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사업장 등에 설치된 국소배기장치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국소배기장치로 인한 기류를 감지하되, 기류에 의해 흔들리는 다수의 필라멘트사를 이용하여 기류의 발생 여부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기류 측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오픈된 구조의 손잡이부(11)가 형성되고 타측에 필라멘트사 장착부(12)가 형성된 본체(10)와; 상기 필라멘트 장착부(10)에 길이가 서로 다르게 장착되어 기류에 의해 흔들리도록 하는 복수의 필라멘트사(13)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며 상기 복수의 필라멘트사(13)를 고정하여 정리하기 위한 클립(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휴대용 과부하 테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고,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휴대하기 간편하고, 비전문가도 손쉽게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전기배선에 인위적인 전기부하를 발생시켜, 전기배선측의 과부하 차단기의 작동여부를 테스트하는 휴대용 과부하 테스터에 있어서, 밀폐구조의 내부공간을 갖는 테스터 몸체와; 전기배선의 콘센트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도록, 테스터 몸체의 일측부분에 설치되는 전원 플러그와; 테스터 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며, 전원 플러그를 통해 인가된 전기에 저항을 발생시켜 전기배선에 인위적인 전기부하를 발생시키는 저항부 및; 저항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흡입독성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유기용제 가스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반응조에 미스트 형태의 시험물질과 고온의 증기를 투입하여, 증기압이 낮은 유기용제에 대해서도 고농도의 증기발생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장착부(110)가 구비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장착부(110)에 구비되어 유기용제 가스를 발생시키는 유기용제 가스 발생부(20)를 포함하고; 상기 유기용제 가스 발생부(20)는, 미스트 발생부(240)에서 발생된 미스트와 가열된 공기가 공급되는 반응조(210)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컴프레서(220)와; 상기 컴프레서(220)에서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이를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상기 반응조(210)에 공급하는 가열공기 공급라인(230)과; 내부에 시험물질인 유기용제가 저장되는 제1용기(242)와, 상기 컴프레서(220)에서 압축공기를 제공받아 상기 제1용기(242)에 투입하여 시험물질에서 미스트가 발생되도록 하는 압축공기 공급라인(244)과, 상기 제1용기(242)에 저장된 시험물질을 미스트 형태로 상기 반응조(210)에 공급하기 위한 미스트라인(246)을 포함하는 미스트 발생부(240)와; 상기 반응조(210) 내에서 휘발된 유기용제 가스를 제공받아 이를 응축시키는 콘덴서(250); 및 상기 콘덴서(250)를 거친 유기용제 가스를 흡입독성시험장치의 챔버에 공급하기 위한 버퍼(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갠트리 크레인의 충돌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작비용이 저렴하면서도 크레인에 의한 충돌, 협착 사고를 효율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수평빔(120)과, 상기 수평빔(120)을 지지하는 한 쌍의 수직빔(110)과, 상기 수직빔(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면에 설치된 레일(140)을 따라 주행하는 새들(Saddle)(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갠트리 크레인(Gantry Crane)(100)의 충돌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돌방지장치는, 상기 새들(130)의 단부 양 측면에서 레일(140)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가로부재(10)와, 상기 가로부재(10) 각각에 조립되는 삼각 형상의 쐐기부재(14)와, 상기 쐐기부재(14)에 상기 가로부재(10)에 양 단부가 조립되는 루프 형상의 변위부재(20)와, 상기 새들(130)의 단부에서 상기 한 쌍의 가로부재(10)를 연결하는 세로부재(30)와, 상기 세로부재(30)의 양단과 상기 변위부재(130)를 각각 연결하는 스프링(40)과, 상기 한 쌍의 가로부재(10)에 각각 구비되어 돌출단자(52)가 상기 변위부재(20)의 내면과 접촉하는 리미트 스위치(Limit Switch)(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가새형 선행 안전난간대의 수직 보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트러스형 또는 X형으로 설치되는 보강비계파이프에 수직방향으로 수직 안전난간대를 더 