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에 구비되는 연돌 일체형 건물에 관한 것으로서, 발전부에서 폐기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연돌부; 및 연돌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건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에 구비되는 연돌 일체형 건물은 연돌부와 건물부를 일체화 시켜 줌으로써, 혐오시설인 연돌부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 연돌부 주변 부지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화력발전용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 발전공정에서 요구하는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발전공정에서 요구하는 수질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화력발전용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상여과수를 집수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집수부와, 해수를 집수하고 이물질과 염분을 제거하는 제2집수부와, 발전공정에 사용된 폐수를 집수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제2집수부에 공급하는 제3집수부와, 제1집수부와 제2집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담수하는 탱크와,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순수로 변환시키는 정수부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용 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스터빈 캡조립체의 정비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내부몸체와 외부몸체를 포함하고서 연소기에 체결되어 있는 캡조립체를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구성요소와 폐기처분할 구성요소를 구분한 후, 폐기처분할 구성요소만 새로운 구성요소로 대체하여 상기 재사용할 수 있는 구성요소에다 다시 조립하는 가스터빈 캡조립체의 정비방법에 있어서, 상기 캡조립체의 각 구성요소를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폐기처분할 구성요소를 대체하는 새로운 구성요소를 열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몸체의 구성요소들을 용접하여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몸체를 비파괴검사하고 열처리하는 단계와, 상기 외부몸체를 세척하고 비파괴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내부몸체와 상기 외부몸체를 용접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폐기처분할 구성요소만 새로운 구성요소로 대체한 후 재사용할 수 있는 구성요소와 재조립함으로써, 캡조립체의 전체적인 수명을 연장시키고 자원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가스터빈 연소기 정비용 백 블로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스터빈 연소기 정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쿼터너리 챔버 내측에 구비된 각각의 연료 분사노즐로 에어를 공급하도록 일측에 수개의 노즐 연결관이 구비되어 있는 블로잉 허브와; 블로잉 허브의 타측에 결합되는 에어 인입밸브와; 가스연료 인입구에 결합되어 블로잉 허브로부터 공급된 에어의 인출을 인가하는 에어 인출밸브와; 블로잉 허브의 타측에 구비되는 가이드 플렌지; 및 일측은 노즐 연결관에 연결되고 타측은 연료 분사노즐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공압호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 연소기 정비용 백 블로잉 장치와 이를 이용한 가스터빈 연소기 정비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터빈 연소기의 쿼터너리 챔버 내측 유로에 부착된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정비시간과 인력을 절감하게 되고 가스터빈 연소실의 연소불량으로 가스터빈의 가동중단과 