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번호 070-8648-2392
Patentall

특허(전기전자)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자동 소화시스템 요약정보 및 구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자동 소화시스템은,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에 설치되어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는 화재경고위치를 감지하는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와 연동되어 상기 화재경고위치를 촬영하는 열화상 감지기(200); 상기 열화상 감지기(20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의 명령을 받아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화재발생 시 소화를 담당하는 소화부(400); 및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 상기 열화상 감지기(200), 상기 제어부(300) 및 상기 소화부(4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500); 를 포함하고, 상기 열화상 감지기(200)는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210);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열화상이미지를 생성하는 열화상센서모듈(220); 상기 열화상센서모듈(220)에서 생성된 열화상 이미지에서 소정 온도 이상의 열화상이미지만을 추출하는 열화상이미지추출모듈(230); 상기 열화상이미지추출모듈(230)에서 추출된 열화상이미지를 상기 카메라모듈(210)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병합하는 이미지병합모듈(240);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310), 화재발생판단모듈(320), 화재경고위치감지모듈(330), 소화제어모듈(340)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발생판단모듈(320)은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이 정상상태일 때의 기준 열화상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구비하고, 상기 열화상이미지추출모듈(230)에서 추출된 열화상이미지를 상기 기준 열화상이미지와 비교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화재발생판단모듈(320)은 영상분석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분석유닛은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특정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복수의 1차 변환 영상을 생성하는 제1 변환파츠와, 상기 제1 변환파츠에서 변환된 복수의 1차 변환 영상들 각각에 대해 영상내 존재하는 잡음이나 조명의 변화에 무관하고 핵심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2차 변환 영상을 생성하는 제2 변환파츠와, 상기 제2 변환파츠에서 변환된 영상들 각각에 대해 기본요소분석을 통해 리던던시를 줄인 다음 입력 영상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영상을 선별하는 선별파츠와, 상기 선별파츠에서 선별된 영상을 바탕으로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화재판단파츠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경고위치감지모듈(330)은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경고위치를 감지하되,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가 소정의 온도에서 전류가 흐를 경우 소정의 온도 지점까지의 저항 값을 통해 화재경고위치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화제어모듈(340)은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화재발생 시 상기 소화부(400)를 구동제어하되, 상기 화재발생판단모듈(320)과 연동하여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소화부(4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소화부(400)는 소형전술차량 트렁크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화장치(410)와, 소형전술차량 보닛(Bonnet)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보닛의 하부면을 따라 상하 좌우로 이동되며 상기 소화장치(410)에 내장된 소화분말을 소형전술차량의 엔진룸에 분사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모듈(420)과, 상기 소화장치(410)와 상기 분사모듈(420)을 연결하는 배관모듈(430) 및 상기 분사되는 소화분말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모듈(440)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모듈(42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 형상의 배관으로 형성되는 오리피스관을 구비하는 본체파츠(421)와, 상기 본체파츠(421)에 결합되며 상기 오리피스관의 직경 크기를 조절하는 컨트롤파츠(422)와, 상기 본체파츠(421)에 교체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복수의 분사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소화분말을 상기 분사 구멍을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파츠(424)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파츠(422)는 상기 본체파츠(421)에 결합되며 중앙에 소정의 공간이 개방된 내부링판(422aa)과 상기 내부링판(422aa)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외부링판(422ab)이 구비되는 플레이트유닛(422a)과, 상기 플레이트유닛(422a)과 상기 본체파츠(421)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내부링판(422aa)과 상기 외부링판(422ab)에 결합되며 상기 외부링판(422ab)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됨으로써 상기 오리피스관의 직경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유닛(422b)과, 상기 내부링판(422aa)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커버유닛(422c)을 포함하고, 상기 열화상 감지기(200)는 평상시 대기모드로 유지되고,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에 의해 화재경고위치가 특정되는 경우에는 대기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화재경고위치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품 선택옵션 0 개, 추가옵션 0 개

