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시예는 DC-DC 부스터 컨버터의 다이오드 역회복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능동형 스너버 회로를 구비한 전력변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전력변환장치는 영 전압 스위칭(zero voltage switching : ZVS)이 가능한 능동형 스너버(active snubber)를 제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안한 능동형 스너버는 커패시터 2개와, 인덕터 1개, 보조 스위치 1개, 다이오드 1개로 구성된다. 그리고, 메인 스위치에 직렬로 연결된 인덕터는 메인 스위치와 보조 스위치가 ZVS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이에 더하여 출력 다이오드에서 발생하는 역 회복 전류(reverse recovery current)로 인한 switching turn-on 손실을 제거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경우 상기 커패시터 2개는 보조 스위치와, 상기 1개의 다이오드로 연결된 전하 펌프 경로(charge pump path)를 형성하여 메인 스위치와 보조 스위치의 턴-오프 전압을 낮추어 switching turn-off 손실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부하에 맞는 전력을 변환할 경우, 제안한 능동형 스너버 회로로부터 고속 스위칭을 수행함으로써, 회로의 전력밀도를 높인다.
실시예는 능동형 클램프 벅 컨버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벅 컨버터는 기존 벅 컨버터에 아래에서와 같이 제 1 커패시터와, 제 2 스위치, 제 1 인덕터, 제 2 인덕터, 제 2 다이오드를 추가하여 제 1, 2 스위치의 영 전압 스위칭이 가능한 스텝 다운 컨버터(step down converter) 구조이다. 이러한 일실시예에 따른 벅 컨버터는 총 4개의 구조로 구분되고, 이러한 구조는 구형파 생성부와 공진부, 정류부 및 출력 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벅 컨버터를 통해 전력변환을 할 경우, 스위칭 소자로부터의 스위칭 손실을 줄여 고속 스위칭을 통해 구동 신뢰성과 전체 시스템의 수명을 높인다.
본 발명은 초음파 용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를 통해 제1대상체와 제2대상체를 용접하는 초음파 용접 방법에 있어서, 초음파 제공부에서 제공한 제1초음파를 이용해, 상기 제1대상체와 제2대상체를 정렬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제공부에서 제공한 제1초음파를 이용해 상기 제1대상체와 제2대상체 사이에 그라인딩부를 정렬한 후, 상기 제1대상체 및 제2대상체의 접합면을 그라인딩하는 단계; 상기 초음파 제공부에서 제공한 제1초음파를 이용해 상기 제1대상체와 제2대상체 사이에 세척부를 정렬한 후, 상기 제1대상체 및 제2대상체의 접합면을 세척하는 단계; 상기 제1대상체와 제2대상체의 외면에 향하도록 상기 초음파 제공부에 혼을 연결하고, 상기 제1대상체와 제2대상체의 내면에 앤빌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초음파 제공부에서 제공한 제2초음파를 상기 혼에 전달하여, 상기 제1대상체와 제2대상체의 접합면을 용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초음파 용접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초음파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를 통해 제1대상체와 제2대상체를 용접하는 초음파 용접 장치에 있어서, 거리측정에 이용되는 제1초음파 및 용접에 사용되는 제2초음파를 제공하는 초음파 제공부; 상기 제1대상체 및 제2대상체의 접합면을 그라인딩하는 그라인딩부; 상기 제1대상체 및 제2대상체의 접합면을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제1대상체, 제2대상체, 그라인딩부 및 세척부 각각을 이동 및 회전시키는 이동부; 상기 초음파 제공부에 탈부착되며, 외면에서 상기 제1대상체와 제2대상체에 제2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혼; 및 내면에서 상기 제1대상체와 제2대상체를 지지하는 앤빌을 포함하는, 초음파 용접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수기용 피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정수기용 피팅장치는 외주연에 복수 개의 분기관이 형성된 중공체인 바디본체, 상기 바디본체의 일단 끝단부에 상기 바디본체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중공체 형상의 제1관과, 상기 제1관의 외주연 일부구간에 형성되는 걸림홀과, 상기 제1관의 내부에 상기 바디본체와 연통되게 마련되며 상기 바디본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되는 중공체 형상의 제2관을 포함하는 이음부, 상기 바디본체의 타단에 형성되는 엔드부, 내주연에 호스가 장착된 상태로 상기 이음부에 장착되어 상기 호스와 바디본체를 상호 기밀시키는 것으로, 중공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주연에 호스가 삽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스토퍼와, 상기 본체의 타단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콜릿(collet), 상기 엔드부에 장착되어 바디본체의 타단을 폐쇄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은 기존의 피팅장치에 비해 수밀성이 향상되면서 단순한 구조로 구성되어 제조원가가 저렴하며, 피팅장치에 호스가 압착되도록 하여 호스와 피팅장치가 조립되는 공정을 단축시켜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정수기용 피팅조립체 조립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설치되며, 하부에 결합되는 모터에 의해 일정주기로 일정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에 방사형으로 장착되며, 상면에 피팅조립체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된 복수 개의 지그; 상기 턴테이블의 저면에 배치되도록 작업대의 상면에 설치되되, 신축됨에 따라 끝단부가 상기 지그를 선택적으로 관통하여 지그의 상부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센터링실린더; 상기 턴테이블의 상면에 상기 복수 개의 지그와 각각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지그에 안착된 피팅조립체를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고정유닛;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설치되되, 상기 턴테이블의 외측방향에 배치되어 상기 턴테이블을 고정시키는 턴테이블 고정부; 상기 턴테이블의 측방에 설치되되, 상기 지그의 정면과 대향되게 장착되어 콜릿을 지지 및 가압하는 콜릿지지부와, 상기 지그의 측면과 대향되게 장착되어 바디를 지지 및 가압하는 바디지지부와, 상기 턴테이블의 저면에 배치되어 고정유닛을 견고하게 지지하는 고정실린더로 구성된 조립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호스와 피팅조립체가 자동으로 압착 조립되도록 하여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고, 작업성 및 생산성이 증대되며 가격 경쟁력이 확보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중드론을 이용한 수중 탐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볍고 내식성을 갖는 소재로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전후, 상하좌우로 이동시키는 추진장치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해양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유체를 