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전력 생산을 위하여 화력 발전소 보일러에서 생성된 연소 가스 중 이산화황 가스 농도 배출을 환경 규제치 이하로 줄이기 위하여 국내 화력 발전소에 운전되고 있는 습식 배연 탈황 설비에 적용할 수 있는 흡수제를 선별할 수 있는 방법과 제철소 및/또는 화학 공장에서 생산되고 있는 흡수제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습식 배연 탈황 장치에 적합한 흡수제의 성분은 MgO : ≤1.5 wt%, SiO2 ≤2wt%, Al2O3 + Fe2O3 ≤ 0.5 wt%, CaO : ≥54.5 wt%로 존재하여야 하며, MgO가 1.5% 이상 존재하면 XRD로 돌로마이트(CaMg(CO3)2)가 확인될 경우에; (1) MgCO3에 대한 성분비로 돌로마이트 함량(wt%)을 산정하고, (2) 돌로마이트 속에 들어 있는 CaCO3 함량을 돌로마이트 성분비로 산정하고, (3) 최초 분석된 CaCO3로부터 (2)항에 들어 있는 CaCO3 함량을 제거하여 유효 CaCO3을 산정함으로서 탈황용 석회석으로 적합한지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철소 및/또는 화학 공장에서 생산된 석회석이 화학 성분 분석 결과 MgO가 1.5% 이하, CaO 54.5wt% 이상이면서 입자 크기가 5∼20㎛일 경우에는 흡수탑으로 보내어 기존 석회석 슬러리 저장조에 혼합하여 흡수제를 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기술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력 발전소 탈황 설비 경상 운영비를 대폭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국민 경제에 이바지하는 효과가 매우 높으며 매립에 의존하고 있는 알카리성 산업 폐기물을 이산화황 가스의 유해 가스를 제거하기 위한 무기자원으로 재활용함으로써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는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와 압축공기를 혼합하여 화염을 발생시키는 가스버너; 상기 가스버너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헤드; 일측에 압축공기 유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헤드와 함께 내부 연소실이 밀폐되게 구비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측에 상기 연소실을 둘러싸도록 구비되는 라이너; 및 상기 연소실 내부를 상기 케이싱 외측에서 관측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관측수단;을 포함하는 화염 가시화가 가능한 가스터빈 연소기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가스터빈 연소기 내부의 화염을 직접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가스터빈에 다양한 연료 적용시 연소성능 향상 및 연소 최적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새로운 연료용 연소기 개발에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보일러 및 터빈 응답지연 보상에 의한 발전소 출력 제어 안정도 향상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보일러 및 터빈 응답지연 보상에 의한 발전소 출력 제어 안정도 향상 제어 방법은, A) 발전소의 목표 출력 설정과 요구하는 출력 변동률에 의하여 발전기 출력을 변경하여 운전시킬 수 있도록 유닛 마스터를 제어하는 단계; B) 상기 유닛 마스터의 신호를 기준으로 하위의 보일러 보조설비에 연료, 급수 및 연소용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보일러 마스터를 제어하는 단계; C) 상기 유닛 마스터의 신호를 기준으로 터빈의 증기밸브를 조정하여 발전기 출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터빈 마스터를 제어하는 단계; 및 D) 상기 유닛 마스터, 보일러 마스터 및 터빈 마스터의 제어에 의해 출력 요구치 변동시 보일러 마스터의 동적 응답 보상에 따라 입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일러 연료의 가공, 이송 및 연소시 시간지연이 큰 석탄 및 고체연료 등을 사용하는 발전소에서 발전 출력변동의 지연을 방지하고 보일러 및 터빈을 보다 안정적인 상태에서 유지하여 발전소 비상정지와 발전소 주 설비의 급속한 수명 단축을 예방하며 궁극적으로 전력계통 전력수요에 대한 발전 출력을 추종하는 능력을 개선함으로써 보다 양질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공축과, 중심에 상기 중공축이 배치되는 진공챔버, 상기 진공챔버의 내부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소정 질량의 플라이휠, 및 상기 플라이휠과 상기 중공축을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플라이휠과 함께 상기 진공챔버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허브가 구비되는 대용량 중공형 플라이휠 전력저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중공축의 내, 외측으로 초전도베어링과 전자석베어링이 각각 설치되되 서로간의 자기력이 차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대용량 중공형 플라이휠 전력저장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초전도베어링과 전자석베어링 간의 자기력 상호 간섭을 그 사이에 배치되는 마그넷실드를 통해 차폐 가능함으로써 축 회전시의 기구적 메커니즘을 안정화시켜 회전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설계 가용성을 높일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차세대 화력발전 제어계통 설계기술 개발과제에서 개발한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건설되지 않은 1,000MW 차세대 화력발전소 제어로직 설계를 위한 제어 알고이즘 표준화 및 제어로직의 설계에 관한 것으로 지금까지는 외국의 제어시스템이 하드웨어 공급사별로 상이하게 공급되는 제어로직을 표준화 할 수 있으며, 표준 심벌을 사용한 보일러 자동제어 로직 설계, 표준 심벌을 사용한 순차제어 로직 설계, 표준 심벌을 사용한 미분기 및 버너제어 로직 설계를 통해 향후 건설되는 모든 1,000MW급 석탄화력 발전소에 표준화된 제어로직을 설계하여 사용함으로써 제어로직의 설계가 용이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 할 수 있으며, 제어로직의 신뢰성 및 경제적인 효과도 가져온다.