설치하여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부에 작업발판이 고정되는 제1수평비계파이프와, 상기 제1수평비계파이프에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제2수평비계파이프와, 상기 제1 및 제2수평비계파이프에 대하여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비계파이프, 및 상기 제1, 제2수평비계파이프와 이웃하는 수직비계파이프에 대각선방향으로 설치되는 보강비계파이프(140)를 포함하는 비계의 가새형 선행 안전난간대에 있어서, 상기 보강비계파이프(140)에 대하여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보강비계파이프(14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협소화시키는 수직 안전난간대(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 안전난간대(150)의 일단에는 보강비계파이프(14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부(160)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 안전난간대(150)의 타단에는 보강비계파이프(140)의 타측에 결합 또는 해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고정부(1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달비계 추락방지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옥상 및 지면 각각에 제1 및 제2통신부를 설치하고, 작업단말기와 추락방지대의 연결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 및 제2통신부의 통신거리 범위에서 달비계를 통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작업구간에 해당하는 위치의 최상부에 달비계 및 안전구명줄을 설치하는 달비계 및 안전구명줄 설치 확인단계(S1)와; 최상 및 최하에 구성된 제1 및 제2통신부 각각을 활성화시키는 제1 및 제2통신부 활성화단계(S2)와; 안전구명줄에 추락방지대를 설치하고, 작업단말기를 활성화시켜 상기 추락방지대와 연결되었지를 확인하는 작업단말기 및 추락방지대 연결상태 확인단계(S3)와; 온(ON) 상태의 작업단말기와 제1통신부 사이에 연결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작업단말기와 제1통신부 연결상태 확인단계(S4)와; 작업자가 작업단말기를 착용한 상태에서 작업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시작 단계(S5); 및 제2통신부의 통신거리에 작업단말기를 위치시켜 작업이 종료됨을 확인시키는 작업종료 확인단계(S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H형강 전단보강용 멀티 스티프너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멀티 스티프너의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최대 압축하중을 증가시켜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일단에 사각형상의 내관받이판(22)을 구비한 내관부재(21)와, 일단에 사각형상의 외관받이판(32)을 구비한 외관부재(31)와, 상기 내관받이판(22) 및 외관받이판(32)에 구비되는 자석(26)과, 스티프너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용 암나사(27)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H형강 띠장(110)의 플랜지 사이에 설치되는 멀티 스티프너에 있어서, 상기 내관부재(21)의 외주면에 사각나사가 이중나사로 형성되고, 상기 길이조절용 암나사(27)의 내주면에 사각나사가 이중나사로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용 암나사(27)는, 상부에 형성되는 외관부재 삽입부(27d)와, 상기 외관부재 삽입부(27d)의 하부에 형성되는 홈부(27e)와, 상기 홈부(27e)에 끼워지는 외관 플랜지(28)와, 원주 바깥쪽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27a)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관부재(31)의 하부가 상기 외관부재 삽입부(27d)의 외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트윈 기법을 적용한 열 유체 시스템의 가속화 강화학습 수행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현실세계에서의 현상을 가상세계에서 구현하는 디지털 트윈을 적용하여 현실세계의 열 유체 시스템에서 얻은 초기의 강화학습결과를 기초로 가상세계에서 빠르게 학습시킴으로써 열 유체 시스템에서의 의미 있는 강화학습 결과를 얻는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있다. 