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에 의한 1선로 통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현장센서 또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현장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정보수집모듈(100); 상기 정보수집모듈(100)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연산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발광모듈(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보드(200); 및 상기 제어보드(20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바탕으로 현장의 상황을 색으로 나타내는 발광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1선로 통신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발광모듈(300)을 연속으로 직렬연결이 가능하기 때문에, 추가 확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신호를 통해 LED를 개별로 빨간색, 파란색 및 초록색 256단계로 구분이 가능하여 여러 가지 색상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정전류 LED드라이버가 구성되어 주야간에 휘도 조절이 가능하여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랙에 적재된 물품 중 출고할 물품만 피킹하여 설정 목적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랙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피킹로봇을 포함한 물류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피킹로봇을 포함한 물류 이송 시스템은 복수의 수직랙 및 수평랙으로 구성되어 하나 이상의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공간이 형성되는 랙; 상기 랙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물품을 피킹하여 설정된 목적지로 이송시키는 피킹로봇; 및 상기 랙과 피킹로봇의 작동을 제어하는 중앙서버;로 구성된다. 상기 랙은 결합 바디와, 상기 결합 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피킹로봇이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홀과, 상기 결합 바디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피킹로봇은 이동 및 가감속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 및 상기 결합홀과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물품을 파지하는 로봇암과, 상기 본체 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결합홀과 결합 또는 결합 해제되는 어태치먼트로 구성되어, 상기 피킹로봇은 결합홀에 결합된 후 승강부에 의해 물품 위치로 승강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킹로봇이 수직랙에 결합된 후 수직랙을 따라 승강 가능함으로써, 랙에 적재된 물품 중 출고할 물품만 피킹하여 설정 목적지까지 이송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IoT 제어 및 모니터링 기능을 가진 스마트 냉동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동 공조 기기와 상기 냉동 공조 기기를 작동시키고, 사물인터넷 기능이 발생할 수 있도록 연결시켜 주는 IoT 제어부와 상기 IoT 제어부와 연결되어 감지정보를 획득 및 외부 환경에 따라 제어되는 센서부와 상기 IoT 제어부와 인터넷 포트로 연결되며, 상기 IoT 제어부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냉동 공조 기기에 전원을 발생시키는 전원부와 상기 냉동 공조 기기의 데이터를 전송받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스마트폰과 상기 냉동 공조 기기에 구비되어, 실시간으로 운전 상태를 감지하는 운전상태 감지수단; 및 상기 운전상태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 데이터를 제공받아 운전 사이클의 이상상태 유무를 판단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경사면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경사각도만큼 신발의 뒷꿈치에 경사를 주어 경사가 있는 곳에서도 신발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경사면을 계단을 오르는 것처럼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도 조절이 가능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르막을 보행시 경사도를 측정하여 측정된 경사도에 따라 신발의 경사도가 조절되어 편하게 오르막을 오를 수 있도록 함으로서 특정 신체부위에 과도하게 힘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파일 복사 유출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기밀 파일 보호를 위해 기밀 파일의 허가받지 않은 복사 또는/및 이동을 차단하면서도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처리 부하를 최소화하는, 파일 복사 유출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기기에서 파일에 대한 복사 또는 이동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탐지하는 단계; 상기 복사 또는 이동 이벤트가 탐지된 경우, 상기 파일의 해시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파일에 대해 무작위의 문자열을 대칭키로 생성하는 단계; 상기 파일을 상기 대칭키로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파일의 해시값과 대칭키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기밀 파일 여부를 수신받는 단계; 상기 파일이 기밀 파일인 경우: 상기 