본 발명은 석탄가스용 가스터빈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중심부에 장착되는 파일럿노즐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면서 상기 파일럿노즐의 앞쪽에 구비된 스월러를 포함하는 가스터빈 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스월러는 상기 파일럿노즐을 감싸고 원주면 길이방향으로 1군의 분사구가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로 형성된 원추형 제1스월러부와, 상기 제1스월러부 앞쪽에 분사방향의 수직되게 배열되고 중앙에 파일럿 연료분사구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파일럿 연료분사구를 기준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상기 복수열의 분사구와 대응되게 복수의 스월그루브가 형성된 제2스월러부로 이루어져 있다. 1군의 분사구와 복수의 스월그루브를 통하여 연소기에서 화염의 역화를 방지하면서 석탄가스를 안정되게 연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최근 신에너지로 각광받는 석탄가스, DME(DiMethyl Ether), 제철소 부생가스 등 다양한 연료를 가스터빈에 사용하기 위한 삼중 스월형 가스터빈 연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3종류의 연료를 동시에 혹은 개별적으로 연소시킬 수 있는 동시에, 저열량 가스(LCV Gas, Low Calorific Value Gas)에서 고열량 가스까지 모든 연료를 다양하게 연소시킬 수 있어 연료유연성(Fuel Flexibility)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며, 특히 삼중으로 구성된 스월 중 두 번째 스월만 반대방향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연료공기 혼합도 및 난류강도 증가로 인한 연소효율의 증대 및 유해배기가스 저감 그리고, 연소진동 저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삼중 스월형 가스터빈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조 및 유지 바용을 줄일 수 있고, 고장 전류 자체 에너지로 차단 스위치를 동작시켜 선로를 변경하여 한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장 전류 발생시 자동으로 빠르게 반응하여 즉시 회복될 수 있으며, 능동-수동 동작이 가능한 선로 변경식 한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주 회로에 연결된 1차측 및 상기 1차측에 정합된 2차측으로 이루어진 커플드 인덕터, 상기 커플드 인덕터의 2차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 스위치, 상기 제너 다이오드 스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너 다이오드 스위치의 턴온시, 상기 커플드 인덕터의 1차측에 병렬로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는 선로 변경 스위치 및 상기 바이패스 경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주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한류하는 한류부를 포함하는 선로 변경식 한류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제조 및 유지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고장 전류 자체 에너지로 차단 스위치를 동작시켜 한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장 전류 발생 후 1/2주기 동안에도 주 회로에 잔류하는 전류를 한류시켜 부하를 보호할 수 있는 선로 변경식 한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주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장 전류 감지부, 상기 고장 전류 감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주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장 전류 인가시 퀀치(quench)되는 한류용 초전도체, 상기 고장 전류 감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장 전류의 인가시, 상기 고장 전류 감지부에 병렬로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는 선로 변경 스위치 및 상기 바이패스 경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장 전류를 한류하는 한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 전류 감지부는 상기 고장 전류의 발생시 상기 고장 전류를 상기 바이패스 경로로 우회시키는 선로 변경식 한류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한류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류기와 차단기를 병합한 통합기기로 한류기와 차단기의 동작 협조가 용이하고, 장치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장 전류 발생시 전류를 주 회로에서 제1보조 회로로 선로 변경하는 선로 변경부와, 선로 변경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장 전류 발생 시 주 회로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한류용 차단 스위치와, 제1보조 회로와 주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장 전류 발생시 전류를 제어하는 한류부와, 한류부와 한류용 차단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한류용 차단 스위치 또는 한류부를 통해서 전류를 인가받는 차단용 고속 스위치와, 제1보조 회로에서 한류부와 차단용 고속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단용 고속 스위치와 한류부 사이의 전류를 제어하는 반도체 스위치 및 제1보조 회로에서 한류부와 반도체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반도체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고장 감지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한류 