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해양구조물을 이용한 너울성 파랑 및 지진 해일 탐지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해에 설치되는 해양구조물과; 상기 해양구조물에 고정 설치되어 수면을 향해 초음파 펄스를 발사하여 해면으로부터의 반사파를 수신하여 펄스의 왕복시간으로부터 수위의 변동(즉, 표면파고)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분석장치로 전송하는 초음파 파고계와; 상기 해양구조물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초음파 파고계를 통해 실시간으로 실측되는 수위 변동 데이터와 가상 지진 해일 해상조건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너울성 파랑 및 지진 해일 발생 여부를 분석함은 물론 실시간으로 분석되는 탐지 데이터를 원격지로 송출하는 분석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해양구조물에서 직접 실시간으로 너울성 파랑 및 지진 해일의 발생 여부를 탐지할 수 있음은 물론 너울성 파랑 및 지진 해일의 발생이 탐지되었을 경우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으로 발생 여부를 전송하여 너울성 파랑 및 지진 해일 예보 및 경보에 활용할 수 있으므로 외해에서 발생하는 너울성 파랑을 포함하여 영해 밖에서 발생하는 지진이나 해일 등으로 인한 각종 피해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해양 및 기상관측을 위한 해양구조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해양 및 기상관측을 위한 해양구조물은, 해양에 고정 설치되며 수면 위로 노출되는 해상영역을 데크에 의해 연직방향으로 구획되는 다층으로 형성하여 다양한 시설을 기능별로 설치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의 최상층에 배치되어 헬기를 이·착륙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헬기 이·착륙시설; 상기 헬기 이·착륙시설의 하층에 배치되며 기상 및 해양상태를 관측하여 육상과 통신하고 전력을 발생하여 상기 메인 프레임에 마련되어 있는 시설에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관측시설; 상기 관측시설의 하층에 배치되어 상기 메인 프레임에 마련되어 있는 시설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어시설; 상기 제어시설의 하층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시설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공급시설; 상기 공급시설의 하층에 배치되어 수중의 해양을 관측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수중 관측시설: 및 상기 수중관측시설의 하층에 배치되어 선박의 접안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선박 접안시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천해 해저지형조사용 프레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천해 해저지형조사용 프레임장치는, 지피에스 수신기와 자세보정장치 및 음향측심기를 수직선상에 각각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단에 지피에스 수신기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상부 결합판이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상부 프레임; 하단부에는 음향측심기가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 결합판과 대응되는 형상의 하부 결합판이 수평방향으로 결합된 하부 프레임; 상기 상부 결합판과 하부 결합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부 결합판의 사이에 상기 자세보정장치가 설치되기 위한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간격유지부재; 및 일측에 상기 하부 프레임이 결합되고, 타측은 고무보트에 결합되는 결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상,하부 결합판이 설치공간을 형성하면서 결합됨으로써, 상부 프레임의 끝단에 결합되는 지피에스와 하부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는 음양측심기 및 설치공간에 설치되는 자세보정장치가 수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해저지형 조사값이 정확하게 얻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 보정 작업 없이 삭제될 수 있고, 소형보트(고무보트)에 적합하게 형성된 결합 프레임에 의해 소형보트에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기능 복합형 해상풍력발전 시설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기능 복합형 해상풍력발전 시설물은 해저에 설치되는 기초 구조물에 구비되는 해양 구조물; 상기 해양 구조물에 구비되는 폰툰형 접안장치; 상기 해양 구조물의 상단에 구비되는 풍력발전장치; 실내와 실외로 이루어진 전망대 및 관리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해양 구조물의 해상영역에 구비되는 다층의 데크부; 하단부가 해저면에 고정되도록 상기 데크부의 중앙에서 연직방향으로 배치되고, 내부에는 화물과 승객을 이송하기 위한 엘리베이터가 구비되는 중공형의 중앙 수직 구조물; 상기 중앙 수직 구조물의 수중 영역에 수평방향으로 확장되어 구비되는 수중 전망대; 및 양식되는 물고기의 관람이 가능하도록 상기 수중 전망대를 감싸고, 상,하부가 각각 상기 해양 구조물의 수중영역 상,하부에 고정되는 가두리용 제1그물부재와, 상기 제1그물부재의 중간부 또는 중간 상,하부에 폐 도형 형태로 형성되어 설치되는 공간 확보용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관람용 가두리 양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일 구조물을 통해 다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비용 및 편익 측면에서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고, 해상 및 수중 전망대를 통하여 관광 산업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외해 가두리 양식을 할 수 있음으로써 수익의 창출은 물론, 관람객에게 양식되는 물고기를 관람시킬 수 있고, 폰툰형 접안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선박의 접안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헬리컬 터빈과 과부하방지 발전기를 설치하여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헬리컬 터빈 발전시스템을 개시한다. 