파일을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이 일반 파일인 경우: 상기 파일을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파일 복사 유출 방지 클라이언트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판(23)이 우측 방향과 평행한 위치에 배치되는 제 1단계, 상기 베이스판(23)이 사전에 설정된 세팅위치에 배치되는 제 2단계, 제1 용접부재(1)가 장착부(45a)에 장착되고, 제2 용접부재(2)가 상기 제1 용접부재(1)에 임시로 고정되는 제 3단계, 상기 제2 용접부재(2)가 가압부(34b)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정위치에 배치되는 제 4단계, 상기 제1 용접부재(1) 및 제2 용접부재(2)가 사전에 설정된 제2 기준속도로 회동하는 제 5단계, 상기 제1 용접부재(1) 및 제2 용접부재(2)가 레이저 빔에 의해 용접 결합되어, 용접품(3)이 형성되는 제 6단계, 상기 가압부(34b)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제 7단계, 상기 용접품(3)이 상기 장착부(45a)로부터 제거되는 제 8단계 및 상기 베이스판(23)이 원위치로 복귀하고, 상기 장착부(45a)의 회동이 중지되는 제 9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펠티어소자를 통해 냉온 기능을 조절가능한 핸드피스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핸드피스본체와, 상기 핸드피스본체의 일단에 형성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핸드피스유닛; 상기 핸드피스본체 내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전원의 전류방향에 따라 냉온방향이 전환되어 발열작동 또는 흡열작동이 이루어지는 펠티어소자부와, 상기 펠티어소자부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내부로 포집 및 냉각시키는 열포집부를 포함하는 펠티어소자유닛; 상기 펠티어소자유닛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유닛; 및 상기 핸드피스본체의 타단에 설치되며, 상기 펠티어소자부와 연결되어 상기 펠티어소자부로부터 냉열 또는 온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방출하는 방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핸드피스를 통해 피부에 화장품의 유효성분 흡수를 최적화시키고 피부를 진정시킬 수 있도록 온열 기능 및 냉각 기능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비콘을 이용한 출입자 명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코로나 19 등 감염병의 확산 시 역학 조사를 위해 기록하는 출입자 명부의 기록을 사용자의 별도의 행동 없이도 자동으로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출입자 명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자 명부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시설물의 출입구에 배치되어, 소정의 패킷을 멀티캐스팅으로 송출하는 비콘; 상기 시설물에 출입하는 출입자가 구비하는 단말기; 및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연결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출입자로부터 사전에 단말기 제어 권한을 허용받아,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며 상기 패킷의 수신을 감지하는 수신모듈; 상기 수신모듈에서 -30dBm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패킷을 2초 이상 수신했을 때, 상기 시설물에 출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출입판단모듈; 및 상기 출입판단모듈에서 출입이 판단되었을 때, 비콘에서 수신된 소정의 패킷에, 현재시간 및 단말기의 전화번호 정보를 부가하는 데이터처리모듈; 상기 데이터처리모듈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출입자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상기 출입자가 시설물에 출입할 때, 비콘에서 송출되는 패킷을 단말기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감지했을 때 출입자가 해당 시설물에 출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서버에 출입자의 출입 이력을 기록하는, 비콘을 이용한 출입자 명부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콘텐츠에 대한 감성평가 방법에 있어서, 판매 중인 다수 개의 콘텐츠로부터 후기데이터를 수집하는 후기데이터 수집단계; 상기 수집된 후기데이터 중 중복되는 후기데이터 또는 빈 후기데이터를 제거하고, 인공지능에 사용가능하도록 상기 수집된 후기데이터를 전처리하는 후기데이터 전처리단계; 상기 전처리된 후기데이터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학습을 통해 인공지능 모델을 훈련하는 인공지능 모델 훈련단계; 및 상기 훈련된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신규 콘텐츠 또는 신규 후기를 평가하는 감성평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콘텐츠에 대한 후기데이터를 수집 및 정리하여 콘텐츠 기획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콘텐츠 서비스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있으며, 차후에 창작될 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VR 영상을 이용한 수중 모니터링 장치와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VR 영상을 이용한 수중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수중로봇에 부착된 추적 장치로부터 수중생물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 획득부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수중 영상 및 상기 카메라의 회전각에 관한 제어 정보를 획득하는 