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이동식 우산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건물 또는 공공장소의 실내오염 방지와 일회용품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우산에 남아있는 빗물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압축공기를 우산으로 분사하되, 우산을 식별하여 작동되고, 배터리의 이용으로 이동이 용이하며, 추가적으로 우산에 잔존되는 빗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 이동식 우산 건조기 및 우산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가스 터빈 출력 증대가 가능한 지역난방수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절기에는 가스 터빈에서 배출되는 공기열을 히트펌프의 증발기를 통해 냉각시켜 재공급하도록 함으로써 가스 터빈의 입구흡입공기를 냉각시킴으로써 가스 터빈 출력을 증대시켜 하절기 전력예비율 증대 및 에너지 절감을 이룰 수 있고, 동, 춘, 추절기에는 냉각수 배출 기기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히트펌프의 증발기로 공급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중 지역 난방수를 승온시킴으로써 폐열을 회수하도록 하는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가스 터빈 출력 증대가 가능한 지역난방수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이드로 클레이와 보온재가 충진된 지역난방 열배관용 이형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 곡률로 벤딩되어 지역난방 열배관과 양단이 연결되고, 내부에 중온수가 이동되는 내관과; 상기 내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관이 내부에 삽입되는 외관과;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보온재; 및 상기 보온재와 혼합되어 상기 공간부에 충진되는 충진재로서 하이드로 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곡률로 벤딩된 이형관의 내관과 외관 사이에 하이드로 클레이와 보온재를 혼합하여 충진함으로써 보온재에 전달되는 전단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열배관에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부 저온수 유출이 가능한 축열조용 오버플로우 배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온수와 고온수가 성층되어 저장되는 축열조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 배관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배관은 상기 축열조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단이 절곡되어 수평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부가 상기 축열조의 셀을 관통하여 내부로 인입되는 외부 배관과; 상기 축열조의 내측인 상기 외부 배관의 수평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수직으로 상기 축열조의 내측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엘보 배관과; 상기 엘보 배관의 타단과 일단이 연결되되, 양단이 상기 축열조의 내측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U형 배관; 및 상기 U형 배관의 타단과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축열조의 내측에서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축열조의 저온부와 위치하는 내부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축열조에 저장된 지역난방수의 한계수위 초과로 인하여 오버플로우 현상 발생시 하부의 저온수를 외부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열 손실이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퓨져에 급기구와 배기구를 각각 형성하고, 급기구 측에 팬과 플랩을 부착하여 덕트의 정압을 보상하고, 덕트의 부압으로 배기구를 통해 실내 공기를 배기하도록 하며, 급기구 측에 플랩을 설치하여 급기 방향과 풍량을 자유롭게 사용 및 분배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급기 방향과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팬부착 급배기 일체형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압 유량 조절 밸브의 배관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관중 공급관에 제 1테스트웰과 제 1온도 센서 및 제 1, 2압력 계측 포인트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배관중 회수관에 유량 센서와 제 2테스트웰과 제 2온도 센서 및 제 3압력 계측 포인트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며, 상기 제 1, 2압력 계측 포인트 사이에서 상기 공급관과 공급측 도압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3압력 계측 포인트의 후단에서 상기 회수관과 회수측 도압관을 통해 차압 유량 조절 밸브(10)를 연결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회수관에 I형 온도 게이지를 설치하고, I형 온도 게이지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시켜 차압 유량 조절 밸브의 다이아프램 파손 여부를 온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대처를 취할 수 있고, 차압 유량 조절 밸브의 고장으로 열공급 장애 및 타 설비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역냉방용 제습냉방시스템의 사용자시설에 대한 미세유량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온수의 유량을 외부 제어에 따라 제어하는 메인 온도제어밸브와; 상기 메인 온도제어밸브의 상하단과 분기 배관을 통해 병렬 연결되고, 외부 제어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온수의 유량을 미세 조절하는 미세조절용 온도제어밸브; 및 상기 열교환기의 온도센서로부터 급수 온도를 입력받아 급수 온도가 