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정상 보행 운동이 가능하도록 도와주는 현수 장치에 사용되는 현수 장치용 연결구를 제조하는 현수 장치용 연결구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가장자리에 가이드공이 형성되는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되, 상부에는 슬리브가 안착되도록 하측으로 오목한 반원 형상의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이 형성되는 하부 금형과, 상기 하부 금형의 상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하부에는 상기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에 대응되도록 상측으로 오목한 반원 형상의 제1 밀착홈 내지 제3 밀착홈이 형성되는 상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가이드 부재의 하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공에 수용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 부재에 설치되며 펌프에 의해 상기 상부 금형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부재를 포함하는 가압부 및 상기 하부 금형의 제1 삽입홈 내지 제3 삽입홈의 양끝단에 돌출 형성되는 돌출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접이식 지팡이의 폴대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접이식 지팡이의 폴대는 복수 개로 구성되는 폴대본체, 상기 폴대본체의 일단에 결합되는 고정유닛, 상기 폴대본체의 타단에 결합되며, 상기 고정유닛의 일부가 삽입되는 결합구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유닛은, 폴대본체에 끼움삽입되는 원통형상의 끼움부와, 끼움부에 연결되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걸림부에 결합되며, 상부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연에 방사형으로 다수 개의 끼움구가 형성된 테이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별도의 고정유닛을 구비하여, 복수 개로 구성되는 폴대본체간의 결합을 공고히 함으로써, 폴대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위가 쉽게 구부러지거나 꺽이지 않게되므로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충전된 전원을 각종 기기로 공급하는 태양광 추적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축전을 위한 각종 구성들이 케이스 구조로 형성되는 바디부의 내측에 구비되거나 이와 결합 및 분리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이를 통해 휴대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배터리부가 태양광 발전부 뿐만아니라 외부의 각종 전원 공급원으로부터 충전될 수 있는 바, 이를 통해 충전에 대한 범용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태양광 추적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전원 공급 장치가 구비된 장소의 위도와 경도, 날짜, 시각 등 각종 요인에 의해 변화되는 실시간 태양 위치에 대응하여, 태양광 패널인 패널부재가 실시간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그 집광 효율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ICT기반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는 스마트팩토리의 ICT기반 데이터를 수집하고 처리하는 시스템에서 설비데이터를 수집하는 설비데이터 수집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팩토리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장비들에 설치되어 설비데이터를 수집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모듈(100); 상기 센서모듈(100)로부터 각 장비 별 데이터를 수집하는 I/O 보드(200); 수집한 상기 데이터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보여주는 대시보드(300) 및 상기 센서모듈(100), 상기 I/O 보드(200) 및 상기 대시보드(300)를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핀튜브용 지지대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핀튜브용 지지대 제조장치는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전열판과, 상기 하부전열판의 상면에 안착되되, 상,하부몰드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핀튜브가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고, 삽입구의 가장자리에는 성형원료가 삽입되는 캐비티가 형성되어 지지대를 성형시키는 금형과, 상기 하부전열판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상부전열판과, 상기 상부전열판을 승하강시키는 에어실린더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상기 금형 내부에서 성형됨과 동시에 핀튜브의 외측면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본 발명은 지지대를 성형함과 동시에 핀튜브의 외주연에 지지대를 융착시킴으로써,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대가 핀튜브에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핀튜브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금속표면의 도금품질 향상을 위한 도금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금속표면의 도금품질 향상을 위한 도금방법은, 분말약품이 용해된 약품용해액이 공급된 전처리조에서 피도금물 표면의 오염물이 제거되는 전처리단계, 상기 전처리단계를 거친 피도금물이, 분말약품이 용해된 약품용해액이 공급된 도금조로 이송되어 상기 피도금물의 표면에 도금이 되는 도금단계, 상기 도금단계를 거친 피도금물의 표면에 화학적으로 부동태처리를 하여 외관 및 내식성을 향상시키는 후처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약품용해액은 자동용해탱크에서 제조된 후, 전처리조 및 도금조로 공급되어지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자동용해탱크를 구성함으로써, 전처리조 및 도금조로 공급되는 약품용해액의 농도관리가 용이하여 도금두께의 편차를 감소시키는 등 도금품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도금전체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내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부, 위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GPS 수신부, 지도, 도로, 교통 규범, 사용자 식별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하는 메모리, 지도, 경로, 입력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움직임 감지부, 상기 GPS 수신부, 상기 디스플레이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해 상기 내비게이션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사용자 식별 여부에 따라 실행되거나 위치 정보를 외부에 전송하는 내비게이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중량 롱 볼트 가이드장치에 관한 것으로, 대형설비의 롱 볼트 분해와 체결시 롱 볼트를 안내하도록 볼트 홀의 입구에 설치되는 원통형 관부와, 롱 볼트의 안내시 롱 볼트를 잡거나 풀어주도록 원통형 관부의 입구 내주면에 가변적으로 돌출시키 수 있도록 다수개 설치되는 가변형 베어링부와, 상기 원통형 관부의 회전과 가변형 베어링부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원통형 관부의 입구 둘레 내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호형으로 다수개 설치되는 이동제한 판부와, 상기 가변형 베어링부와 함께 이동 후 이동제한 판에 일시 결합시켜 가변형 베어링부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원통형 관부의 양측 둘레 내부에 설치되는 키이 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대형설비의 