일례로, 현실세계의 열 유체 시스템에 대한 강화학습을 수행하는 현실세계 강화학습 수행부; 상기 현실세계 강화학습 수행부를 통해 얻어진 초기 강화학습 수행결과로부터 현재상태를 나타내는 물리량 데이터를 각각 관측하고, 관측된 물리량 데이터를 기초로 가상세계의 강화학습진행에서 필요한 강화학습 데이터를 설정하고, 상기 강화학습 데이터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을 인덱스화하여 도메인을 생성하고, 생성된 도메인 상에서 현재상태와 다음상태의 구성요소 간을 매칭하여 리스트화된 강화학습 상태 데이터를 생성하여 공유하는 데이터 관리부; 현실세계 및 가상세계에서의 강화학습을 위하여 동일 구조의 인공신경망과 보상체계를 구성하고, 현실세계 및 가상세계 상호 간의 인공신경망 학습결과를 공유하여 디지털 트윈환경을 구성하는 인공신경망 설정부; 및 현실세계에서의 강화학습을 통해 상기 도메인 상에서 생성된 상기 리스트화된 강화학습 상태 데이터 및 상기 인공신경망 학습결과와, 상기 동일 구조의 인공신경망과 보상체계를 이용하여 현실세계에서 강화학습을 수행한 후, 디지털 트윈환경의 가상세계에서 강화학습을 최종 계산치에 수렴할 때까지 수행하되, 현실세계에서 열 유체 시스템의 열 응답 시간(Thermal Response Time)을 생략하여 가속화된 강화학습을 수행하는 가상세계 강화학습 수행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트윈 기법을 적용한 열 유체 시스템의 가속화 강화학습 수행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공공 데이터 활용 및 데이터 증식을 통한 이상치 탐색이 가능한 딥러닝 기반 공공장소 관제 및 방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건/사고/화재 등의 이상 상황에 대한 이상치 데이터(anomaly data)는 상대적으로 정상적인 상황(normal case)의 데이터 보다 희귀(rare)하여, 자칫 이상치 데이터 부존으로 인하여 이상 상황을 정확히 판별하지 못하거나, 이상치 데이터가 존재하더라도 상대적으로 많은 정상데이터에 의하여 정상상황에 대하여는 과대적합 학습되고, 반대로 이상상황에 대하여는 과소적합 학습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점에 기반하여, 딥러닝 기반 공공장소 관제 및 방재 시스템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이상 상황에 대한 공공 데이터 활용 및 데이터 증식 기술을 활용하여, 과대적합, 과소적합으로의 인공지능 알고리즘 학습을 회피하고, 효과적인 사건/사고/화재 등의 이상치 탐색이 가능하도록 비전인식 기능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심층 강화학습 알고리즘과 연동하여 환경 학습이 가능한 풍량 측정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학습 수행 방법, 이를 이용한 정밀 제어 환기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기팬 설계시 실제 설치환경에서 일어날 수 있는 압력조건 및 온습도, 공기청정도 등 열환경조건을 실제와 유사하게 실시간으로 가변하는 환경을 조성하고 심층 강화학습 알고리즘과 연계하여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인공신경망 학습하여 환기팬 제품이 실제 설치되는 환경에서 정밀제어 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제품의 사용경험지식과 신규 제품에 대한 소규모 측정데이터의 전이학습을 이용한 신규 히트펌프 성능 예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공신경망을 활용하여 신규 히트펌프 제품의 성능 예측 시스템을 구축함에 있어, 기존 히트펌프 제품의 사용경험지식을 신규 히트펌프 제품의 학습데이터를 보조하는 정보로 활용하여 학습데이터 수의 부족문제를 극복하는데 있다. 일례로, 기존 히트펌프로부터 수집된 운전기록데이터를 기초로 기존 히트펌프 성능 예측을 위한 인공신경망의 입력데이터와 출력데이터를 갖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기존 히트펌프 데이터베이스 구축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인공신경망의 훈련 및 예측 과정을 수행하되, 상기 예측 과정에서 인공신경망 예측 샘플을 생성하고, 상기 인공신경망 예측 샘플을 기초로 신규 히트펌프 성능 예측에 대한 불확실성 분석 과정을 수행하여 상기 인공신경망 예측 샘플의 평균 백터를 도출하는 기존 히트펌프 성능 예측부; 표준시험환경의 챔버장치를 활용하여 신규 히트펌프의 측정데이터를 수집하는 신규 히트펌프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입력데이터 및 상기 기존 히트펌프 성능 예측부의 평균 벡터를 출력데이터로 포함하는 시스템 초기정보를 구축하고, 상기 시스템 초기정보에 상기 신규 히트펌프의 측정데이터를 결합하는 전이학습을 수행하는 전이학습 수행부를 포함하는 신규 히트펌프 성능 예측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교실에서의 환기장치 및 냉난방기 동시 정밀제어를 위한 강화학습 수행방법, 이를 이용한 복합 환기 냉난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재실자가 쾌적함을 느낄수 있도록 열환경 선도조건(Psychrometric chart)에서의 컴포트 존(Comfort Zone)에 들어올 수 있도록 냉난방 시스템을 작동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정부의 실내오염물질 유지기준 및 권고기준을 만족할 수 있도록 환기장치를 운전할 수 있다. 이러한 환기 및 냉난방 복합운전시 트리보상체계를 활용한 심층강화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에너지 비용적인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고, 사용자가 보다 더 선호하는 운전패턴(사용자 리모컨 제어여부)을 파악하여 최적의 복합 환기 냉난방 운전이 가능하게 한다. 