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회로에 연결된 1차측 인덕터 및 1차측 인덕터에 정합된 2차측 인덕터로 이루어진 커플드 인덕터, 2차측 인덕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이악 스위치, 다이악 스위치에 연결되어 다이악 스위치의 턴온시 상기 1차측 인덕터에 병렬로 바이패스 회로를 형성하면서 주 회로를 차단하는 선로 변경 스위치 및 선로 변경 스위치에 연결되어 바이패스 회로를 구성하고, 바이패스 회로에 흐르는 허용량 이상의 전류를 차단하는 전력 퓨즈를 포함하는 퓨즈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방수층을 시험할 수 있는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구조물의 합벽구간에서도 바깥방수를 할 수 있도록 합벽구간 및 일반구간에 대한 실제 구조물과 같이 방수층이 처한 환경조건과 유사하게 실험할 수 있는 비틀림에 의한 방수압력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방수층에 수압 및 비틀림을 가하여 방수성능을 평가하는 시험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시험체인 방수층에 수압 및 비틀림을 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균열부가 마련된 챔버와, 상기 챔버에 비틀림이 발생되도록 하는 가동부와, 상기 가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가동부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부를 포함하는 비틀림에 의한 방수압력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송전철탑의 절연로드에 부착되는 부착금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부착금구는, 상기 절연로드에 연접하는 인장형끼움재와, 상기 인장형끼움재의 외측에 부착되는 애자측플랜지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수직으로 대칭되는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상부 부착금구; 및 상기 절연로드에 연접하는 압축형끼움재와, 상기 압축형끼움재의 외측에 부착되는 접합부플랜지를 포함하여 형성되되, 수직으로 대칭되는 두 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하부 부착금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착금구 접합장치는 상기 애자측플랜지와 접합부플랜지에는 접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애자측플랜지와 접합부플랜지와의 상하접합은 상기 접합홀을 통하여 접합볼트를 통하여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애자측플랜지와 접합부플랜지 각각의 좌우접합은 좌우플랜지접합장치를 통하여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크리프가 안착되어 회전하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파라핀을 용해하여 콘크리트 크리프에 제공하는 파라핀공급부를 포함한다. 바디부는 콘크리트 크리프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 바디부는 콘크리프 크리프를 고정하여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한다. 파라핀공급부는 파라핀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에너지공급부를 포함한다. 파라핀공급부는 파라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부를 포함한다. 또한, 파라핀공급부는 사용자로부터 파라핀의 타켓온도를 입력받는 온도입력부를 포함한다.
발전소나 석유 화학 플랜트 등에 설치된 배관에 대해 배관에 영향을 주는 응역 및 하중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배관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측정 비용을 절감하는 배관의 하중 계측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성을 갖는 강재의 종류에 따라 인장스트레인 값과 노이즈 값을 측정하여, 실험에 의해 상호 관계를 매칭시켜 저장하는 강재 정보 데이터베이스, 배관과 배관 지지장치의 사이에 형성된 강체 지지봉에 센서가 설치될 경우,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노이즈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하는 노이즈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노이즈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노이즈 정보에 대응한 노이즈 값을 상기 강재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찾아내어 상기 노이즈 값에 대응하는 인장스트레인 값을 획득하는 인장스트레인 정보 추출모듈, 및 상기 인장스트레인 정보 추출모듈에서 획득한 인장스트레인 값을 상기 강재 물성에 따라 응력값으로 변환한 후, 단면적을 곱하여 상기 배관의 하중을 계산하는 하중 계산모듈을 포함하는 하중 계측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유동층 연소 보일러의 기동 