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 대한 초분광 영상(hyperspectral image)으로부터 목표하는 표적물질의 분포를 검출하기 위한 표적물질 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지역에 대한 초분광 영상으로부터 목표하는 표적물질의 분포를 검출하기 위한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표적물질 탐지방법에 있어서, 화소 단위로 목표 물질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표적물질이 아닌 다른 물질까지 표적물질로 오탐지되거나, 목표물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탐지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던 종래기술의 표적물질 탐지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분석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초분광 영상을 취득하고, 취득된 초분광 영상으로부터 영상 엔드멤버(image endmember)를 자동으로 추출한 후, 여기에 다시 표적물질에 대한 타겟 스펙트럼(target spectrum)을 또 다른 엔드멤버로서 추가하여 분광 순수화(spectral unmixing)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표적물질에 대한 점유비율을 구하여 표적물질에 대한 분포도를 작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오탐지되는 화소가 거의 없이 목표하는 표적물질만을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서브픽셀(sub-pixel) 기반의 초분광 영상의 분광혼합분석을 이용한 표적물질 탐지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전자탐사 장비를 멀티콥터에 장착해 공중 탐사를 가능하게 하며 자세 변화가 심한 긴 막대 형태의 전자탐사 장비를 매달고 비행하면서도 안정적인 탐사가 가능한 멀티콥터 기반의 전자탐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멀티콥터; 상기 멀티콥터의 하부에 결합되며, 멀티콥터의 비행에 따른 자세 변화를 감지해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는 자세제어 짐벌; 상기 자세제어 짐벌의 하부에 상측 말단이 고정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하측 말단에 고정되는 전자탐사 장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침투형 갤러리를 이용한 지하수 인공함양분석에 따른 효율성 산출방법은, (a) 수막재배지역에 지중 침투형 갤러리를 설치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설치된 지중 침투형 갤러리에 지하수 주입량 및 주입시간을 변화시키면서 지표아래의 지하수 수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지중 침투형 갤러리를 이용한 지하수 인공함양분석에 따른 효율성 산출방법을 이용하면, 수막재배 활용 후 유출되는 지하수가 자유면 대수층으로 어느 정도 재주입될 수 있는지 양적인 평가가 가능하여 수막재배 활성화시기에 지하수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치환율이 개선된 심도별 지하수 샘플 채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환율이 개선된 심도별 지하수 샘플 채취장치는 시추공에 삽입되어 목표하는 심도의 지하수를 채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심도별 지하수 샘플 채취장치는, 지하수 수용관과, 상기 지하수 수용관의 전방에 형성되어 지하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지하수 수용관의 후방에 형성되어 상기 지하수 수용관에 유입되었던 지하수가 유출되는 유출구와, 상기 지하수 수용관에 유입되는 지하수의 흐름을 일 방향으로 제어하는 흐름제어부를 포함하는 취수부; 및 시추공에 심도별 지하수 샘플 채취장치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지하수 수용관에 유출입되는 지하수의 치환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취수부의 전방에 결합되는 가이드관를 구비한 치환율 향상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환원슬래그를 출발물질로 하는 광물탄산화 방법 및 슬래그 재활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환원슬래그의 표면을 감싸고 있는 유리 석회와 대기중의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수용액의 표면에 탄산칼슘막을 형성하는 전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환원슬래그로부터 유리 석회를 제거한다. 유리 석회가 제거됨으로써, 암모늄 용액을 이용하여 환원슬래그로부터 칼슘을 추출하는 용매추출효율이 획기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유리 석회를 제거함으로써 환원슬래그를 건축 및 토목재료로 재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1개조를 이루는 2개의 전기장 센서의 각각의 커넥터의 손잡이를 회전시키고 금속띠의 회전에 의한 미세 조정을 통해 2개 센서의 전압차를 보정하여 매칭시키는 전기장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장 센서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외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금속띠; 및 일측이 상기 금속띠와 접촉하는 볼 타입의 브리지;를 갖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실리콘,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옥사이드 및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혼합물을 분무 건조하고, 열처리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구겨진 형상의 실리콘-탄소나노튜브-그래핀 복합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복수 개의 실리콘 입자들이 응집된 실리콘 응집체; 상기 실리콘 응집체를 둘러싸는 복수 개의 구겨진 그래핀; 및 상기 실리콘 입자들 사이, 상기 구겨진 그래핀들 사이 및 상기 실리콘 입자와 구겨진 그래핀 사이 가교점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탄소나노튜브;를 포함하는, 구겨진 형상의 실리콘-탄소나노튜브-그래핀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그래핀 옥사이드, 코발트 전구체, 철 전구체 및 용매를 혼합한 혼합물을 마련하는 단계(단계 1); 및 상기 마련된 혼합물을 분무 건조 후 열처리하는 단계(단계 2);를 포함하는, 구겨진 그래핀 및 코발트-철 산화물을 포함하는 복합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주 