여과시키는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본체를 촬영하는 열화상촬영카메라와 상기 본체에 인접한 주변환경을 촬영하는 제2 카메라와 검사하고자 하는 대상을 확대하여 찍을수 있는 제3카메라가 구비된 촬영장치를 포함하여 조사구역 내를 운행하면서 수중정보를 촬영 및 수집하는 수중드론과 상기 제2 카메라에서 획득된 영상정보를 처리하고, 발열부의 위치로부터 도출된 상기 수중드론의 좌표정보 및 수중 표면 정보를 매핑하여 설정된 구역 내의 수중표면을 3차원으로 모델링하는 제어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수중 드론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를 상기 제어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전송받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통하여 상기 수중의 정보를 분석하여 매핑하고, 상기 수중의 정보를 출력시키는 출력부가 형성되어 있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자동 소화시스템은,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에 설치되어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는 화재경고위치를 감지하는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와 연동되어 상기 화재경고위치를 촬영하는 열화상 감지기(200); 상기 열화상 감지기(20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의 명령을 받아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화재발생 시 소화를 담당하는 소화부(400); 및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 상기 열화상 감지기(200). 상기 제어부(300) 및 상기 소화부(4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500); 를 포함하되, 상기 열화상 감지기(200)는 평상시 대기모드로 유지되고,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에 의해 화재경고위치가 특정되는 경우에는 대기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화재경고위치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음압기가 구비된 음압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내에는 공기 오염도와 미세먼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부와 전면에는 투시부가 형성되며, 얼굴 부분을 감싸도록 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와 하향으로 연결되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몸을 감싸는 몸통부와 상기 머리부에는 스마트폰과 무선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결합, 구비되는 이어폰과 상기 머리부의 하부의 내부공간에 일단이 삽입되고 외부에 타단이 노출되어 산소가 유입되는 산소공급라인과 상기 산소공급라인의 타단에 설치되어 산소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기와 실내의 공기 압력을 실외의 공기 압력보다 낮게 하여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웨어러블 형태의 휴대용 음압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영상의 객체 재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의의 객체를 지정하는 단계; 연속적인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객체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객체를 재추적하여 데이터를 추가로 수집하는 단계; 및 수집된 상기 객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객체를 크롤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영상의 다수 개 프레임 중 일부 프레임 내에서 객체가 사라질 경우 이를 재인식 및 재추적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에센셜오일을 포함하는 고체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제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탈취제 34~38 중량부, 젤란검 1.6~2 중량부, 애플워시 3~6 중량부, 워터 솔루빌라이저 3~6 중량부, 에틸알코올 16~20 중량부, 천연에센셜오일 3~1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인체에 독성을 야기하는 유해성분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인체에 무해하고 친환경적이며, 제품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향상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엔진룸의 자동 소화시스템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센싱하는 화재감지부(100); 상기 화재감지부(10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00); 상기 제어부(200)의 명령을 받아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발생 시 소화를 담당하는 소화부(300); 및 상기 화재감지부(100), 상기 제어부(200), 상기 소화부(3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자동차 엔진룸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400); 를 포함하되,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발생 시 자동차의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근 소방서에 화재발생 및 자동차의 현재 위치에 대한 알림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장패널을 검출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태양광 패널과 상기 태양광 패널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와, 상기 전류센서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의 변환 결과를 통하여 전류센서로부터 전류의 측정데이터를 전류의 측정데이터를 전달받는 정보처리장치를 포함한 태양광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태양광 패널과 상기 전류센서는 태양광 패널에서 불량이 발생한 경우, 전류값이 정상대비 낮아진 전류센서의 조합으로 불량 패널을 검출하는 연결구조를 가지며, 상기 조합을 이용하여 불량패널을 검출하는 관계식은 이하의 식, [식 1] P = 2n- 2 (여기서, P는 태양광 패널의 갯수이고, n은 전류센서의 개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시스템에 있어서, 태양광을 받아서 전기(電氣)에너지를 발생시키는 태양광 패널과 상기 태양광 패널과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 패널의 출력전류를 감지하는 전류센서와 상기 전류센서의 출력 전류값을 측정하는 차동전위 측정회로와 상기 차동전위 측정회로로부터 수신한 상기 전류센서로부터 감지된 출력 전류값을 전송하는 아두이노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는 인공 지능형 절전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절전 콘센트는 콘센트가 사용될 시, 콘센트의 대기 전력 자체로부터 형성된 전자기 에너지로부터 LED 구동 전원을 생성하고 이를 이용해서 대기 전력이 많이 발생함을 경고함으로써, 절전 기능에 따른 대기 전력의 많음에 대한 알림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