 상, 하부의 체결을 탈락시키는 탈거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과실 및 채소 성형틀을 한번에 분리시켜 복수 개의 과실 및 채소 성형틀 내부에 안착된 과실 및 채소를 보다 손쉽게 수확되도록 함으로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과실 및 채소 성형틀에 관한 것으로, 상기 과실 및 채소 성형틀은 한 쌍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되, 내부에는 과실 및 채소가 내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 공간부에 내장된 과실 및 채소의 꼭지가 삽입되는 꼭지관통구와, 상기 몸체의 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몸체가 서로 체결 및 분리되도록 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가장자리틀과, 상기 가장자리틀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몸체의 측면을 형성하는 착탈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과실 및 채소 성형틀은 구조가 간단하여 초기비용이 작게들며, 본 발명에 의해 특정 형상으로 형성된 과실 및 채소는 가격 경쟁력 및 시장성이 뛰어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마공정 시 발생되는 연마의 입자가 비산되어 주변의 기기 및 장치 등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프레이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연마액으로 반도체의 표면을 연마할 때 연마에 의해 발생되는 연마입자의 비산을 억제하여 주변 기기 및 장치 등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프레이 노즐을 활용한 연마장치에서 공기시스템을 이용한 연마입자 비산 방지시스템 및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동케이스 고주파 열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공급되는 복수의 차동케이스를 원주 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회전시키는 턴테이블과, 상기 턴테이블에 안착된 차동케이스를 선택적으로 자전시키는 회전수단과, 상기 턴테이블로 차동케이스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턴테이블의 차동케이스를 고주파 열처리하는 열처리장치와, 고주파 열처리된 차동케이스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차동케이스 고주파 열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장치는 상기 턴테이블에 수직으로 거치된 차동케이스의 케이스컵을 고주파가열하는 유도코일과, 냉각수가 토출되는 냉각수노즐을 갖는 열처리지그와; 상기 열처리지그를 차동케이스에 승강식으로 접근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열처리지그에 고주파 전원 및 냉각수를 공급하는 열처리본체로 구성되며, 상기 열처리지그는 상기 차동케이스의 케이스컵에 관통 삽입되어 케이스컵의 내면에 가열 및 냉각을 동시에 수행하는 내부인덕션과; 상기 케이스컵의 외면에 대응되는 링 형상으로 케이스컵의 외면에 가열 및 냉각을 동시에 수행하는 외부인덕션으로 구성되어 차동케이스의 내/외면에 동시에 고주파 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어 기존에 비해 생산성이 향상되는 차동케이스 고주파 열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기전력 차단장치에 있어서, 전기제품에 상시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주전원부(10)와, 상기 주전원부(10)에 의한 전기제품의 대기전력이 차단되도록 전기제품의 꺼져있는 경우에는 주전원부(10)에 상시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고 무선송신부(60)에 의한 작동신호 수신시에만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전원의 공급을 제어하는 릴레이부(20)와, 상기 릴레이부(20)에 주전원부(10)의 공급제어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무선송신부(60)의 제어신호를 수신함과 함께 릴레이부(20)에 스위칭신호를 전달하는 대기전력제어부(30)와, 릴레이부(20)에 의해 상시전원의 대기전력이 차단된 상태에서 무선송신부(60)의 제어신호을 수신하기 위한 대기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대기전력제어부(3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보조전원부(40)로 구성되어 전기제품의 대기전력을 차단하여 에너지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영상데이터 학습을 통한 보행자의 실내 경로 안내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실내의 위치에 대한 좌표, 방향, 장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정보가 레이블링된 실내 영상데이터를 학습하여 학습모델을 생성하고, 상기 실내에 위치하는 보행자로부터 상기 보행자의 이동방향에 따라 촬영한 보행자의 영상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한 보행자의 영상데이터를 상기 생성한 학습모델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보행자의 현재 위치를 추정하고, 상기 추정한 보행자의 현재 위치를 토대로 상기 보행자의 목적지까지 실내 경로 안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