판매가격 5,000,000원 7,500,000원
구매 방법 전화 문의, SMS, 이메일
배송비결제 주문시 결제

상품 정보

상품 기본설명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자동 소화시스템은,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에 설치되어 소정의 온도에 도달하는 화재경고위치를 감지하는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와 연동되어 상기 화재경고위치를 촬영하는 열화상 감지기(200); 상기 열화상 감지기(20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300); 상기 제어부(300)의 명령을 받아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화재발생 시 소화를 담당하는 소화부(400); 및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 상기 열화상 감지기(200), 상기 제어부(300) 및 상기 소화부(4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500); 를 포함하고, 상기 열화상 감지기(200)는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210);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열화상이미지를 생성하는 열화상센서모듈(220); 상기 열화상센서모듈(220)에서 생성된 열화상 이미지에서 소정 온도 이상의 열화상이미지만을 추출하는 열화상이미지추출모듈(230); 상기 열화상이미지추출모듈(230)에서 추출된 열화상이미지를 상기 카메라모듈(210)에서 촬영된 이미지에 병합하는 이미지병합모듈(240);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300)는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310), 화재발생판단모듈(320), 화재경고위치감지모듈(330), 소화제어모듈(340)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발생판단모듈(320)은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이 정상상태일 때의 기준 열화상이미지 데이터를 미리 구비하고, 상기 열화상이미지추출모듈(230)에서 추출된 열화상이미지를 상기 기준 열화상이미지와 비교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화재발생판단모듈(320)은 영상분석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영상분석유닛은 상기 카메라모듈(210)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특정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복수의 1차 변환 영상을 생성하는 제1 변환파츠와, 상기 제1 변환파츠에서 변환된 복수의 1차 변환 영상들 각각에 대해 영상내 존재하는 잡음이나 조명의 변화에 무관하고 핵심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2차 변환 영상을 생성하는 제2 변환파츠와, 상기 제2 변환파츠에서 변환된 영상들 각각에 대해 기본요소분석을 통해 리던던시를 줄인 다음 입력 영상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영상을 선별하는 선별파츠와, 상기 선별파츠에서 선별된 영상을 바탕으로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화재판단파츠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경고위치감지모듈(330)은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화재경고위치를 감지하되,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가 소정의 온도에서 전류가 흐를 경우 소정의 온도 지점까지의 저항 값을 통해 화재경고위치를 특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화제어모듈(340)은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화재발생 시 상기 소화부(400)를 구동제어하되, 상기 화재발생판단모듈(320)과 연동하여 소형전술차량 엔진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소화부(4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소화부(400)는 소형전술차량 트렁크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화장치(410)와, 소형전술차량 보닛(Bonnet)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보닛의 하부면을 따라 상하 좌우로 이동되며 상기 소화장치(410)에 내장된 소화분말을 소형전술차량의 엔진룸에 분사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모듈(420)과, 상기 소화장치(410)와 상기 분사모듈(420)을 연결하는 배관모듈(430) 및 상기 분사되는 소화분말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모듈(440)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모듈(42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 형상의 배관으로 형성되는 오리피스관을 구비하는 본체파츠(421)와, 상기 본체파츠(421)에 결합되며 상기 오리피스관의 직경 크기를 조절하는 컨트롤파츠(422)와, 상기 본체파츠(421)에 교체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복수의 분사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소화분말을 상기 분사 구멍을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파츠(424)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파츠(422)는 상기 본체파츠(421)에 결합되며 중앙에 소정의 공간이 개방된 내부링판(422aa)과 상기 내부링판(422aa)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외부링판(422ab)이 구비되는 플레이트유닛(422a)과, 상기 플레이트유닛(422a)과 상기 본체파츠(421)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내부링판(422aa)과 상기 외부링판(422ab)에 결합되며 상기 외부링판(422ab)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됨으로써 상기 오리피스관의 직경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유닛(422b)과, 상기 내부링판(422aa)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커버유닛(422c)을 포함하고, 상기 열화상 감지기(200)는 평상시 대기모드로 유지되고, 상기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100)에 의해 화재경고위치가 특정되는 경우에는 대기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화재경고위치를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품 상세설명

594449d57b827e962f0aed9f2f946261_1715869694_3597.png
 

상품문의

등록된 상품문의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교환/반품

평가 사항 입력 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