전력생산의 차질을 방지하게 되며 배기가스의 공해물질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발전용 터빈의 저속, 고속 및 과속도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전 설비에 있어서, 터빈의 정격 회전 속도에 해당하는 정격 펄스 값을 출력하는 펄스 발생 장치; 상기 펄스 발생 장치로 펄스 발생 감소 신호 또는 펄스 발생 증가 신호를 전송하는 연료 조절부; 및 상기 정격 펄스 값을 수신하며, 상기 연료 조절부로 연료 감소 신호 또는 연료 증가 신호를 전송한 후 상기 펄스 발생 장치로부터 변동 펄스 값을 수신하고, 상기 변동 펄스 값에 대응하는 변동 회전 속도를 산출하며, 상기 변동 회전 속도가 기 설정된 저속 회전 속도만큼 감소하는 경우 상기 연료 감소 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변동 회전 속도가 상기 저속 회전 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변동 회전 속도가 기 설정된 고속 회전 속도만큼 증가하는 경우 상기 연료 증가 신호를 차단하여 상기 변동 회전 속도가 상기 고속 회전 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변동 회전 속도가 기 설정된 과속도 회전 속도만큼 증가하는 경우 비상 정지 기구를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발전용 터빈의 저속, 고속 및 과속도 시험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알카리로 활성화된 플라이 애쉬 시멘트에 관한 것으로서, 메타규산나트륨을 포함하는 알카리 활성 용액; 플라이 애쉬; 및 표준사를 혼합하여 구성되고, 상기 알카리 활성 용액 : 상기 플라이 애쉬 : 상기 표준사의 무게비는 400 : 700 : 300로 구성하며, 알카리 활성 용액은 수산화나트륨 210g, 메타규산나트륨 30g, 및 물을 혼합하여 1L의 용액으로 구성되어, 현재 재활용 비율이 매우 낮은 F급 플라이 애쉬를 포틀랜트 시멘트 없이 시멘트의 특성을 지닌 물질로 전환함으로서 향후 F급 플라이 애쉬를 유용한 건설 재료로 재활용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라이 애쉬의 처리 및 처분 비용 절감과 2차 환경오염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자재 품질검사 관리방법은 계약부의 계약관리 단말기를 통해 내부 자원관리시스템(ERP)에 접속하여 구매오더를 생성하는 단계와, 계약자 단말기를 통해 품질협업시스템(200)에 접속하여 해당 자재를 선택하고 품질검사계획 정보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품질검사계획 정보가 내부 자원관리시스템으로 전송되는 단계와, 발주부의 발주단말기를 통해 자원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접수를 실행하여 입력된 품질검사계획 정보에 대한 검토결과를 입력하고 품질부에 검토의뢰를 전송하는 단계와, 품질관리 단말기를 통해 자원관리시스템에 접속하여 품질문서 검토의견 및 입회필요여부에 대한 검사구분을 입력 후 전자결재를 통해 발주부로 전송하는 단계와, 발주부의 발주단말기를 통해 내부 자원관리시스템에서 최종적으로 종합검토 의견을 입력하고 전자결재를 완료하여 해당 자재에 대해 입회필요여부에 대한 검사구분에 따라 공장검사 입회요청을 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단계와, 계약자 단말기를 통해 품질협업시스템(200)에서 공장검사 입회요청을 하여 자원관리시스템(100)(ERP)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품질부의 품질관리 단말기를 통해 내부 자원관리시스템에서 검사요청을 접수하는 단계와, 검사요청이 접수되면 자재별로 검사로트번호가 생성되고 공장검사결과기록 화면에 품질문서 종합검토 결과의 정보들이 그대로 연계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에 설치된 분사장치는 내부에 내부공간이 마련되고, 일면에 제1 홀이 배열형성되며, 태양광 패널의 상부중앙 또는 하부중앙에 설치되어 태양광 패널을 고정 또는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일면 또는 양 측에 제2 홀이 배열형성되며, 상기 제1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액상을 공급받는 배관과, 상기 제1 홀 및 제2 홀의 사이에 배열설치되어 상기 배관으로부터 공급받은 액상을 외부로 배출하는 연결관 및 상기 연결관의 단부에 설치되어 액상을 외부로 분사시키는 노즐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제1 