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벨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측에 안착되는 가공물(P)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컨베이어벨트(11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양측 내부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회전 이동시키는 이송스프라켓(112)과, 상기 이송스프라켓(112)의 중앙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이송스프라켓(112)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14)으로 이루어지는 가공물 이송컨베이어(100)와; 상기 가공물 이송컨베이어(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상부면을 따라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가공물(P)을 파지하여 상기 가공물(P)을 180°도로 뒤집는 뒤집기부재(150)와; 상기 가공물 이송컨베이어(1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공물 이송컨베이어(10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공물 이송컨베이어(100)의 가공물(P)을 파지하여 상기 가공물 이송컨베이어(100)를 기준으로 상,하,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물(P)을 투입시키는 가공물 투입부재(200)와;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에 의해 공급되는 가공물(P)이 탈유드럼(304)에 장착되고, 상기 탈유드럼(304)의 고속회전에 따라 가공물(P)에 잔존하는 가공유 및 가공이물질을 제거하는 탈유부재(300);를 포함하는 가공물 탈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가공물의 투입방향을 자동으로 전환해 줌으로써 탈유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물에 대한 가공유 및 이물질 제거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탈유통체의 내부에 가공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개방부를 폐쇄한 상태로 탈유 공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가공유 및 이물질 배출에 따른 작업 현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윤활유 필터링 방법은 하우징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윤활유가 필터를 거쳐 필터링된 후, 배출구를 통해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는 필터링단계, 상기 필터링단계가 반복됨에 따라 상기 필터에 불순물이 누적되는 불순물누적단계, 상기 불순물누적단계에서 누적된 불순물로 인하여 필터의 오염된 부분과 깨끗한 부분의 차압이 증가되며, 이 압력차를 차압계가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압력차는 제어유닛으로 전송되고, 상기 제어유닛에서 압력차와 설정값을 비교하여 상기 압력차가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불순물이 누적된 필터를 역세정 하기 위한 명령을 지시하는 역세정명령단계, 상기 역세정 명령단계에 의해 불순물이 누적된 필터가 역세정되는 역세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은 윤활유를 필터링하여 윤활유에 잔류하는 불순미립자를 제거하여 시스템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윤활유의 오염도 차로 발생하는 차압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필터를 역세정시키므로 작업시간을 세이브 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이 높은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윤활유 필터링 장치는 윤활유가 유입되는 유입구 및 윤활유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다수의 필터챔버에 각각 수직으로 장착되는 다수 개의 필터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중심부에 형성된 중심챔버에 수직으로 설치되되, 상부에 모터가 결합되어 회동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측 외주연에 상기 회전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케이싱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되되, 상기 케이싱과 내부가 연통되게 설치되는 에어탱크와, 상기 하우징의 저면에 하우징의 내부공간과 연통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역세정방출밸브가 설치된 오염입자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윤활유를 필터링하여 윤활유에 잔류하는 불순미립자를 제거하여 시스템이 파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윤활유의 오염도 차로 발생하는 차압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필터를 역세정시키므로 작업시간을 세이브 할 수 있으며, 필터링과 역세정이 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동시에 진행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시스템의 정지 없이 설비의 연속적 운전이 가능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자가정화 기능을 가지는 기체 정화장치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와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배출구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유입구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오염물질을 집진하기 위해 마련되는 집진 모듈과, 상기 집진 모듈의 하단에 마련되는 필터부와,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배출구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필터부의 