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보일러 탈황설비에서 배기가스 계통에 설치되는 가스쿨러 진동저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소의 연소실에서 연소된 연소가스인 배기가스를 안내하는 튜브들의 진동을 감소시키어 튜브들의 리크(Leak) 발생을 저감시킴에 따라 가스쿨러의 수명 연장뿐만 아니라, 정비비용의 절감과 안정적으로 설비운영에 기여할 수 있는 보일러 탈황설비의 가스쿨러 진동저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냉각수가 냉각수 입구(1)를 통하여 유입되어 냉각수 출구(2) 쪽으로 배출되되, 상기 냉각수 입구(1)와 냉각수 출구(2) 사이에는 튜브(3)들이 다발방식으로 배치되는 튜브군(30)들이 정렬되고 이 튜브군(30)들 사이로 배기가스가 통과하여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보일러 탈황설비의 가스쿨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튜브군(30)들 사이에는 테프론 재질의 배플판(4)들이 등간격으로 연속 배치되는데, 이 배플판(4)들은 이웃하는 동일한 상하 배플판(4)들과 서로 엇갈려 배치되면서 튜브 지지 파이프(5)들과 이 배플판(4)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구멍(8)에 관통되어 연결되는 케이블 타이(6)를 매개로 체결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제 1 워터 자켓 및 제 2 워터 자켓을 구비함으로써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염 검출 장치가 개시된다. 일 예로, 연소기의 외벽에 설치되는 화염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염 검출 장치는, 상기 연소기 내부의 화염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을 검출하는 검출기; 상기 검출기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제 1 냉각 통로를 구비하는 제 1 워터 자켓;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연소기 및 검출기와 연결되며 내부에 관통홀을 구비하는 연결부; 상기 연결부 중 상기 검출기와 인접한 둘레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제 2 냉각 통로를 구비하는 제 2 워터 자켓을 포함하는 화염 검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발전소 가스터빈을 제어하는 주제어설비에 맞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현재 입력되는 전압이 기준전압보다 낮은지 또는 높은지를 감지하는 저전압 및 고전압 감지회로와, 전원공급장치 내부회로의 전압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 내부 자체 전압 제어회로, 초기에 과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는 돌입전류 감지회로, DC 80V~140V의 전압을 DC 5V로 변환시켜 DC 5V를 출력시키는 제1출력전압 변환회로, DC 80V~140V의 전압을 DC ±15V로 변환시켜 DC ±15V를 출력시키는 제2출력전압 변환회로, 출력단 DC 5V회로의 과대 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1대전력 제어회로, 출력단 DC ±15V회로의 과대 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제2대전력 제어회로, 전원공급장치의 내부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 내부 보호회로 및, 출력단 각 채널별 출력전압의 정상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램프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전원공급장치 내부 자체 전압 제어회로 및 보호회로를 통해 가스터빈 주제어설비가 안정적으로 동작될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의 터빈로타에 설치되는 터닝기어 축 밀봉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 터닝기어 축과 하우징의 관통부분 밀봉 슬리이브 틈새 사이로 오일 침투를 방지한 터빈 터닝기어 축 밀봉구조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우징(1) 내부에서 기어(2)가 장착된 기어 축(3)과 접하여 설치되는 슬리이브(4)와 O-링(5)을 갖춘 터빈 터닝기어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 내부에는 기어 축(3)에 접한 슬리이브(4)와 이격 설치되어 이 기어 축(3)과 슬리이브(4)의 틈새 사이로 오일 침투를 방지하는 덮개 커버(7)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복합화력 발전기의 본체 케이싱 내부 충진된 냉각용 수소가스의 외부 누설을 방지하는 발전기 케이싱의 밀봉구조에 관한 것으로, 냉각용 수소가스가 내부에 충진된 발전기를 본체 케이싱(2) 및 외부 케이싱(1)으로 감싸 보울트(4)로 체결하여 이루어진 발전기 케이싱의 가스누설 방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2)과 외부 케이싱(1)의 결합면(5)들 사이에 형성된 밀봉홈(6)에는 밀봉재(3)가 장착되고, 이 밀봉재(3) 둘레를 접착제(7)로 도포하여 기밀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가스터빈 발전기의 가스터빈 고정익(일명, 노즐블럭이라고도 칭함)을 터빈 케이싱에 조립할 때 