프레임의 내부에 배관 및 노즐이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액상을 지면으로 분사시켜 농작물을 관리하거나 또는 태양광 패널에 분사시켜 태양광 패널을 세정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드럼형 유동층 보일러 정지시 고압터빈 우회 압력밸브 제어방법은 1) 화력발전소 드럼형 보일러 정지 직후 고압터빈 제어밸브 폐쇄시 증기드럼으로부터 과열기를 거쳐 이동하는 주증기 유량에 기설정 시간의 지연함수를 사용하여 보일러 정지 시점의 주증기 유량을 검출하는 단계와, 2) 상기 주증기가 고압터빈을 우회하는 우회로에 설치되는 고압터빈 우회 압력밸브 고유의 밸브 스트로크 대비 유량 특성관계에 의해 산출된 특성함수(f(x))를 내장한 함수변환기에 의해 주증기 유량 대비 밸브 스트로크(stroke)를 결정하는 단계와, 3) 상기 2)단계에서 결정된 주증기 유량 대비 밸브 스트로크(stroke)에 의해 보일러 정지시점부터 일정 시간(t) 동안 상기 1)단계에서 검출된 주증기 유량에 따른 밸브 스트로크만큼 상기 고압터빈 우회 압력밸브를 개방하는 단계와, 4) 상기 보일러 정지 일정 시간(t) 후부터는 주증기 압력 설정값(set point)과 상기 주증기 압력의 편차를 계산하여 제어부를 통해 고압터빈 우회 압력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에서 PID 제어기의 적분 동작을 이용한 주밸브 조작요구량에 따른 보조밸브 제어방법은 1) 주밸브(11)를 제어하는 주PID제어기(10)의 출력에 따라 보조밸브(12)를 제어하는 보조PID제어기(20)를 추가 구성하고, 상기 주PID제어기(10)의 출력이 상한값 이상일 경우 상기 보조PID제어기(20)에 기설정된 양(+)의 편차(Error)가 입력되고, 상기 주PID제어기(10)의 출력이 하한값 이하일 경우 기설정된 음(-)의 편차(Error)가 입력되며, 상기 주PID제어기(10)의 출력이 상한값과 하한값 사이일 경우 0의 편차(Error)가 입력되어 주PID제어기(10)의 출력에 따라 보조PID제어기(20)의 편차(Error)를 산정하는 단계와, 2) 보조밸브(12)의 개도에 따라 보조PID제어기(20)의 적분시간(Ti)을 결정하는 단계와, 3) 상기 단계 1)과 2)에서 산출된 편차(Error)와 적분시간(Ti)을 입력으로 하여 수식 (1)에 따라 산출된 보조PID제어기(20)의 출력으로 보조밸브(12)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화력발전소 배열회수보일러의 튜브박리 비산철 제거용 워터폴 시스템은 복합화력발전소의 가스터빈(10)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상기 배기가스의 열을 회수하기 위한 배열회수보일러(20)를 거쳐 상기 배열회수보일러(20)의 측면에 설치되는 연돌(30)의 유입구(31)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연돌(30)의 유입구(31) 상측에는 워터폴 분사용 상부 노즐헤드(40)가 설치되며, 상기 연돌(30)의 하부에는 상기 워터폴 분사용 상부 노즐헤드(40)에 구비되는 노즐을 통해 워터커튼을 형성하면서 낙하하는 물을 수용하기 위한 하부 저수조(70)가 구비되고, 상기 워터폴 분사용 상부 노즐헤드(40)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물공급펌프(50)가 구비되어 상기 물공급펌프(5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상기 워터폴 분사용 상부 노즐헤드(40)를 통해 워터커튼을 형성하여 상기 배열회수보일러(20)의 핀튜브(21)에서 박리되어 배출되는 비산철을 연돌(30)에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드럼형 유동층 보일러의 주증기 압력변동에 따른 주증기 온도제어방법은 1)상기 최종 과열기의 후단에 설치되는 압력전송기로부터 측정된 주증기 압력이 편차발생기로 입력되는 단계와, 2)상기 편차발생기에 입력되는 실제 주증기 압력과 기설정된 주증기 압력 목표값의 편차를 상기 편차발생기에서 계산하여 주증기 압력 에러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3)주증기 압력 에러 발생 대비 주증기 온도상승 예측값을 설정하는 함수가 내장되는 함수변환기에서 입력된 주증기 압력 에러값으로부터 주증기 온도상승 예측값을 산출하는 단계와, 4)상기 함수변환기에서 출력되는 주증기 온도상승 예측값과 기설정된 주증기 온도 목표값을 합산하고, 이 합산된 값과 최종 과열기의 후단에 설치되는 온도전송기로부터 측정된 주증기 온도값을 주조절기에서 비교하여 최종 과열기 전단의 주증기 온도 목표값(SP)을 가감하여 부제어기로 출력하는 단계와, 5)상기 부제어기에서 주조절기로부터 출력된 최종 과열기 전단의 주증기 온도 목표값(SP)과 최종 과열기 전단에 설치되는 온도전송기로부터 