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에 의한 가상현실 기반의 투약간호 자율실습 장치(100)는 메인 서버(200) 및 다수의 가상현실 장치(300)로 구성되고, 상기 가상현실 장치(300)는 상기 가상현실 장치(300) 및 메인 서버(20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310), 상기 메인 서버(200)로부터 전송받은 초기 화면(400), 각각의 처방 정보에 대한 투약간호 실습화면(500)들 및 정답지들이 저장되는 메모리부(320), 상기 초기 화면(400), 상기 초기 화면(400)에서 선택된 처방 정보에 맞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을 출력부(350)를 통해 순서대로 표시하는 제어 모듈(330), 상기 초기 화면(4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처방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초기 화면(400)에 해당하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에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340) 및 상기 초기 화면(400), 상기 초기 화면(400)에서 선택된 처방 정보에 해당하는 투약간호 실습화면(500)을 출력하는 출력부(3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는 컨테이너팜용 지능형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컨테이너팜용 지능형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컨테이너 내부에서 작물을 재배할 경우, 원격으로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원격제어가 가능한 TCP/IP 기반의 원격제어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은 컨테이너 내부에 설치된 센서(온/습도와, CO2 등등)를 통하여 내부 상태를 계측한다. 이에 더하여, 컨테이너 외부에 설치된 공조기를 제어하여 내부 상태를 제어한다. 그리고, 또한 CCD 카메라 기반의 원격 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하여 컨테이너의 내부 상태를 녹화/재생 할 수 있는 원격관리 시스템도 제공한다. 또한, 추가적으로 이때 플랫폼 기반으로 원격에서 복수개의 컨테이너팜 제어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컨테이너에서 작물이 재배될 경우, 이러한 지능형 원격 모니터링 구조로부터 컨테이너 내의 작물을 잘 자라게 하는 환경을 만듦으로써, 양질의 컨테이너팜 작물을 제공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중드론을 이용한 해저 영상분석시스템과 영상분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볍고 내식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본체에 인접한 주변환경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정보를 데이터화하하며, 수집되는 데이터들을 외부로 송신하는 송신모듈이 형성된 촬영장치와,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를 수중 내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동력수단과, 상기 본체에 형성되어 상기 동력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과 상기 본체의 방향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 모듈을 포함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수중드론과 상기 수중드론의 현재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표면에 LED가 형성되어 있는 발열체와 상기 송신모듈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적합한 출력영상으로 변환시키는 영상처리장치와 상기 영상처리장치로부터 영상의 획득을 제어하고 정확한 영상을 획득하도록 영상의 객체분석 및 필터링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 의한 제어를 통해 획득한 영상을 분석하여, 영상 객체분석 및 필터링을 수행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영상처리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아 통신모듈을 통하여 실시간 전송하고, 전송된 상기 영상을 관리하는 관제센터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건물 외부와 내부의 공기를 통과시키되, 온도센서에 의해 영하의 온도가 감지되면 환풍 팬을 작동시켜 영하의 냉기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수도와 보일러 등의 동파를 사전에 예방하는 냉기 유입 차단용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기 유입 차단용 관통 슬리브는,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제1 중공이 내부에 형성되는 관(管)형의 슬리브와 일측에 모터 고정용 브라켓이 구비되고, 일단과 타단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기구가 형성되는 슬리브 커버와 모터 고정용 브라켓에 체결되는 모터부와 모터부에 체결되는 환풍팬과 슬리브 커버 또는 모터 고정용 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방용 방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현장에서 소방요원 또는 생존자가 몸을 보호하면서 이동하기 용이한 소방용 방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현장에서 소방요원 또는 생존자를 화재 열기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온도조건에 따른 발광 및 알림음이 제공되고,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영상표시수단이 제공되기 때문에, 화재현장에서 소방요원 또는 생존자가 몸을 보호하면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PC, 노트북 등의 모니터에 탈착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조디스플레이와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니터용 다중 디스플레이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노트북,PC 등의 모니터에 본 발명의 다중디스플레이케이스를 체결함으로써 더 넓은 화면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여러 사람들과 함께 모니터를 볼 경우 다양한 방향에서 모니터 화면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스윙 암과 통합된 패드 프로파일 측정 시스템은 상면에 연마 패드(171)가 배치된 정반(17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110), 일측이 상기 본체(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윙 암(120), 상기 스윙 암(120)의 타측 하부에 회전 및 직진 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마 패드(171)를 컨디셔닝하는 컨디셔너(130), 상기 스윙 암(120)의 전면 하부에 설치되고, 전면에는 가이드부(141)가 함몰 형성된 이송부(140), 상기 가이드부(141)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마 패드(171)의 두께 프로파일을 측정하는 센서부(150), 상기 컨디셔너(13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컨디셔너(130)를 중력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부(155), 상기 