고온가스의 누출을 막기 위한 밀봉체의 조립용 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가스터빈(1)의 고정익(2)과 이웃하는 다른 고정익(2a)의 슬롯홈(3, 3a)에 실플레이트(4)가 조립되어 고온가스의 누출을 막는 가스터빈의 고정익 밀봉체의 조립용 가이드에 있어서, 상기 고정익(2)의 한쪽 슬롯홈(3)에는 탄발성의 집게형 실플레이트 가이드(8)가 삽입되되, 이 실플레이트 가이드(8)는 고정익(2)의 슬롯홈(3)에 고정되는 고정부(5)와 이웃하는 고정익(2a)의 슬롯홈(3a)에 삽입된 실플레이트(4)의 일측단을 안착홈(6)으로 안내하는 V자형 안내면(7)을 연속 연결하여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비표준 석탄화력 발전소의 정확한 회부착성 판정을 위하여 종래의 표준발전소 회부착성 판정지표인 회융점(IDT), 염기성 성분/산성성분비율(B/A Ratio), 산화철/칼슘비율(Iron/Calcuim ratio) 3개 지표를, 새롭게 개발한 회부착성 판정지표, 즉 이 지표의 회의 융점 특성 4개 항목, 점도 특성 2개 항목, 총 6개 항목으로 변경 적용하여, 광범위하고 종합적으로 보일러 회부착성 판정의 정확도를 높임으로써 비표준 석탄화력 발전소의 보일러 회부착성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표준 석탄화력 발전소의 보일러 연소상태 판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석탄화력 발전소의 탈황설비 흡수탑 내부 슬러리를 최적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재순환 배관을 통해 슬러리 일부를 재순환 시킬 때 재순환 배관에 설치된 오리피스 막힘 현상에 대한 정비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발전정지 예방, 정비인력 축소 운영, 슬러리의 외부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개선된 슬러리 재순환 배관의 오리피스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탈황설비 흡수탑의 재순환 배관(1)의 연결 부분인 플랜지(2a)와 플랜지(2b) 사이에 보울트(3)를 매개로 체결되는 오리피스 구멍(7)을 갖춘 오리피스 개폐 밸브판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개폐 밸브판(5)의 하부 말단(5a)은 라운드진 형상으로 배관(1)의 통로 단면과 동일한 단면반경을 갖춘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이 오리피스 개폐 밸브판(5)의 하부 말단(5a) 위쪽으로는 오리피스 구멍용 링(6)이 억지끼움 방식으로 장착되어 오리피스 구멍(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오리피스 개폐 밸브판(5)의 반대쪽 선단(5b)은 핸들(8)에 의해 전, 후진되는 스크류 축(9)과 보울트(1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배관(1)의 통로에서 오리피스 구멍(7)을 개폐 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순수제조설비, 복수탈염설비, 오폐수처리설비, 화학반응시설 등에 설치되어 여과, 흡착, 이온교환, 이온교환수지 재생, 화학반응공정 및 화학세정액 분사공정 등을 수행하는 물질이동탑 또는 물질이동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공정들에서 유량의 균등분배를 목적으로 설치되어 여과, 흡착, 이온교환 등 물질이동공정과, 화학반응 및 화학세정공정 등의 효율 향상을 위해 유입 유량이 전단면에 균등하게 분배될 수 있게 하는 물질이동탑내 방사형 분사관의 설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처리설비, 화학, 환경설비 중 각종 여재층을 충전할 물질이동 탑 내에 설치되어 유입 유량의 분배를 위해 허브에 연통된 방사형 유량 분사관의 분사면에 분사구멍들을 배치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탑의 반경부분에 위치한 한 개의 방사형 분사관(1)의 분사 분할면(1a)의 수(Ln)는 다음 [16]식을 만족하고, 상기 분사 분할면(1a)에 단열 또는 다열방식으로 배치되는 다수 개의 분사구멍(3) 들은 허브(4)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그 간격들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데, 상기 분사구멍(3)의 위치(Hn)들은 다음 [18]식에 의해 결정되고, 상기 분사구멍(3) 들의 총 설치 갯수(NTH)와 그 직경()은 다음 [19]식과 [23]식에 의해 각각 결정 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이동탑내 방사형 분사관의 설계방법. [16] (여기서, n은 탑의 직경기준 분사 분할면 수, 즉 허브를 포함한 분사관의 분사구멍 열수, D1은 허브(4)의 직경, Dn은 물질 이동탑의 직경) [18] (여기서, 은 분사 분할면의 경계인 원의 직경 Dn-1과 Dn 사이의 분사 분할면의 너비, n은 탑의 직경기준 분사 분할면 수,은 허브(4)의 직경,은 허브의 반경) [19] (여기서,은 분사관 당 분사구멍의 수, 은 분사관 수) [23] (여기서 qH는 각 분사구멍(3)의 분사유량, u는 분사유량의 선속도)