고중량 롱 볼트를 수평상태에서 분해 및 체결 시 가이드장치의 내측에 설치된 가변형 베어링의 세팅을 통해 센터링을 유지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분해 및 체결 작업공정을 이어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그라인더용 다종류 절단 휠 연결장치는 전동 그라인더와 연결되는 연결모듈; 및 상기 연결모듈의 상측에 결합되어, 서로 다른 지름의 제 1 내지 제 3 절단 휠을 선택적으로 고정 결합하는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제 1 지름을 가지는 플랜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지름보다 작은 제 2 지름을 가지는 제 1 지지부; 상기 플랜지부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지름보다 작은 제 3 지름을 가지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분리된 제어봉구동축을 원자로제어봉에 체결시킬 때, 제어봉구동축의 전체 높이와 제어봉구동축의 버턴 높이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제어봉구동축의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관통공을 갖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제1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되되 다단으로 분리 및 조립되는 튜브와; 상기 튜브의 하단부 외주면에 설치되고 원자로의 제어봉구동축을 상기 튜브의 통로로 안내하는 깔대기형상의 안내부와; 상기 튜브의 통로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설치되고 상기 제어봉구동축의 안내에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샤프트와; 상기 튜브와 동일한 선상에 위치되되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제1관통공의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의 슬라이딩에 따라 제어봉구동축의 전체높이와 제어봉구동축 버턴의 높이를 동시에 측정하는 측정수단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제2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 고정되어 측정장치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걸림고리; 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천정 크레인이나 오일 잭이 사용하지 않고서도 저압 터빈에 사용되는 하부 그랜드 하우징을 상하좌우로 정밀하게 이동시키면서 후드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저압 터빈용 하부 그랜드 하우징 위치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이 후드에 조절블록 고정볼트로서 고정 설치되고, 타측이 하부 그랜드 하우징에 상하 위치 조절부로서 연결 설치되는 상하 위치 조절블록; 상기 후드와 하부 그랜드 하우징 간의 간격 조절을 위해 상기 후드와 하부 그랜드 하우징의 사이에 설치되는 좌우 위치 조절키;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의 상면에 설치되어 계통의 진동이나 반발력에 충분히 견디고, 유압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의 축 중심과 정렬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는 안전밸브 및 압력방출밸브의 인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몸체에 일정간격을 두고 조임수단(100)을 가지며,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10)의 상면에 안착되는 원통형상의 안착베이스(102)와; 상기 안착베이스(102)의 상면에 수직으로 형성되고 몸체에 다수개의 고정홀(104)을 갖는 제1, 제2 및 제3지지용다리(106)(108)(110)와;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제1, 제2 및 제3지지용다리(106)(108)(110) 사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는 유압실린더(112)와;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10)의 축 중심과 정렬상태를 이루되, 유압공급부(114)의 유압공급시 상기 유압실린더(112)의 상사점 또는 하사점으로 이동하는 축(116)과; 상기 제3지지용다리(110)의 중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116)의 이동시,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10)의 축의 이동을 센싱하는 변위센서(118)와; 상기 축(116)의 중부에 설치되고 상기 축(116)의 이동시,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10)의 축의 인장응력을 센싱하는 인장응력센서(120)와; 상기 축(116)의 하부에 설치되되, 상기 축(116)의 이동시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의 스핀들너트(3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원통형상의 스핀들홀더(122)와; 상기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의 외주면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밸브 또는 압력방출밸브의 순간열림시에 방출되는 에어의 소리를 센싱하는 음향감지센서(124)로 구성된다.
가변익 펌프의 베인 동작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유압잭(10)과; 서보실린더(20)와; 파이프형 축(30)과; 제어로드(40)와; 피스톤(50)과; 잠금너트(60)와; 인디케이트 베이스(70)와; 상기 인디케이트 베이스(70) 상에 설치되는 인디케이트(80)와; 상기 서보실린더(20) 일측 받침턱(21) 상에 설치되는 마그네틱 눈금자(90)와 피스톤 스톱퍼(100) 및; 상기 서보실린더(20) 측면 중앙부에 형성된 유압공(21)으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구동장치(A)로 구성되어 해수 관련 기기의 정비시에 유압회로에 의해 오일의 공급을 조절함으로써 가변익 펌프의 베인 동작을 신뢰성 높게 점검하여 정비의 품질을 높이고, 장비의 개발전 계획예방정비 수행 과정에서 가변익 펌프에 있어서의 베인의 오일 압력에 의한 동작 및 그에 따른 문제점 발생을 간편하게 점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러너 보스(Runner Boss)의 동작 검사, 풀 스트로크(Full Stroke) 검사, 동작압력 검사, 동작시 러너 보스(Runner Boss) 내부 오일의 누설여부 검사, 베인 동작시 간섭여부 검사 및 피스톤 행정과 베인의 개폐각도 비교 검사 등을 베인이 움직이는 각도와 피스톤 행정을 용이하게 비교 점검하여 검사할 수 있는 각별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정비 현장에서 간단한 과정을 통해 대형 수직 전동기나 수직 펌프를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평으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수직 전동기 및 수직 펌프의 수평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정비용 기초대 위에 적재된 수직 전동기 및 수직 펌프의 수평을 조정하기 위한 수평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비용 기초대 위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블록; 상기 고정 블록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수직 전동기 및 수직 펌프의 수평을 조절하는 슬라이딩 블록; 상기 슬라이딩 블록을 이동시키기 위한 블록 이동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지상태의 다축 터빈발전기의 베어링 대(pedestal) 플렌지 면에 다수의 측정지점을 설정하여 높이를 측정하여 기준 값을 얻은 후, 운전상태에서 운전 조건의 변화에 따라 동일한 측정지점에서 높이를 측정하여 변화 값을 얻어 이를 상기 정지상태의 기준 값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축 정렬에 반영하는 다축 터빈발전기 회전축 정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를 통해 터빈발전기 운전의 안전을 도모하고, 신뢰성을 구축하며, 정비 품질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정비 인원 및 시간을 단축시켜 설비의 운전 및 관리를 효율적이고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