제어부와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제어 정보에 기초한 영상 분석을 통해 상기 수중 영상에 나타난 개체에 대응되는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분석부와 수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추출된 식별 정보에 대응되는 수중생물에 관한 정보를 검색하는 관리부 및 상기 수중 영상에 상기 검색된 영상 정보를 나타낸 가상현실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수중드론을 이용한 엄빌리컬 케이블의 엉킴 방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상단에 엄빌리컬 케이블의 일단이 결합된 수중드론이 수면 아래에서 작업할때,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의 엉킴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내부에는 상기 수중드론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전력공급 케이블과 상기 수중드론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이 내장되는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엄블리컬 케이블과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며, 하단은 상기 수중드론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엄블리컬 케이블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케이블 조절장치과 상기 수중드론 상에 구비되어 일측이 상기 인장 스프링과 연결되며, 상기 수중드론의 이동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범위내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에 결합되어 중성 부력을 유지하고 상기 전력공급 케이블, 상기 데이터 케이블을 보호하는 부력체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를 감지하여 기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변화된 위치정보를 도출하는 감지장치와 상기 케이블 조절장치은 상기 감지장치에서 감지된 상기 슬라이딩부의 위치에 따라 상기 케이블의 텐션이 일정범위 내에서 유지할수 있도록 상기 엄블리컬 케이블을 감거나 풀어 주어 꼬임을 방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출원에 의한 성과물은 부산광역시의 대학혁신연구단지 조성사업 중 "동명대학교 대학혁신연구단지 조성산업"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수중드론의 엄빌리컬 케이블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본체를 전후, 상하, 좌 우로 이동시키는 추진장치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해양의 오염물질을 포함한 유체를 여과시키는 정화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해서, 상기 본체를 촬영하는 제1 카메라와 상기 본체에 인접한 주변환경 및 엄빌리컬 케이블을 촬영하고, 상기 제1 카메라에서 촬영된 본체 정보를 실시간 획득하고 데이터화하는 전송모듈이 형성된 제2 카메라와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을 확대하여 찍을 수 있는 제3 카메라가 구비된 촬영장치와 상기 본체의 가운데 부분에는 외부 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과 제어를 받을수 있는 엄빌리컬 케이블을 포함하며, 일정 구역 내를 운행하면서 수중정보의 촬영 수집하는 수중드론과 상기 제2카메라가 상기 엄빌리컬 케이블을 촬영할 때, 상기 제2카메라의 촬영 위치와 각도를 변경시키는 제어신호를 상기 제2카메라에 전송하는 제어신호 전송부와 상기 제2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전달받는 모니터링부와 상기 엄블리컬 케이블은 내부에 상기 수중드론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전력공급 케이블과 상기 수중드론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케이블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출원에 의한 성과물은 부산광역시의 대학혁신연구단지 조성사업 중 "동명대학교 대학혁신연구단지 조성산업" 지원으로 수행되었다.
횡단보도 신호등 보행자 안전장치는, 종래의 보행자 안전장치에 사용하는 안전바가 횡단보도 횡단을 단속할 시에, 동일한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좌우회전하여 미리 설정된 차량 정지영역에서 제 1 차단상태와 미리 설정된 보행자 정지영역에서 제 2 차단상태를 겸용하여 가짐으로써, 보행자 진행과 차량 진행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유닛은 아래의 구성을 가진다. a)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으로부터 녹색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 상기 안전바에서 제 1 차단상태를 가지도록 보행자 정지영역에서 차량 정지영역으로 향하는 정(+) 좌우회전의 안전바 구동동작을 제어한다. b) 반면, 상기 횡단보도 신호등으로부터 적색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에는, 상기 안전바에서 제 2 차단상태를 가지도록 차량 정지영역에서 보행자 정지영역으로 향하는 부(-) 좌우회전의 안전바 구동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보행자 진행과 차량 진행을 단속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자동 소화시스템은,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에 설치되어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는 화재경고위치를 감지하는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와 연동되어 상기 화재경고위치를 촬영하는 열화상 감지기(200); 상기 열화상 감지기(20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의 명령을 받아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화재발생 