제 1기준 온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미세조절용 온도제어밸브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기설정된 값에 따라 상기 메인 온도제어밸브의 개폐도 조절을 통해 유량을 제어하여 기준 열량으로 조절하며, 급수 온도가 제 2기준 온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메인 온도제어밸브를 폐쇄시키고, 상기 미세조절용 온도제어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기설정된 값에 따라 상기 미세조절용 온도제어밸브의 개폐도를 조절하여 기준 열량으로 조절하는 온도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제어밸브와 병렬로 별도의 미세유량 조절용 온도제어밸브를 설치하고 계절 또는 수요량에 따라 상호 교대 사용함으로써 정상적인 미세유량 조절을 가능하고, 또한, 미세유량 조절용 온도제어밸브를 설치함으로써 부하의 요구에 대한 미세한 유량조절이 가능하여 제습냉방기의 냉방성능 감소 및 유체의 맥동현상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을 유발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역난방의 저온저압 열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 온도의 저온수를 생산하는 저온 열원과; 상기 저온 열원에서 생산된 잉여 고온수를 저장하였다가 열부하가 높은 시간에 저장열을 방출함으로서 일일 첨두부하를 담당하는 저온수 저장 탱크인 축열조와; 상기 저온 열원 및 축열조로부터 생산된 저온수를 전달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저온수를 일정 압력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및 상기 순환펌프와 연결되어 열공급대상지역까지 저온수를 수송 및 회수하는 플라스틱 열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소규모 열공급지역, 지형적인 요인 또는 고압의 연계배관 등에 의한 간접열공급지역, 태양열, 지열 등의 신재생에너지 및 하천수 등의 미활용에너지 등과 같은 저온의 열원을 활용하는 지역에 온수의 압력 및 온도를 6~10bar, 80~100℃로 공급하고, 열수송관을 플라스틱 열배관을 사용함으로써 열생산 시설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압력 및 열손실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채널 및 습채널을 구획하도록 제 1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습채널을 순차적으로 제 1습채널과 제 2습채널로 구획하도록 제 2격벽이 설치되며, 외기를 흡기하도록 상기 제 1습채널의 타단에 외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외기를 배기하도록 상기 제 2습채널의 일단에 배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습채널의 외기를 상기 제 2습채널로 공급하도록 상기 제 2격벽의 측면에 유동구가 형성되고, 공조 공간의 순환 공기를 흡기하도록 상기 건채널의 일단에 순환 공기 흡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공조 공간에 냉각 공기를 급기하도록 상기 건채널의 일단에 급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제 2격벽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외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제 1습채널로 유입되는 외기와 상기 제 2습채널을 통해 배기되는 외기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현열교환기와; 상기 제 2습채널 내에서 상기 현열교환기의 후단과 상기 유동구 사이에 설치되고, 온수를 공급받아 상기 제 2습채널을 통과하는 외기를 고온으로 변화시키는 히팅 코일과; 상기 히팅 코일의 후단과 상기 유동구의 사이에서 상기 제 1격벽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건채널의 순환 공기의 습기를 흡착하여 제습하고, 상기 제 1습채널의 고온 외기로 흡착된 습기를 증발시켜 재생하는 제습 휠; 및 상기 건채널 내에서 상기 순환 공기 급기구와 상기 제습 휠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습 휠에 의해 제습되어 고온 건조해진 순환 공기를 냉각시켜 냉각된 순환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급기구로 급기하는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역난방 온수, 소규모 지역난방 온수, 각 세대에 설치된 가스 또는 기름 보일러의 온수를 공급하여 냉방을 수행함으로써 대기압 상태에서 운전이 이루어져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역난방용 제습냉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채널과 습채널을 구획하도록 격벽이 설치되고, 외기가 배기되도록 상기 습채널의 일단에 배기구가 형성되고, 외기가 흡기되도록 상기 습채널의 타단에 외기 흡기구가 형성되며, 공조 공간의 순환 공기가 흡기되도록 상기 건채널의 일단에 순환 공기 흡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공조 공간에 냉각 공기가 급기되도록 상기 건채널의 타단에 급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상기 외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습채널로 유입되는 외기와 상기 건채널로 유입되는 순환 공기를 상호 열교환시키는 현열교환기와; 상기 습채널 내에서 상기 현열교환기의 후단과 상기 배기구 사이에 설치되고, 온수를 공급받아 상기 습채널을 통과하는 외기를 고온으로 변화시키는 히팅 코일과; 상기 히팅 코일의 후단에서 상기 격벽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건채널의 순환 공기의 습기를 흡착하여 제습하고, 상기 습채널의 고온 외기로 흡착된 습기를 증발시켜 재생하는 제습 휠; 및 상기 건채널 내에서 상기 순환 공기 급기구와 상기 현열교환기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습 휠에 의해 제습되어 고온 건조해지고, 상기 현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되어 냉각된 상기 건채널의 순환 공기를 냉각시켜 냉각된 순환 공기를 상기 케이스의 급기구로 급기하는 재생형 증발식 냉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역난방 온수, 소규모 지역난방 온수, 각 세대에 설치된 가스 또는 기름 보일러의 온수를 공급하여 냉방을 