하단에 마련되며, 내부에 미생물이 수용되도록 마련되는 수조와, 상기 필터부에 의해 걸러지지 않은 미처리 미세오염물질을 상기 수조측으로 이송하기 위해 마련되는 이송 라인과, 상기 이송 라인을 통해 수조 측으로 유입된 미처리 미세오염물질을 침강시키기 위해, 상기 수조의 상단에 마련되면서, 상기 수조측으로 기체 및 액체 상의 처리 유체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는 분사 모듈 및 상기 수조에 수집된 처리 유체를 상기 분사 모듈 측으로 재이송 시키기 위해 상기 수조와 상기 분사 모듈을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순환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oneM2M 표준 프로토콜 기반의 개방형 IoT 플랫폼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 메이커 사용자의 관점에서 보다 쉽고 간편한 구조로 자신이 필요로 하는 사물인터넷 디바이스와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제작하고, 이를 실제 서비스로 연동/구동 할 수 있는 경량화된 개방형 IoT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면이 개구된 챔버; 상기 챔버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캡; 상기 챔버의 하단에 설치되는 호퍼; 상기 호퍼로 공기를 유입하는 송풍배관; 상기 송풍배관의 하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제1기공이 형성된 제1분할판; 및 상기 송풍배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1기공보다 직경이 좁은 다수의 제2기공이 형성된 제2분할판;을 포함하는 입자유동 베드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도기 설비(10)의 고장을 진단하는 휴대용 회전자 진단 장치에 있어서, 3상 인버터(100); 상기 인버터(100)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출력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200) 및 상기 인버터(100)를 제어하고 상기 전류센서(200)로부터 측정된 전류를 분석하여 고장유무를 진단하는 인베디드 시스템(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3상 인버터(100), 상기 인버터(100)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출력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센서(200)를 포함하는 유도기 설비(10)의 휴대용 회전자 진단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100)에서 PWM 스위칭 하여 상기 유도기 설비(10)로 인가할 교류신호 크기와 주파수를 지정한 지령 전압 Vs를 지정하는 단계(S100); 상기 인버터(100)에서 상기 유도기 설비(10)로 상기 Vs를 인가하는 단계(S200); 상기 전류센서(200)에서 상기 유도기 설비(10)의 회전자(11)와 고정자(12)의 전류를 측정하는 단계(S300); 상기 단계(S300)에서 측정한 전류를 ADC 변환하여 전류 응답 is를 획득하는 단계(S400); 상기 Vs와 상기 단계(S400)에서 획득한 is를 통해 임피던스 Zeq를 획득하는 단계(S500); 상기 Zeq로부터 등가 저항 Req와 등가 리액턴스 Xeq를 획득하는 단계(S600); 상기 is, Zeq, Req, Xeq 각각의 변동률을 계산하는 단계(S700) 및 상기 단계(S700)를 통해 고장을 진단하는 단계(S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블루투스 메쉬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LED 조명제어, LED 조명상태 모니터링,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 에너지 피크점 관리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LED 조명의 수명 연장 및 에너지를 절약하는 블루투스를 활용한 LED 조명 관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료 이미지에 웨이블릿변환을 수행하여 비트 평면으로 분해하는 제1단계(S10); 상기 비트 평면의 특정 부대역에 보안 로고를 격자 구조로 매핑하여 보안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2단계(S20); 상기 보안 이미지를 랜덤치환(permutation)하여 워터마크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3단계(S30); 상기 의료 이미지를 다수의 블랭크 블록과, 다수의 워터마크 삽입 블록으로 분할하는 제4단계(S40); 해쉬 함수의 입력값으로 상기 워터마크 삽입 블록의 면적, 가로 사이즈, 세로 사이즈를 통과시켜서 비트 스트림을 구하는 제5단계(S50); 상기 워터마크 이미지와 비트 스트림을 배타적 논리합(XOR)으로 연산하여 공개키를 생성하는 제6단계(S60); 및 상기 워터마크 삽입 블록을 초기화한 후, 상기 워터마크 이미지를 상기 비밀키로 암호화하여 상기 워터마크 삽입 블록에 삽입하는 제7단계(S70);를 포함하는 의료 이미지의 워터마크 삽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이상에서와 같은 접촉 영역의 조절이 가능한 다이아몬드 컨디셔너는, 컨디셔너와 패드의 접촉면적을 컨트롤하여 패드의 마모 형상 제어가 가능하고, 이를 통해 패드 사용에 있어 수명 향상이 가능하고, 스윙암 컨디셔너의 스윙 모션과 회전 속도로 패드의 마모 형상이 결정되는 기존의 장치와 달리 접촉 면적을 제어하여 패드의 불필요한 마모가 감소되며, 패드 중앙 및 외주부의 마모량 제어를 통한 패드 평탄도 확보를 통해 "W" 형태의 패드 형상("M" 형태의 패드 마모 프로파일)의 마모가 최대한 극복되는 장점을 갖는 접촉 영역의 조절이 가능한 다이아몬드 컨디셔너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접촉 영역의 조절이 가능한 다이아몬드 컨디셔너는, 패드를 상부면에 구비하고 베이스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플래튼과, 상기 베이스 몸체의 상측에 좌우 회전 동작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연마 대상 박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을 고정하여 상기 패드 상에서 회전시키는 헤드를 구비한 웨이퍼 캐리어와, 상기 베이스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패드에 슬러리를 공급하는 슬러리 공급기와, 