차단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방수 성능 시험 장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상에 결합되고, 내부에 하부 시편이 채워지며, 상기 하부 시편을 수직 관통하되,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하부 시편 관통부 및 하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배출 포트가 구비된 하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 상에 결합되고, 상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내부에 상부 시편이 채워지며, 상기 상부 시편을 수직 관통하되, 상기 복수의 하부 시편 관통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부 시편 관통부 및 상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공급 포트가 구비된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 및 상기 상부 챔버 사이에 개재된 방수 시트 및 상기 공급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 포트를 통해 유체를 공급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하부 챔버 내부에 건축 구조물의 합벽 구간을 모사하여 실제 건축 구조물의 형태를 마련하고, 실제 건축물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등을 인위적으로 가한 후, 상하부 챔버 내부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실제 상태와 동일한 상태에서 방수층의 방수 성능을 시험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합벽 구간에서 방수층의 방수 성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전기 비동기투입시에도 전력설비를 보호하고 전력계통을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기존 보호시스템에 비동기투입 보호 솔루션을 추가하여 구현하는 것으로, 설비고장시 발생되는 고장전류를 제거하여 전력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87, 46, 40, 59N, 59/81, 21, 32 계전기 등)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발전기 운전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그 출력신호를 소정시간 동안만 출력 시키는 펄스소자 신호; 디지털 보호장치에 내재되어 있는 과전류계전기 동작신호; 를 AND 로직 신호로 구성하여 그 출력신호를 록아웃 계전기에 인가시키는 발전기 비동기투입 보호장치이다.
본 발명은 초음파 탐촉자의 입사점 및 굴절각 자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측정값을 용이하게 측정 가능하고, 측정 결과를 수차례에 걸쳐 수행할 경우에도 재현성이 우수하므로 초음파 검사시 검사대상의 결함 평가를 더욱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초음파 탐촉자의 입사점 및 굴절각 자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방에 일정한 길이의 반경을 갖는 1/4원형부 및 이와 일체 형성된 박스 형상의 몸체부로 이루어진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삽입되는, 교체 가능한 검사대상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 및 1/4원형부의 외주연을 따라 이동하면서 각각 입사점 및 굴절각을 측정 가능한 별도의 측정부재와; 상기 측정부재에서 감지한 입사점 및 굴절각의 값이 제어부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전송되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 기록되는 펄스진폭 기록장치를 포함하는 초음파 탐촉자의 입사점 및 굴절각 자동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은 기존의 배전자동화시스템을 이용한 고장복구 방법에서 야기되는 단점인 하위(부하측) 개폐기 단말장치와의 통신 및 제어를 위하여 고가의 중앙제어장치가 필요하다는 점과 고장복구를 위하여 단말장치로부터의 고장감지 신호의 수신부터 사용자의 판단 및 다시 제어신호의 송신 등 장시간의 고장복구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개선하여 중앙제어장치의 설치 및 운영없이도,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장치 간의 상호통신(Peer-to-Peer Communication)을 통하여 고장구간을 탐색, 분리, 복구 및 복귀하는 분산지능형 배전선로 고장복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지능형 배전선로 고장복구 시스템은 배전계통의 변전소에 설치되는 분산지능형 과전류 계전기(D-OCU)와 선로에 설치되는 분산지능형 단말장치(D-RTU)로 구성되고; 이들 각각의 D-OCU와 D-RTU간의 통신으로 통하여 상호 정보를 교환하여 고장구간을 분리하고, 건전구간을 절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빙축열 시스템의 빙축열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시간대에 피크 전력수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분할된 빙축열조로 이루어진 빙축열 시스템의 분할형 빙축열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냉동기(100)와 열교환기(101)에 연결되어 브라인 배관(1)에서 분기된 유입 분배관(2)과 유출 분배관(3)들이 3방 자동제어 밸브(4)에 연결되어 이루어진 빙축열 시스템의 빙축열조에 있어서, 상기 빙축열조(5)는 주 빙축열조(5a)와 보조 빙축열조(5b)로 분할 설치되고, 상기 주 빙축열조(5a)와 보조 빙축열조(5b)에는 브라인 배관(1)에서 분기된 유입 분배관(2)이 병렬 연결되어 각각 자동연동 밸브(6,7)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주 빙축열조(5a)와 보조 빙축열조(5b)에 병렬 연결된 브라인 유출 분배관(3)에도 각각의 자동연동 밸브(8,9)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