유체의 일방향 또는 다방향 흐름에 대하여 연속적인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헬리컬 터빈과, 상기 헬리컬 터빈의 회전을 발전에 필요한 회전속도로 증가시키는 증속기와, 상기 증속기의 회전속도를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며, 회전속도의 급작스런 증가로 인한 과부하가 방지되는 과부하방지 발전기로 구성됨으로써, 설비비가 절감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헬리컬 터빈과 동기발전기를 설치하여 전기를 생성할 수 있는 헬리컬 터빈 발전시스템을 개시한다. 유체의 일방향 또는 다방향 흐름에 대하여 연속적인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헬리컬 터빈과, 상기 헬리컬 터빈의 회전을 발전에 필요한 회전속도로 증가시키는 증속기와, 상기 유체의 흐름이 일시적으로 빨라져 상기 증속기를 거친 회전속도가 필요이상으로 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체커플링과, 상기 유체 커플링의 회전속도를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동기발전기로 구성됨으로써, 설비비가 절감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 조립체의 취약부분을 보강하여 강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조립 및 분해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헬리컬 터빈을 개시한다. 유체의 일방향 또는 다방향 흐름에 대하여 연속적인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수개의 블레이드가 형성된 헬리컬 터빈; 상기 헬리컬 터빈을 이루는 회전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다수개의 베어링 스파이더와, 각각의 상기 베어링 스파이더를 연결하여 고정하며 상기 베어링 스파이더의 외곽부에서 방사형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도록 고정되는 측면기둥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조립체; 상기 베어링 스파이더의 둘레면과 상기 측면기둥이 돌출된 외곽선 사이에 공간을 채워 보강하는 채움부재; 및 상기 하우징 조립체가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측면기둥의 돌출부인 스토퍼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스토퍼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걸림홈이 구비된 하우징 서포터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채움부재가 상기 베어링 스파이더와 상기 측면기둥이 결합되는 취약부분을 보강하여 강도를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하역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현하역용 부유식 안벽을 개시한다. 해저바닥면에 소정의 깊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다수개의 파일기초와, 상기 파일기초 상단부에 짝을 이루어 설치되는 계류파일과, 선박의 양측하역이 가능하도록 해상에 부유된 상태로 선박의 측면에 접하고, 하역시스템이 형성되며, 상기 계류파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안벽본체와, 상기 안벽본체를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가동수단으로 구성됨으로써, 가동수단을 작동시켜 안벽본체를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며 육지에 형성된 안벽에 일측면이 접하는 선박의 타측면에 안벽본체가 선택적으로 접할 수 있게 되어 선박의 양측면에서 하역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조기용 에어필터의 자동 진공 청소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한 쌍의 수직 측면프레임(19)과 이의 상하단에 각각 수평으로 상부프레임(10)과 하부프레임(15)이 구비되어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제어부에 의해 구동하는 흡입부(40)가 상하좌우로 이동하면서 에어필터(60)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조기용 에어필터의 청소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프레임(10)의 하단 상부가이드봉지지대(11)와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위치한 상부블럭(14)의 상단 상부슬라이드지지구(13)의 사이에는 상부가이드봉(12)이 구비되고, 상기 하부프레임(15)의 상단 하부가이드봉지지대(16)와 수직프레임의 하단에 위치한 하부블럭(23)의 하단 하부슬라이드지지구(18)의 사이에는 하부가이드봉(17)이 구비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5)의 측면 측면가이드봉지지대(20)와 하부블럭(23)의 내측 측면슬라이드지지구(22)의 사이에는 측면가이드봉(21)이 구비되고, 상기 상하부가이드봉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흡입부작동수단(30)이 구비되되, 이 흡입부작동수단은 상부블럭과 하부블럭의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게 양단으로 나뉘어지게 구비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31)과, 상부블럭과 하부블럭의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지며, 스크류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34)와, 일단은 상부블럭과 하부블럭의 사이에 수직으로 세워진 수직가이드봉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스크류에 연결되어 상하로 승하강 작동하는 승하강작동구(32)가 구비되고, 상기 흡입부(40)는 상기 승하강작동구에 파이프(44)가 연결되되, 이 파이프의 전면은 내부에 흡입노즐이 설치된 하우징(41)이 구비되고, 후면은 흡입관(45)이 연결 설치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의 공조기 청소장치에서 발생 되는 잦은 고장과 부품조달 지연으로 인해 가동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일거에 해결한 것이며, 아울러 잦은 고장으로 인한 인력손실을 절감하고, 더하여 공기의 질을 쾌적하게 향상시키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고효율의 