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제조 및 유지 바용을 줄일 수 있고, 고장 전류 자체 에너지로 차단 스위치를 동작시켜 선로를 변경하여 한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장 전류 발생시 자동으로 빠르게 반응하여 즉시 회복될 수 있으며, 능동-수동 동작이 가능한 선로 변경식 한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주 회로에 연결된 1차측 및 상기 1차측에 정합된 2차측으로 이루어진 커플드 인덕터, 상기 커플드 인덕터의 2차측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너 다이오드 스위치, 상기 제너 다이오드 스위치에 연결되어 상기 제너 다이오드 스위치의 턴온시, 상기 커플드 인덕터의 1차측에 병렬로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는 선로 변경 스위치 및 상기 바이패스 경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주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한류하는 한류부를 포함하는 선로 변경식 한류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제조 및 유지 비용을 줄일 수 있고, 고장 전류 자체 에너지로 차단 스위치를 동작시켜 한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장 전류 발생 후 1/2주기 동안에도 주 회로에 잔류하는 전류를 한류시켜 부하를 보호할 수 있는 선로 변경식 한류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주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고장 전류 감지부, 상기 고장 전류 감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주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장 전류 인가시 퀀치(quench)되는 한류용 초전도체, 상기 고장 전류 감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장 전류의 인가시, 상기 고장 전류 감지부에 병렬로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는 선로 변경 스위치 및 상기 바이패스 경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고장 전류를 한류하는 한류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 전류 감지부는 상기 고장 전류의 발생시 상기 고장 전류를 상기 바이패스 경로로 우회시키는 선로 변경식 한류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한류 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류기와 차단기를 병합한 통합기기로 한류기와 차단기의 동작 협조가 용이하고, 장치를 단순화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장 전류 발생시 전류를 주 회로에서 제1보조 회로로 선로 변경하는 선로 변경부와, 선로 변경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장 전류 발생 시 주 회로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한류용 차단 스위치와, 제1보조 회로와 주 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고장 전류 발생시 전류를 제어하는 한류부와, 한류부와 한류용 차단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한류용 차단 스위치 또는 한류부를 통해서 전류를 인가받는 차단용 고속 스위치와, 제1보조 회로에서 한류부와 차단용 고속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단용 고속 스위치와 한류부 사이의 전류를 제어하는 반도체 스위치 및 제1보조 회로에서 한류부와 반도체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반도체 스위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고장 감지 및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한류 차단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방수 성능 시험 장치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 상에 결합되고, 내부에 하부 시편이 채워지며, 상기 하부 시편을 수직 관통하되,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하부 시편 관통부 및 하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배출 포트가 구비된 하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 상에 결합되고, 상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내부에 상부 시편이 채워지며, 상기 상부 시편을 수직 관통하되, 상기 복수의 하부 시편 관통부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상부 시편 관통부 및 상면에 내부와 연통되는 공급 포트가 구비된 상부 챔버와, 상기 하부 챔버 및 상기 상부 챔버 사이에 개재된 방수 시트 및 상기 공급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 포트를 통해 유체를 공급하는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상하부 챔버 내부에 건축 구조물의 합벽 구간을 모사하여 실제 건축 구조물의 형태를 마련하고, 실제 건축물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등을 인위적으로 가한 후, 상하부 챔버 내부에 유체를 공급함으로써 실제 상태와 동일한 상태에서 방수층의 방수 성능을 시험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합벽 구간에서 방수층의 방수 성능을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전기 비동기투입시에도 전력설비를 보호하고 전력계통을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기존 보호시스템에 비동기투입 보호 솔루션을 추가하여 구현하는 것으로, 설비고장시 발생되는 고장전류를 제거하여 전력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장치(87, 46, 40, 59N, 59/81, 21, 32 계전기 등)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발전기 운전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그 출력신호를 소정시간 동안만 출력 시키는 펄스소자 신호; 디지털 보호장치에 내재되어 있는 과전류계전기 동작신호; 를 AND 로직 신호로 구성하여 그 출력신호를 록아웃 계전기에 인가시키는 발전기 비동기투입 보호장치이다.