본 발명은, 보일러 송풍기의 풍량 조절용 구동장치의 고장을 진단하여 구동장치의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송풍기 구동장치의 고장 진단 및 전원차단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송풍기 구동장치의 고장 진단 및 전원차단 시스템은, 구동장치의 제어 지령신호와 구동장치 개도신호를 합산하는 합산기와, 노내압 제어설정치와 노내압을 합산하는 합산기, 지연기, 논리곱회로로 이루어진 송풍기 구동장치 고장 진단회로와; 상기 송풍기 구동장치 고장 진단회로에 의한 고장진단에 따라 구동장치의 전원을 차단시켜 전개 또는 전폐로 인한 운전 제한치 초과를 방지하여 발전기의 비상정지를 방지하는 구동장치 전원차단용 계전기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보일러 송풍기 구동장치의 고장을 진단하여 구동장치 전원차단용 계전기에 의해 구동장치의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보일러 송풍기 구동장치의 고장으로 인한 발전정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석탄화력 발전소 보일러의 통풍 계통에 설치되는 송풍기 팬 구동장치가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 송풍기를 정지하지 않고 구동장치만 분리하여 수리 정비함에 따라 기동 정지에 따른 전력생산의 감소와 설비효율 저하를 방지하는 석탄화력 보일러 운전 중 송풍기 팬 조절 구동장치 고장의 정비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전출력을 고정하고 운전모드 변경과 제어모드 절체 및 가상신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모터부와 날개 조절부 연결 웜 기어를 분리하는 구동장치 부품 부분 분리단계; 상, 하한 제한 스위치를 기준으로 축 회전수를 측정하여 분리 위치표시를 수행하는 구동장치 분리 위치파악 단계; 구동장치의 고장부품을 교체 및 수리하는 구동장치 정비단계; 상기 상, 하한 제한 스위치 및 가변저항을 기준으로 교정하는 구동장치 간접 교정단계; 구동장치 분리전 위치에 위치하도록 제어신호 지령 값을 조정하는 구동장치 분리전 위치로 조정후 위치 재확인 단계; 구동장치 연결과정에서 불시에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동장치 전원 차단단계; 분리된 기어박스를 연결하는 부품 조립단계 및; 정상운전 모드로 원위치 시키는 구동장치 운전모드 정상화 단계로 수행된다.
본 발명은 발전소용 가스터빈 운전시 이 가스터빈에 압축 공기를 분무 공급하는 배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기 추가 배관을 신설하여 경유 및 천연가스 연료 사용시 운영방법을 선택 사용하여 이 공기분무 계통라인의 고장요인을 제거함에 따라 발전설비의 안정적인 운영이 이루어지는 발전소용 가스터빈의 공기분무 배관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무용 공기 압축기(1)의 공급배관(2)이 가스터빈(3)의 연료통로(4)에 직접 연결되고, 이 공급배관(2)에서 분지된 쿨러(5)를 갖춘 퍼지배관(6)이 퍼지밸브(7)를 매개로 가스터빈(3)의 연료통로(4)와 연결되며, 상기 가스터빈(3)의 출구 공기배관(8)이 다른 쿨러(9)와 필터(10) 및 오리피스(11)를 거쳐 분무용 공기 압축기(1)에 연결되어 이루어진 발전소용 가스터빈의 공기분무 배관구조에 있어서, 상기 출구 공기배관(8)에는 쿨러(9)와 필터(10) 사이에 기수 분리기(14)가 설치되고, 상기 공급배관(2)과 퍼지배관(6) 사이에 연결되는 바이패스 배관(13)은 밸브(12)를 갖춘 연결배관(17)으로 이 출구 공기배관(8)과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셀룰로시마이크로비움 속 HY-13(Cellulosimicrobium sp. HY-13) 균주로 부터 생산된 만난아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무척추동물로부터 분리한 셀룰로시마이크로비움 속 HY-13균주로부터 생산된 고활성의 신규한 만난아제 (mannanase)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균주로부터 생산된 만난아제는 곡물 및 식물에 포함된 헤미셀룰로오스 중 만난을 분해하여 이를 이용한 가수분해물의 바이오 매스 전환 또는 사료 원료로의 이용 가치를 높이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벨벳애플(Diospyros blancoi A. DC.)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 및 지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벨벳애플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 및 ABTS 자유라디칼 소거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벨벳애플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올 분획물이 탁월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노화방지 및 지연용 화장료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식품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물억새(Miscanthus sacchariflorus) 뿌리로부터 분리한 미생물을 이용한 식물 생장 촉진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억새 뿌리로부터 분리한 투메바실러스 속(Tumebacillus sp.) BE501, 바실러스 속(Bacillus sp.) BE506, 아그로박테리움 속(Agrobacterium sp.) BE516 및 라시니바실러스 속(Lysinibacillus sp.) BE533 균주는 식물 생장을 촉진하는 옥신(Auxin) 및 ACC 탈아미노화 효소(ACC deaminase)를 생산하고, 억새, 밀, 보리, 벼, 수단그라스, 배추, 오이 및 토마토에 대하여 현저한 종자 발아 촉진 효과 및 생장촉진 효과를 나타내므로 종자 발아 촉진용 미생물 제제 및 식물 생장 촉진용 미생물 제제의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