우수한 제품을 소비자에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가스 터빈 출력 증대가 가능한 지역난방수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하절기에는 가스 터빈에서 배출되는 공기열을 히트펌프의 증발기를 통해 냉각시켜 재공급하도록 함으로써 가스 터빈의 입구흡입공기를 냉각시킴으로써 가스 터빈 출력을 증대시켜 하절기 전력예비율 증대 및 에너지 절감을 이룰 수 있고, 동, 춘, 추절기에는 냉각수 배출 기기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냉각수를 히트펌프의 증발기로 공급하고, 이를 이용하여 연중 지역 난방수를 승온시킴으로써 폐열을 회수하도록 하는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가스 터빈 출력 증대가 가능한 지역난방수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이드로 클레이와 보온재가 충진된 지역난방 열배관용 이형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 곡률로 벤딩되어 지역난방 열배관과 양단이 연결되고, 내부에 중온수가 이동되는 내관과; 상기 내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관이 내부에 삽입되는 외관과;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보온재; 및 상기 보온재와 혼합되어 상기 공간부에 충진되는 충진재로서 하이드로 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곡률로 벤딩된 이형관의 내관과 외관 사이에 하이드로 클레이와 보온재를 혼합하여 충진함으로써 보온재에 전달되는 전단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열배관에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부 저온수 유출이 가능한 축열조용 오버플로우 배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저온수와 고온수가 성층되어 저장되는 축열조에 설치되는 오버플로우 배관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 배관은 상기 축열조의 외측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단이 절곡되어 수평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부가 상기 축열조의 셀을 관통하여 내부로 인입되는 외부 배관과; 상기 축열조의 내측인 상기 외부 배관의 수평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수직으로 상기 축열조의 내측 상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엘보 배관과; 상기 엘보 배관의 타단과 일단이 연결되되, 양단이 상기 축열조의 내측 하부를 향하도록 설치되는 U형 배관; 및 상기 U형 배관의 타단과 상단이 연결되어 상기 축열조의 내측에서 수직으로 설치되고, 하단이 상기 축열조의 저온부와 위치하는 내부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축열조에 저장된 지역난방수의 한계수위 초과로 인하여 오버플로우 현상 발생시 하부의 저온수를 외부로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열 손실이 발생을 최소화시키고,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디퓨져에 급기구와 배기구를 각각 형성하고, 급기구 측에 팬과 플랩을 부착하여 덕트의 정압을 보상하고, 덕트의 부압으로 배기구를 통해 실내 공기를 배기하도록 하며, 급기구 측에 플랩을 설치하여 급기 방향과 풍량을 자유롭게 사용 및 분배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급기 방향과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팬부착 급배기 일체형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압 유량 조절 밸브의 배관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관중 공급관에 제 1테스트웰과 제 1온도 센서 및 제 1, 2압력 계측 포인트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고, 배관중 회수관에 유량 센서와 제 2테스트웰과 제 2온도 센서 및 제 3압력 계측 포인트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며, 상기 제 1, 2압력 계측 포인트 사이에서 상기 공급관과 공급측 도압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3압력 계측 포인트의 후단에서 상기 회수관과 회수측 도압관을 통해 차압 유량 조절 밸브(10)를 연결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회수관에 I형 온도 게이지를 설치하고, I형 온도 게이지가 육안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시켜 차압 유량 조절 밸브의 다이아프램 파손 여부를 온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대처를 취할 수 있고, 차압 유량 조절 밸브의 고장으로 열공급 장애 및 타 설비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역냉방용 제습냉방시스템의 사용자시설에 대한 미세유량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온수의 유량을 외부 제어에 따라 제어하는 메인 온도제어밸브와; 상기 메인 온도제어밸브의 상하단과 분기 배관을 통해 병렬 연결되고, 외부 제어에 따라 상기 열교환기로부터 배출되는 온수의 유량을 미세 조절하는 미세조절용 온도제어밸브; 및 상기 열교환기의 온도센서로부터 급수 온도를 입력받아 급수 온도가 제 1기준 온도값 이하인 경우 상기 미세조절용 온도제어밸브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기설정된 값에 따라 상기 메인 온도제어밸브의 개폐도 조절을 통해 유량을 제어하여 기준 열량으로 조절하며, 급수 온도가 제 2기준 온도값 이상인 경우 상기 메인 온도제어밸브를 폐쇄시키고, 상기 미세조절용 온도제어밸브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기설정된 값에 따라 상기 미세조절용 온도제어밸브의 개폐도를 조절하여 기준 열량으로 조절하는 온도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제어밸브와 병렬로 별도의 미세유량 조절용 온도제어밸브를 설치하고 계절 또는 수요량에 따라 상호 교대 사용함으로써 정상적인 미세유량 조절을 가능하고, 또한, 미세유량 조절용 온도제어밸브를 설치함으로써 부하의 요구에 대한 미세한 유량조절이 가능하여 제습냉방기의 냉방성능 감소 및 유체의 맥동현상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을 유발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