수행함으로써 대기압 상태에서 운전이 이루어져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시스템의 구성을 간단히 하여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역난방시스템의 연료펌프 트립시 스탠바이 펌프의 속응성 개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을 발생하는 연소장치와, 상기 연소장치에 연료를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연료 라인과, 상기 연료 라인에 연결되는 연료 펌프와, 상기 연료 라인으로부터 병렬로 분기되는 보조 연료 라인과, 상기 보조 연료 라인에 연결되는 스탠바이 펌프를 구비하는 지역난방시스템의 연료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료 펌프의 트립시 동작되어 상기 연소장치와 상기 연료 펌프 사이의 상기 연료 라인에 설치되어 연료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 1어큐뮬레이터와; 상기 연료 펌프의 트립시 동작되되, 상기 제 1어큐뮬레이터와 함께 동작되어 상기 연소장치와 상기 연료 펌프 사이의 상기 연료 라인에서 분기 연료 라인에 의해 병렬로 분기되어 연료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 2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소장치의 정상운전중 연료 펌프가 트립될 경우 스탠바이 펌프가 기동되어도 정상압력을 회복하는 동안 연료 라인의 압력 저하로 연소장치가 트립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역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난방시스템 가동시 발생되는 진동을 기존 배관과 연계하여 감쇄 및 분산하여 진동에 취약한 배관을 보강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난방시스템은, 일정거리로 이격된 난방시스템용 배관(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구(10,20)와;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결합구를 연결하는 연결구(30)를 포함하여 상기 배관에 발생되는 진동을 분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관 결합구는 각각 상기 배관을 감싸며 서로 대칭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반원형 결합편(11,12)(21,22), 상기 한 쌍의 결합편을 체결하는 하나 이상의 체결구(13.23) 및 상기 반원형 결합편의 마주하는 단부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연결구에 연결되는 연결편(14,24)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지역난방수를 이용하는 열병합발전용 콘덴싱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가스터빈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연소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증기를 생산한 후 온도가 낮아진 연소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열회수 보일러와; 상기 배열회수 보일러로부터 배출되는 연소 배기가스를 대기로 방출하는 연돌과; 상기 배열회수 보일러의 후단부에 코일이 설치되고, 지역 열공급 후 회수되는 지역 난방수가 유입되고, 유입된 지역 난방수를 연소 배기가스의 여열로 가열하여 배출하는 DH 이코너마이저와; 상기 DH 이코너마이저의 코일 후단부에 콘덴싱 코일이 설치되고, 내부에 냉수가 순환되도록 폐회로를 구성하는 콘덴싱 DH 이코너마이저; 및 지역난방수, 상기 배열회수 보일러에서 생산되는 증기, 발전소에서 생산되는 전기중 어느 하나의 구동 열원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콘덴싱 DH 이코너마이저의 냉수를 냉각시켜 연소 배기가스의 여열을 회수하고, 회수된 여열을 이용하여 상기 DH 이코너마이저로 유입된 지역 난방수를 가열시켜 상기 DH 이코너마이저로 배출하는 히트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배열회수 보일러의 DH 이코너마이저 후단부에 콘덴싱 DH 이코너마이저를 설치하고, 히트펌프에서 냉각된 냉수를 순환시켜 연소 배기가스에 포함된 습분을 응축시켜 잠열까지 회수함으로써 연소 배기가스에 포함된 여열을 적극 회수하여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또한, 지역난방수를 콘덴싱 DH 이코너마이저에서 회수한 여열을 이용하여 히트펌프에서 1차 가열하여 DH 이코너마이저에 공급함으로써 저온부식을 방지하여 DH 이코너마이저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역난방 이중보온관 벤딩용 치구에 관한 것으로, 이중보온관의 설치 현장에서 바로 이중보온관의 곡률을 현장 상황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역난방 이중보온관 벤딩용 치구는,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프레임(1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다수의 연결바(20)를 통해 결합되며 서로 다른 곡률을 갖는 복수의 곡선부(31a,31b,31c,31d,31e)가 구비된 벤딩안내부(30)와; 상기 벤딩안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이중보온관(1)의 일측을 고정하는 고정블록(40)과; 그리고, 상기 벤딩안내부에 안착된 상기 이중보온관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이중보온관이 벤딩되도록 유도하는 벤딩작동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지역난방 열배관 압력을 전기 또는 열 에너지로 변환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역난방수의 압력 강하가 필요한 열배관 내에 수차를 설치하여 지역난방수에 의해 수차가 회전되어 압력을 강하시키고, 수차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 에너지로 발전기를 구동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고, 발전기의 속도 제어 후 발생되는 DC 전력을 공급관에 설치된 전기 히터로 공급하여 지역 난방수를 가열하거나, 또는 수차의 속도 제어를 위해 공급관에 설치된 마그네틱 히터를 기어를 이용하여 회전시키고, 마그네틱 히터에서 와전류 유도에 의해 발생되는 열로 지역 난방수를 가열시킴으로써 버려지는 에너지를 회수하도록 하는 지역난방 열배관 차압 에너지 변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