가압부(155)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155)에 의해 상기 컨디셔너(130)에 가해지는 실제 압력값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56), 상기 연마 패드(171)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윙 암(120)의 실제 처짐값을 측정하는 처짐 측정 센서(157) 및 상기 처짐 측정 센서(157)에 의해 측정된 상기 스윙 암(120)의 실제 처짐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부(155)의 실제 압력값을 조절하는 컨트롤 모듈(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보드 형상을 갖도록 연성시트로 제작되며, 길이방향 일측에 오목한 형상의 인입부를 구비하는 보드몸체; 상기 보드몸체의 외측면 중 상기 인입부가 형성된 부위를 덮도록 결합되는 보드프레임; 상기 보드프레임의 중단을 관통하여 상기 보드몸체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체결관; 상기 인입부에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파워팩몸체와, 상기 파워팩몸체가 상기 인입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체결관에 삽입되는 공기주입관과, 상기 파워팩몸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주입관으로 고압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펌프와, 상기 파워팩몸체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공기펌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전동파워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주입식 서프보드는, 사용자의 노동력 없이도 공기 주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사전에 설정된 양만큼만 공기가 주입되어 기준치 이상의 부력을 유지하면서 파손의 우려가 발생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다. □ 논문 등 출처기재(謝辭) 표기 ○ 국문 ☞ 본 성과물은 부산광역시의 대학혁신연구단지조성사업 중 “동명대학교 대학혁신연구단지조성사업”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 영문 ☞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grant from Tongmyong University Innovated University Research Park(I-URP) funded by Busan Metropolitan City, Republic of Korea.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공정의 화학기계적 연마(CMP)를 위한 연마 입자의 분산성 향상을 통한 SiC 및 GaN 기판 가공 시스템은, 과산화수소가 포함된 슬러리를 수용하는 탱크(100); 상기 슬러리의 용존 산소량(DO)을 측정하는 DO 측정부(200); 상기 슬러리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히드록시 라디칼을 생성하는 제1 UV 조사부(300); 상기 슬러리에 나노버블을 공급하여 용존 산소량을 제어하는 나노버블 공급부(400); 상기 탱크(100)와 연통되어 상기 슬러리를 전해노즐부(600)로 이송하는 펌프부(500); 상기 펌프부(500)에서 이송된 슬러리를 전기분해하여 이온화시키고, SiC 및 GaN 기판 연마부(800)으로 슬러리를 토출하는 전해노즐부(600); 상기 전해노즐부(6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650); 상기 SiC 및 GaN 기판 연마부(80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전해노즐부(600)에서 토출된 슬러리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제2 UV 조사부(700); 상부에 연마 패드가 부착되고, 회전 가능한 플레이튼부(810);와, 상기 플레이튼부(810) 상에서 연마할 SiC 및 GaN 기판을 개재하여 접하는 폴리싱 헤드부(820);를 구비하는 SiC 및 GaN 기판 연마부(800);를 포함하며, 상기 슬러리는 다이아몬드(diamond), 실리카(SiO2), 알루미나(Al2O3) 및 세리아(CeO2)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연마 입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기분해 시 상기 슬러리에 인가되는 전류 세기는 5 내지 10 A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블록체인 기반의 게임 품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품질관리 원장을 분산 저장함과 아울러 게임의 수행 중 품질관리 원장의 기재와는 다른 이용자 경험이 있는 경우, 상기 품질관리 원장을 수정하여 품질관리 분산원장을 생성하는 풀노드들과, 상기 풀노드들에서 생성된 품질관리 분산원장을 분산 저장하고, 동의 여부를 선택하는 라이트 노드들과, 게임 품질의 테스트 결과를 상기 품질관리 원장으로 생성함과 아울러 상기 품질관리 분산원장에 대한 동의 비율에 따라 품질 개선 우선 순위를 정하여 품질을 개선하는 게임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캐리어용 보조바퀴장치에 있어서, 보조바퀴와, 상기 보조바퀴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부를 포함하는 보조바퀴유니트;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캐리어의 하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캐리어의 하면에 지지되는 캐리어하면지지부; 일단이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상부에 결합하는 막대형상의 로드부와, 내부에 상기 로드부를 수용하는 튜브부와, 상기 로드부가 상기 튜브부에 탄성적으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일단은 상기 튜브부의 내면과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로드부의 타단과 결합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부에 상기 로드부가 삽입 및 인출됨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유니트; 및 상기 튜브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캐리어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캐리어의 손잡이가 삽입되는 손잡이삽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삽입공에 상기 손잡이를 삽입하면서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 지지되는 캐리어상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캐리어를 이동시 적은 힘으로도 계단을 손쉽게 오르내릴 수 있고 계단의 모서리로부터 캐리어의 배면 손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로 캐리어를 구매하지 않고 기존에 소지하고 있던 캐리어에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무릎보호대는, 슬개골개구(110)가 형성되며, 상기 슬개골개구(110)를 중심으로 착용 시 허벅지에 위치되는 상부슬리브(120)와 상기 슬개골개구(110)를 중심으로 착용 시 종아리에 위치되는 하부슬리브(130)를 포함하는 무릎슬리브(100); 상기 슬개골개구(110)를 중심으로 상기 무릎슬리브(100) 양 측면에 한쌍으로 내장되어 상기 상부슬리브(120)와 상기 하부슬리브(130)에 결합되는 각도조절장치(200); 및 상기 각도조절장치(200)를 제어하는 컨트롤러(300); 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장치(200)는 무릎의 굴곡과 신전 시 상기 상부슬리브(120)와 상기 하부슬리브(130)의 움직임 반경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