특히, 강화학습 알고리즘에 체계적인 트리 보상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선행 연구들에서 가상 시뮬레이션 기법상 인공신경망 학습에 몇 달이 소요될 수도 있는 시간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본 발명에서와 같이 실환경 오염원 모사 실증챔버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여 상기 모사 환경에서의 복합 환기 냉난방 시스템에 대한 인공지능 학습 및 실증이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출퇴근 등 위치정보와 재실환경, 외기환경 조건에 기반한 심층 강화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한 공기조화기 예비 냉난방(pre-cooling/ pre-heating) 에너지절약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시각각 변하는 다양한 출퇴근 위치정보와 트래픽현황, 온습도 조건등의 거주 환경을 학습하여 사용자가 사무실 또는 거주지에 도달하기 전에 미리 적절히 냉난방해야 할 시점을 학습하여 사무실 또는 거주지에서의 에너지절약을 꾀하는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시뮬레이션된 테스트 환경에서 다양한 조건하(예를 들어, 사용자 위치 정보, 트래픽에 의한 위치 도달 변화율, 세팅 온습도, 내부룸의 온습도 등)에 반복 학습을 수행하여 목표로 하는 범위 내에서 안정화된 학습 패턴 및 에너지 절약패턴을 보여주면 공기조화기 컴포넌트 수학 모델식, 환경에 대한 수학 모델식, 공기조화기-환경 연동 수학 모델식에 상관없이, 단지 사용자가 목표로 하는 범위 만족여부(온습도 범위 및 에너지절약 정도)에 대한 보상(혹은 벌점)값을 피드백 받아, 해당 안정화된 학습 패턴에 따른 최종 학습 결과를 신경망에 저장하고, 실제 현장에 배치된 공기조화기에서 앞서 저장된 최종 학습 결과를 근거로 사용자의 위치정보 및 실내 및/또는 실외 환경에 따른 적응형 학습을 수행하여 공기조화기의 사용자 편의성 및 에너지절약을 꾀하는 심층 강화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한 공기조화기 예비 냉난방 에너지절약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분야에서 제품 최적의 효율을 구사하기 위하여 제품 각 컴포넌트의 최적 디자인 포인트 혹은 열역학적인 시뮬레이션(P-h 선도점, 냉매유량설계, 공기유량설계)을 모르더라도, 주어진 각 컴포넌트의 사양정도만 매칭된다면, 제품의 각 컴포넌트들이 조립된 상태에서 최적의 제품 효율(energy efficiency)을 발휘하기 위한 각 컴포넌트의 운전점을 심층강화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해 찾아내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냉방운전 혹은 난방운전이 가능하도록 압축기, 팽창밸브, 실내기팬, 실외기팬의 컴포넌트를 포함하여 조립되는 공기조화기;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상기 압축기의 회전수(COM), 상기 팽창밸브 개도(EEV), 상기 실내기팬 회전수(IF), 상기 실외기팬의 회전수값(OF)을 제공받는 제1 컴퓨터; 및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가동중인 공기조화기의 시간에 따른 소비전력(P(t)), 냉난방능력(C(t)), 냉난방효율(EER(t)), 냉난방효율의 기울기 (dEER(t)/dt)와, 상기 공기조화기의 목표치로 미리 설정된 냉난방 능력(Cset)의 데이터를 제공받아 상기 제1 컴퓨터로 제공하는 제2 컴퓨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컴퓨터는 상기 제2 컴퓨터로부터 제공된 각각의 데이터와 상기 공기조화기로부터 제공된 각각의 데이터를 통하여 미리 설치된 신경망 구조를 통하여 심층 강화학습을 수행하여 상기 공기조화기의 최고효율 운전이 가능한 상기 압축기의 회전수(COM), 상기 팽창밸브 개도(EEV), 상기 실내기팬 회전수(IF), 상기 실외기팬의 회전수값(OF)을 자동으로 서치하는 심층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한 공기조화기 컴포넌트 운전포인트 서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심층 강화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한 공기조화기 정밀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관한 것이다. 일례로, 발명은 사용자 입력에 따른 목표 온도 및 목표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리모컨; 시험 환경을 구현하고, 상기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목표 온도 및 목표 습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상기 시험 환경에서 상기 수신된 목표 온도 및 목표 습도를 근거로 구동하는 공기조화기; 사전에 상기 공기조화기의 심층 강화 학습을 수행하기 위해 시뮬레이션된 실외 및 실내 환경조건이 설정된 정밀 시험 챔버; 상기 공기조화기와 관련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및 상기 수집된 상기 공기조화기와 관련한 데이터를 근거로 심층 강화 학습 신경 모델에 적용할 입력값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입력값을 근거로 상기 심층 강화 학습 신경 모델을 이용해서 상기 정밀 시험 챔버의 시험 환경에서 학습 기능을 수행하고, 미리 설정된 시뮬레이션 기간 동안 수행된 학습 단계가 정상적으로 종료된 후, 학습 수행에 따른 정보를 포함하는 신경망에 구성된 복수의 개별 노드에서의 가중치 및 편향값을 저장하고, 시험 환경별로 각 노드에서의 가중치 및 편향값을 포함하는 학습 결과를 상기 공기조화기에 제공하는 단말을 포함하는 심층 강화 학습 알고리즘을 적용한 공기조화기 정밀 학습 시스템을 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