연소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 보일러의 층물질(Bed material) 온도에 맞게 기동용 연료를 바꾸어 투입하여 기동 연료비용의 절감과 CO2 저감을 달성할 수 있는 유동층 연소 보일러의 기동 연소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석탄연료를 저장하는 주연료 저장고(1)와, 상기 주연료 저장고(1)로부터 연소로(3) 내로 정량의 연료를 투입하는 연료 공급장치(2), 투입된 연료의 연소가 이루어지는 연소로(3), 상기 연소로(3)에 공급된 연소용 공기와 함께 비말 동반되어 연소로(3)를 빠져나가는 입자를 포집하기 위한 사이클론(4), 상기 사이클론(4)에서 포집된 입자로 연소로(3) 하부에 재주입시키는 입자 순환부(5), 상기 연소로(3)에 연결되는 기동용 오일 저장고(6)와 상기 기동용 오일을 연소시키는 스타트업 버너(7), 상기 연소로(3) 내부의 층물질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8), 추가적으로 재투입되는 입자들의 열회수 할 수 있는 유동층 열교환부(9) 및, 투입된 연료의 회재를 열교환기를 통해 저온의 회재로 배출할 수 있는 유동층 열교환부(10)로 이루어진 유동층 연소 보일러의 기동연소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소로(3)에는 주연료 저장고(1)의 연결덕트(1a)에 합류하는 기동용 고휘발분 고체 연료 저장고(11)가 연결덕트(11a)에 설치된 연료 혼합부(12)를 매개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고압 전력선 통신용 신호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착탈가능케 결합되며 고압 리드선과 일체로 형성되어 외물과의 접촉으로 인한 지락고장을 방지하는 절연커버(120)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절연커버의 결합에 따라 상기 고압리드선과 연결되는 고압단자(130)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고압단자의 타측에 연결되며 고전압 방전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우징 내면과 밀착처리된 커패시터(140)와, 상기 커패시터와 접속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드레인 코일(150)과, 상기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되 상기 드레인 코일과 연결되어 접지되는 접지단자(160)와, 상기 커패시터와 상기 드레인 코일 사이에 연결되어 통신신호를 외부에 연결하는 통신단자(17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고전압 방전현상과 고압측의 지락고장을 방지하며 고압선에 고압단자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며, 전력선에 발생하는 서지에 의한 기기의 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영상송출과 디지털 TRS 기지국장치 장애 발생시 긴급 복구기능까지 갖추도록 한 위성망 기반 차량용 재해 대응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해 대응 방법이 제시된다. 제시된 위성망 기반 차량용 재해 대응 시스템은, 재해 대응용 차량에 설치되는 재해 대응 시스템에 있어서, DVB-S 신호 확인방식을 통해 위성중계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위성중계기를 통해 TDM 및 TDMA 중에 하나의 방식으로 중심지구국시스템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위성통신장치; 이더넷 허브를 통해 위성통신장치와 연결되고, 재해 지역에 대한 재해 영상을 촬영하여 출력하고, 촬영한 재해 영상을 위성통신장치로 전송하는 영상송출장치; 재해 대응용 차량에 설치되어 재해 지역에 위치한 전력설비와 연결되는 다수의 단자가 형성된 월박스; 및 이더넷 허브를 통해 위성통신장치와 연결되고 월박스를 통해 전력설비와 연결되고, 디지털 TRS용 프로토콜을 이더넷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TDMGW를 구비하는 디지털 TRS 기지국 장치를 포함한다.
고온 열교환 증기 튜브의 파손 발생에 따른 플랜트 정지 손실 및 파급 고장을 예방하기 위하여 튜브의 크리프 및 감육 손상을 감시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a) 열교환 증기 튜브의 비가열부에 배치된 유량, 압력 및 온도 감지센서로부터 측정된 실시간 운전정보를 이용하여 튜브 열 전달량 및 누적 열 전달량을 계산하는 단계, (b) 열교환 증기 튜브의 현장 측정 자료 중 튜브 내면 스케일 두께 및 측정시의 운전시간을 이용하여 튜브 누적 스케일의 두께를 측정하는 단계, (c) 상기 (a) 및 (b) 단계에서 파악된 정보를 참조하여 열전달 관계식에 의해 실시간 튜브 온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d) 열교환 증기 튜브의 현장 측정 자료 중 튜브 두께 및 측정시의 운전시간을 이용하여 계산된 실시간 튜브 응력 정보와 상기 (c) 단계에서 계산된 튜브 온도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간 튜브 손상율 및 누적 손상율을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튜브의 손상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플랜트 정지 손실 및 파급 고장을 사전에 예방하게 됨으로써, 발전손실비용을 크게 절감하는 효과가 달성된다.