상기 베이스 몸체의 상측에 좌우 회전 동작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패드와의 상대적인 운동을 통해 상기 패드에 컨디셔닝 공정을 진행하는 디스크가 하부면에 구비된 스윙암을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는 상기 패드의 접촉 영역 변화에 대응되며 독립적으로 상기 패드를 가압하는 분할된 형태인 제1 및 제2 디스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중 스레드 방식의 웹 크롤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JCA(Java Client Application), JSA(Java Server Application), DB 서버, 웹서버로 구성되며, JCA와 JSA에 각자의 독립된 스레드를 세 개 이상 나뉘어 작업을 실행함으로써, 독립된 환경에서의 클라이언트가 큐와 스레드를 이용하여 빠르고 신뢰성이 높은 웹 문서를 제공하는 다중 스레드 방식의 웹 크롤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이상에서와 같은 계통특성을 고려한 다기 HVDC 시스템은, 2기 이상의 상이한 사양의 HVDC 송전시스템으로 구성된 다기(Multi-Infeed) HVDC 송전시스템에 의한 연계운전 상황을 상정하고 다기(Multi-Infeed) HVDC 송전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최적운전용량 산정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한 최적운전용량 산정 알고리즘을 제시하여, 미래 제주계통의 부하예측치에 대하여 산정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 HVDC 송전시스템에 대한 최적 운전용량을 제시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제주지역 계통특성을 고려한 다기 HVDC 시스템은, 제주지역에 대한 전력공급 신뢰도 기준과 제주계통 및 HVDC 송전시스템의 안정운전 제약조건인 MIESCR(Multi-infeed Interactive Effective Short Circuit Ratio)과 계통 유효관성정수 기준을 가지고 제주지역 발전기 운전케이스별로 HVDC 송전시스템의 안정운전 한계용량을 산정하는 산정단계와, 상기 산정단계 산정값을 바탕으로 다기(Multi-Infeed) HVDC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HVDC 시스템별 최적운전용량 산정을 위하여 유전알고리즘(Genetic Algorithm)을 이용한 최적운전용량 산정을 위한 알고리즘을 제시하는 제시단계 및 상기 제시단계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계절별 제주지역 부하예측상황에 대하여 다기(Multi-Infeed) HVDC 송전시스템의 안정운전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각 HVDC 송전시스템별 운전용량을 산출하는 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통합 모니터링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한 정보 유출을 사전에 예측하고 분석하기 위해 개별 보안시스템에서 통합모니터링 시스템으로 전송되는 로그 데이터를 기반으로 일자별, 개인별 수치화 기능을 추가하셔 시스템의 처리 속도를 개선하고, 정보보안 담당자의 주관적인 판단을 최대한 배제하여 악의적인 사용자의 정보 유출을 관리할 수 있는 통합모니터링 관리시스템의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한 정보 유출을 사전에 예측하고 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공유를 방지하고자 MCS(Mobile Camera Control System) 프로그램(10)과 스마트폰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차단하는 MCP(Mobile Camera Program)가 설치 된 스마트폰 카메라를 제어하는 인원 출입 권한과 연계한 스마트폰 카메라 제어 시스템(SCPA)에 있어서, 상기 MCS 프로그램(10)을 설치한 스마트폰의 현황이 저장되는 MSSQL DB 및 ORACLE DB를 포함하는 MCS 모듈(100); 상기 MCS 모듈(100)을 통해 상기 MSSQL DB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ORACLE DB에 저장하고 상기 MCS 프로그램(10) 설치현황을 관리하는 인터페이스 모듈(200); 인원 출입권한을 관리하는 SCPA 모듈(300) 및 정보보안 관리자가 부여한 출입권한과 출입지역을 비교해서 상기 MCP 기능을 작동시키는 MCP 모듈(400)을 포함하고, 상기 MCP 모듈(400)는 작동되면 Wi-Fi로 기업체의 정보유출 모니터링 시스템과 연결되어 실시간으로 촬영한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MCP 모듈(400)로 촬영한 데이터는 스마트폰에 암호화된 상태로 저장되어 사내를 벗어나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카메라 제어 시스템의 운용 방법은, 상기 MCS 모듈(100)은 정보보안 관리자가 미리 지정한 시간마다 상기 스마트폰 카메라 제어 시스템의 설치현황을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로 MacAddress와 사번을 전송하는 단계(S100); 상기 단계(S100)에서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200)은 상기 MSSQL DB에 저장된 기존의 데이터와 비교하여 조회 결과가 있으면 데이터를 수정하고, 없으면 신규로 등록하는 단계(S200) 및 상기 SCPA 모듈(300)은 상기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데이터를 조회하여 인원 출입권한을 정보보안 관리자가 출입자의 업무를 분석해서 출입권한을 부여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밀폐형 냉각탑의 배관(1) 외주면에 설치되며 전원과 연결되는 음극(10); 상기 음극(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선(20); 상기 전선(20)과 연결되어 밀폐형 냉각탑의 배관(1) 내부에 설치되어 통전에 의해 냉각수를 전해질로 변환하는 양극(30); 상기 양극(30)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부착되어 냉각수에 함유된 스케일 성분이 포집되는 한 쌍의 포집판(40); 및 한 쌍의 상기 포집판(40)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바퀴(50);를 포함하는 밀폐형 냉각탑의 배관 스케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