측정된 주증기 온도값을 비교하여, 급수펌프로부터 공급되는 급수량을 조절하여 과열기 후단의 과열저감기로 공급하기 위한 온도제어밸브의 조작량을 발생시켜 상기 온도제어밸브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소 스마트 화재발생 알리미 시스템은 각 지역발전소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화재발생정보가 수신되는 화재수신기와, 상기 화재수신기로부터 화재발생위치를 포함하는 화재발생정보를 취득하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용 프로토콜로 전송하는 다기능복합전송기와, 상기 다기능복합전송기로부터 화재발생정보를 수신하며 유해트래픽을 선별 및 차단하여 전송하기 위한 보안스위치와, 상기 보안스위치를 통해 화재발생정보를 수신하고 전송된 화재발생정보를 복호화하여 분석 및 저장하고 이상 상황발생시 감시모니터로 이벤트를 표출하는 수집서버와, 본사에 설치되어 각 지역발전소의 상기 수집서버로부터 전용 프로토콜을 통해 화재발생정보를 수신하여 통합관리하고 상기 수집서버로부터 전송된 이벤트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본사측 통합서버와, 상기 본사측 통합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동단말기에 무선으로 전송하기 위한 모바일 푸쉬서버와, 지역발전소에서 인증절차를 거쳐 인증되고 스마트 화재발생 알리미앱이 설치되어 상기 모바일 푸쉬서버로부터 이상 상황발생시 이벤트 데이터가 전송되면 설치된 스마트 화재발생 알리미앱을 통해 통지되고 인가된 미디어 데이터가 표시되는 지역발전소 이동단말기와, 지역발전소에서 취득된 미디어 데이터를 상기 지역발전소 이동단말기에 전송하기 위한 본사측 미디어분배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미분기 장치는 미분기 내부로 석탄이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고 접시 모양의 바울(bowl)의 중앙부로 낙하되어 회전하는 상기 바울의 원심력에 의하여 석탄이 바울의 바깥방향으로 밀려 나가면서 그라인딩 롤러와 바울 사이로 들어가면서 분쇄되고, 상기 바울 아래에서는 1차 공기가 상기 바울 외측에 구비되는 베인 휠을 통해 상부로 공급되어 미분탄이 공기와 함께 선회하게 되고, 미분탄은 공기와 함께 부상하면서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며, 상기 베인 휠은 상기 바울(3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원형판부재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는 다수의 휠 날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원형판부재의 중심축방향에 대해 비스듬히 배치되는 상기 휠 날개에는 상기 휠 날개의 상부에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는 임팩트 바가 결합되어 이루어져서 상기 베인 휠이 회전하면서 휠 날개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는 임팩트 바가 베인 휠의 상부를 가로막는 석탄 덩어리를 충격하여 분쇄하고 배출되도록 하여 베인 휠의 막힘을 방지하고 1차 공기의 유량 정상화를 도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의 보일러에서 다단형 체적식 석탄공급기의 급탄량 제어방법은 화력발전소의 보일러에 석탄을 공급하기 위해 1단 급탄기로부터 2단 급탄기를 거쳐 최종 급탄기로 석탄을 공급하는 다단형 체적식 석탄공급기에서 최종 급탄기의 구동용 전동기의 전류값의 변화에 따른 슈트 레벨 변화의 특성시험을 통해 최종 급탄기의 구동용 전동기의 전류값을 가상의 슈트 레벨값으로 변환하는 특성함수(f(x))를 산출하는 단계와, 산출된 상기 특성함수(f(x))가 내장된 함수변환기를 통해 현재 최종 급탄기의 전동기의 전류값을 이용하여 가상의 슈트 레벨의 매개변수(PV)를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상기 가상의 슈트 레벨의 매개변수(PV)와 기설정된 슈트 레벨 목표값(SP)을 편차계산기에서 비교하여 편차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편차계산기에서 계산된 편차의 상쇄를 목표로 제어부(PID controller)에서 PID제어를 통해 조작량을 발생하고, 발생된 조작량과 최종 급탄기 요구량의 평균값을 합하여 1,2단 급탄기 요구량(demand)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슈트 레벨 안정화 및 급탄량 제어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