본 발명은 파력발전장치의 에너지 흡수 매카니즘이 파랑에 반응하는 진동특성을 파랑의 진동주기에 동조시켜 에너지 흡수효율을 극대화하는 파랑에너지를 이용한 가변 수주진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 작동액(11)이 채워져 유동하도록 된 1개의 수평관로(1)와 이 수평관로(1)를 통해 서로 연통되는 수직관로 1(2a), 2(2b)로 구성된 U-자형 관로(3)와, 상기 수직관로 1(2a), 2(2b)와 연결되면서 격리판(4)을 중심으로 서로 격리된 에어 챔버 1(5a), 2(5b)를 갖춘 가변 수주동체(6)와; 상기 에어챔버 1(5a), 2(5b)를 연결하는 공기관로(7); 상기 공기관로(7) 사이에 배치되는 3개의 제어밸브(CV1, CV0, CV2); 상기 각각의 에어챔버 1(5a), 2(5b)와 대기 사이에 배치되는 압력센서(8a,8b)들과 한쪽 수직관로(2a)에 배치되는 수위센서(9) 및; 상기 제어밸브(CV1, CV0, CV2)들과 압력센서(8a,8b) 및 수위센서(9)가 연결되는 제어기(10)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지중전력구 공법의 일부로 수행되는 강관압입 전력구의 내부 충진재에 관한 것이다. 개시발명은 산소(49 ± 5%), 규소(45 ± 5%), 및 철(5 ± 1%)로 구성되는 충진재이며, 함수비는 12.9% 내지 27%의 범위로 구성될 수 있고, 입도분포는 누적통과중량 백분율을 기준으로 치수 4.75 mm(90 ± 5%), 2.0 mm(55 ± 5%), 0.85 mm(30 ± 5%), 0.425 mm(9 ± 1%), 및 0.15 mm(2%)로 구성될 수 있는 충진재로서 종래의 충진재보다 열발산을 원할히 할 수 있는바, 지중송전케이블의 전송효율 및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저탄장 석탄 파일의 자연발화 위치추적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개시방법은 저탄장 석탄 파일을 매트릭스 형태로 분할하고 상기 분할된 저탄장 석탄 파일 사이에 매트릭스 형태로 센서를 배치하는 단계, 이와 같이 센서가 석탄 파일의 특정한 물리적 성질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한 물리적 성질 및 센서의 위치정보를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측정된 물리적 성질이 기준치 이상인 센서들의 위치의 상호조합에 의하여 자연발화가 진행되고 있는 지점을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있다. 발화지점판정단계는 매트릭스의 특정한 구역의 사방에 배치된 4개의 센서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센서의 측정치가 기준치 이상인 경우에 특정한 구역을 발화지점으로 판정하는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저탄장의 자연발화 문제에 사전에 대비할 수 있고, 본 발명을 저탄장 내의 진화용 살수 시스템과 연계하여 자동으로 자연발화 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이 발명은, 다중 민감도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과 비용으로 가스 터빈 연소튜닝을 수행할 수 있는, 가스 터빈 자동 연소 튜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흡기도관을 통하여 공기가 입력되는 압축기와, 연료도관을 통하여 연료가 입력되는 연소기와, 배기도관을 통하여 연소개스가 배기되는 가스 터빈과, 상기한 연소기의 진동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동압 측정센서와, 상기한 가스 터빈의 배기가스를 분석하기 위한 배기가스 분석기와, 상기한 동압 측정센서와 배기가스 분석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다중 민감도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동압진동 목표치, NOx 배출량 목표치, 연소효율 목표치와 같은 연소성능 목표치로 연소튜닝을 하는 연소튜닝본체와, 상기한 압축기, 연소기, 가스 터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개시된 본 발명의 초고압 케이블의 오프셋 변위 분석 시스템은 케이블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이동량을 감지하는 복수의 변위 센서; 상기 변위 센서들로부터 상기 감지된 데이터를 수집 및 측정하는 데이터 로거; 상기 데이터 로거로부터 상기 측정된 데이터를 수신 및 무선에 의해 원격지로 전송하는 데이터 송수신기; 및 상기 데이터 송수신기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 및 분석하는 데이터 처리기;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장기적인 계측을 통하여 안전 관리에 따른 전력 공급의 신뢰성 확보, 외부 환경 요인으로 발생하는 미세한 이상 징후의 사전 파악 및 전력구 내의 케이블 운용 기간 중 발생되는 거동을 자동적, 연속적, 장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유지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