분광기에 의해 달에서 오는 감마선을 측정하고 BGO(Bi4Ge3012) 섬광 검출기에 의해 저에너지 콤프턴 감마선 백그라운드를 측정하며 플라스틱 섬광 검출기에 의해 고에너지 우주선 백그라운드를 측정한 후 측정된 저에너지 콤프턴 감마선 백그라운드 신호와 고에지 우주선 백그라운드 신호의 라이징 펄스(rising pulse)를 체크하고 그 라이징 펄스가 설정시간 동안 달에서 오는 감마선 신호와 일치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여 일치하지 않을 때 백그라운드 신호를 제거한 감마선 신호 스펙트럼을 생성하고 저장하여 감마선 분석부로 전송하도록 하는 달 탐사 궤도선용 감마 분광기의 차폐 검출 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조물 손상 위치 추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초파일 내부에 형성된 결합체를 포함하는 신호 생성부, 신호 생성부와 연결되어 결합체가 파손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신호를 측정하는 신호 측정부; 및 신호 측정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기초파일에 발생한 손상 크기 및 위치를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부;를 포함하고, 결합체는 기초파일 내부에 형성되되, 코어부 및 코어부를 감싸는 외측부를 포함하고, 코어부 및 외측부는 서로 다른 재료로 형성되고, 신호 측정부는 코어부 및 외측부 각각에 연결된 코어부 센서 및 외측부 센서를 포함하고, 결합체의 파손 위치는 코어부 센서 및 외측부 센서로부터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역산에 의해 추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구조물 기초가 손상될 경우, 어는 정도 깊이에서 구조물 기초가 손상되었는지 파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지중의 일정한 깊이에 매설되는 태그로서 지상의 일정 높이에서 빠르게 이동하는 리더기를 통해 인지될 수 있으며 지중 환경에서의 신호 왜곡을 최소화하고 매설되는 토양 매질의 다양한 유전율 특성에 따라 공액정합을 용이하게 최적화시킬 수 있어서 매설되는 토양 매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정확한 인지성능을 보여주게 되는 지반함몰 탐지를 위한 태그에 관한 것으로, 지중에 매설되며 지상에서 이동하는 리더기를 통해 인지될 수 있는 태그로서, 상기 리더기의 태깅에 따라 지반을 매질로 리더기와 신호를 주고 받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가 부착되는 몸체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를 지지하는 밑판부; 및 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를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밑판부와 결합하는 덮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일메나이트(ilmenite) 정광과 적니(red mud)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혼합물에 탄소공급원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혼합물 내의 철을 환원하여 용융방울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용융방울을 자력선별하여 철을 제거하고 이산화티탄 슬래그를 회수하는 단계; (d) 상기 이산화티탄 슬래그를 베이어 공정(Bayer process)에 도입하여 알루미나(Al2O3)를 회수하는 단계; 및 (e) 알루미나가 분리된 이산화티탄 슬래그를 산침출(acid-leaching)하여 실리카(SiO2)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니를 활용한 일메나이트 제련방법 관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적니와 일메나이트 정광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환원하는 경우 일메나이트가 함유하는 철과 이산화티탄뿐만 아니라 적니가 함유하는 철과 이산화티탄을 함께 모두 분리 회수할 수 있으며, 공정부산물로 적니가 함유하는 알루미나를 제거하여 이산화티탄의 품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자유면(지표면)에 근접한 심도의 송신원에 대해 격자 간격을 이용한 효율적인 3차원 주시(traveltime) 계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감쇠 파동 방정식을 이용한 주시 계산 알고리듬인 SWEET(Suppressed Wave Equation Estimation of Traveltime) 알고리듬과 등가 분포 송신원 알고리듬인 ESD(Equivalent Source Distribution) 알고리듬을 조합함으로써 얕은 심도의 송신원에 대한 효율적인 계산 방법을 제안함과 아울러 종래의 SWEET 알고리듬에 비해 계산 시간을 덜 필요로 할 수 있는, 자유면(지표면)에 근접한 심도의 송신원에 대해 격자 간격을 이용한 효율적인 3차원 주시 계산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작석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반암동 광체 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초분광 영상센서 카메라가 탑재된 드론을 활용해 변질대 분포자료에 표시된 변질대 지역의 초분광 영상자료를 획득하는 단계와, 초분광 영상자료로부터 탐사 대상지역의 공작석 분포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초분광 영상센서를 탑재한 드론을 활용해 공작석을 신속히 발견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공작석 하부에 존재하는 잠두 반암동 광체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한 광역 탐사 시간 및 소비 자본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공작석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반암동 광체 탐지 방법을 제공한다.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딥러닝을 이용한 셰일가스 생산량 예측모델 생성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딥러닝을 이용한 셰일가스 생산량 예측모델 생성 방법은 트레이닝 유정의 생산량 정보 및 특징정보를 포함하는 트레이닝 유정자료를 획득하는 트레이닝 유정자료 획득단계, 상기 트레이닝 유정자료를 전처리하는 전처리 단계 및 상기 전처리된 트레이닝 유정자료를 순환신경망을 이용한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시켜 셰일가스 생산량 예측모델을 생성하는 예측모델 생성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특징정보는 상기 생산량 정보에 기반하여 얻어진 셧인(shut in) 정보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