시 소화를 담당하는 소화부(400); 및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 상기 열화상 감지기(200), 상기 제어부(300) 및 상기 소화부(4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500); 를 포함하고, 상기 열화상 감지기(200)는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210);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열화상이미지를 생성하는 열화상센서모듈(220); 상기 열화상센서모듈(220)에서 생성된 열화상 이미지에서 소정 온도 이상의 열화상이미지만을 추출하는 열화상이미지추출모듈(230); 상기 열화상이미지추출모듈(230)에서 추출된 열화상이미지를 상기 카메라모듈(210)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병합하는 이미지병합모듈(240);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310), 화재발생판단모듈(320), 화재경고위치감지모듈(330), 소화제어모듈(340)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발생판단모듈(320)은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이 정상상태일 때의 기준 열화상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구비하고, 상기 열화상이미지추출모듈(230)에서 추출된 열화상이미지를 상기 기준 열화상이미지와 비교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화재발생판단모듈(320)은 영상분석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분석유닛은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특정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복수의 1차 변환 영상을 생성하는 제1 변환파츠와, 상기 제1 변환파츠에서 변환된 복수의 1차 변환 영상들 각각에 대해 영상내 존재하는 잡음이나 조명의 변화에 무관하고 핵심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2차 변환 영상을 생성하는 제2 변환파츠와, 상기 제2 변환파츠에서 변환된 영상들 각각에 대해 기본요소분석을 통해 리던던시를 줄인 다음 입력 영상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영상을 선별하는 선별파츠와, 상기 선별파츠에서 선별된 영상을 바탕으로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화재판단파츠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경고위치감지모듈(330)은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경고위치를 감지하되,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가 소정의 온도에서 전류가 흐를 경우 소정의 온도 지점까지의 저항 값을 통해 화재경고위치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화제어모듈(340)은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화재발생 시 상기 소화부(400)를 구동제어하되, 상기 화재발생판단모듈(320)과 연동하여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소화부(4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소화부(400)는 소형전술차량 트렁크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화장치(410)와, 소형전술차량 보닛(Bonnet)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보닛의 하부면을 따라 상하 좌우로 이동되며 상기 소화장치(410)에 내장된 소화분말을 소형전술차량의 엔진룸에 분사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모듈(420)과, 상기 소화장치(410)와 상기 분사모듈(420)을 연결하는 배관모듈(430) 및 상기 분사되는 소화분말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모듈(440)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모듈(42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 형상의 배관으로 형성되는 오리피스관을 구비하는 본체파츠(421)와, 상기 본체파츠(421)에 결합되며 상기 오리피스관의 직경 크기를 조절하는 컨트롤파츠(422)와, 상기 본체파츠(421)에 교체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복수의 분사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소화분말을 상기 분사 구멍을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파츠(424)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파츠(422)는 상기 본체파츠(421)에 결합되며 중앙에 소정의 공간이 개방된 내부링판(422aa)과 상기 내부링판(422aa)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외부링판(422ab)이 구비되는 플레이트유닛(422a)과, 상기 플레이트유닛(422a)과 상기 본체파츠(421)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내부링판(422aa)과 상기 외부링판(422ab)에 결합되며 상기 외부링판(422ab)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됨으로써 상기 오리피스관의 직경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유닛(422b)과, 상기 내부링판(422aa)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커버유닛(422c)을 포함하고, 상기 열화상 감지기(200)는 평상시 대기모드로 유지되고,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에 의해 화재경고위치가 특정되는 경우에는 대기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화재경고위치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