본 발명은 초음파 탐촉자의 입사점 및 굴절각 자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측정값을 용이하게 측정 가능하고, 측정 결과를 수차례에 걸쳐 수행할 경우에도 재현성이 우수하므로 초음파 검사시 검사대상의 결함 평가를 더욱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초음파 탐촉자의 입사점 및 굴절각 자동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방에 일정한 길이의 반경을 갖는 1/4원형부 및 이와 일체 형성된 박스 형상의 몸체부로 이루어진 내부에 빈 공간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삽입되는, 교체 가능한 검사대상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면 및 1/4원형부의 외주연을 따라 이동하면서 각각 입사점 및 굴절각을 측정 가능한 별도의 측정부재와; 상기 측정부재에서 감지한 입사점 및 굴절각의 값이 제어부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전송되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자동 기록되는 펄스진폭 기록장치를 포함하는 초음파 탐촉자의 입사점 및 굴절각 자동 측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발명은 기존의 배전자동화시스템을 이용한 고장복구 방법에서 야기되는 단점인 하위(부하측) 개폐기 단말장치와의 통신 및 제어를 위하여 고가의 중앙제어장치가 필요하다는 점과 고장복구를 위하여 단말장치로부터의 고장감지 신호의 수신부터 사용자의 판단 및 다시 제어신호의 송신 등 장시간의 고장복구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을 개선하여 중앙제어장치의 설치 및 운영없이도, 배전선로에 설치되어 있는 단말장치 간의 상호통신(Peer-to-Peer Communication)을 통하여 고장구간을 탐색, 분리, 복구 및 복귀하는 분산지능형 배전선로 고장복구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산지능형 배전선로 고장복구 시스템은 배전계통의 변전소에 설치되는 분산지능형 과전류 계전기(D-OCU)와 선로에 설치되는 분산지능형 단말장치(D-RTU)로 구성되고; 이들 각각의 D-OCU와 D-RTU간의 통신으로 통하여 상호 정보를 교환하여 고장구간을 분리하고, 건전구간을 절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빙축열 시스템의 빙축열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특정 시간대에 피크 전력수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분할된 빙축열조로 이루어진 빙축열 시스템의 분할형 빙축열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냉동기(100)와 열교환기(101)에 연결되어 브라인 배관(1)에서 분기된 유입 분배관(2)과 유출 분배관(3)들이 3방 자동제어 밸브(4)에 연결되어 이루어진 빙축열 시스템의 빙축열조에 있어서, 상기 빙축열조(5)는 주 빙축열조(5a)와 보조 빙축열조(5b)로 분할 설치되고, 상기 주 빙축열조(5a)와 보조 빙축열조(5b)에는 브라인 배관(1)에서 분기된 유입 분배관(2)이 병렬 연결되어 각각 자동연동 밸브(6,7)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주 빙축열조(5a)와 보조 빙축열조(5b)에 병렬 연결된 브라인 유출 분배관(3)에도 각각의 자동연동 밸브(8,9)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활선 현수애자련 정밀 점검용 로봇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활선애자의 애자련을 따라 왕복 이동하는 로봇 본체에 있어서, 애자련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상·하부 로봇 프레임과 상기 로봇 본체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된 배터리 모듈과 애자련 이동을 위한 구동 모듈과 전기적으로 애자를 점검하는 점검 모듈과 설치/철거기구와 로봇 본체를 연결해주는 결합 모듈과 수동으로 로봇 본체를 애자련에서 이탈시키는 윙 개폐모듈과 애자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측정 모듈과 로봇 본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기 모듈과 애자의 크랙을 점검하는 크랙 검출부로 이루어져 활선애자를 점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자석을 채용한 채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를 갖는 통상으로 형성되며 상부개구와 하부개구의 연부를 따라 자석 또는 도체가 장착된 본체와, 상부개구와 하부개구를 개폐하며 상부개구와 하부개구의 연부와 접하는 둘레방향을 따라 도체 또는 자석이 장착된 상부마개 및 하부마개를 갖는 채수통; 채수통의 외측 일부를 감싸서 채수통이 기울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외부로부터 연장된 로프에 장착되어 상부마개 및 하부마개의 폐쇄시키기 위한 타격을 가하는 메신저와,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어 메신저의 타격에 의해 상부마개 및 하부마개와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부마개 및 하부마개가 폐쇄되도록 하는 작동유닛을 갖는 개폐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채수작업을 한번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채수작업의 반복으로 인한 불편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채수된 시료를 상부마개와 하부마개를 연 상태에서 집수부재를 이용하여 시료병에 담기 때문에, 힘과 시간이 절약되고 흘리는 양이 적어 정확하고 신속하게 시료를 시료병에 담을 수 있다. 또한 유속이 빠른 악조건의 환경에서도 한번에 채수가 가능함으로써, 시간과 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력선통신을 이용하여 전력량계를 원격검침하는 원격검침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검침시스템은 지상 변압기에 설치되어 전력량계로부터 저압선을 통해 전송되는 검침 데이터를 고압선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달 장치, 및 지상 변압기 또는 지상 개폐기에 설치되어 데이터 전달 장치에 의해 고압선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원격 검침 서버로 전송하는 중앙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이 발명은, 계기용변성기와 적산전력량계의 사이에 설치되어 고압이상 전기의 사용량을 측정하거나 적산전력량계를 교체하거나 시험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시험용 단자대에 있어서, 절연연결대에 다수의 접속자를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다수의 전류단자쌍 또는 다수의 전압단자쌍이 동시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전류단자쌍 또는 전압단자쌍을 연결함에 있어서 절연 연결대를 이용함으로써 감전의 위험을 없앨 수 있는 시험용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3쌍의 전류단자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연결대의 하부에 상기한 3쌍의 전류단자를 각각 단락시키거나 오픈시키기 위한 3개의 전류접속자가 상기한 전류단자쌍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전류접속 스위치와, 몸체에 설치되어 있는 3쌍의 전압단자와,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절연연결대의 하부에 상기한 3쌍의 전압단자를 각각 단락시키거나 오픈시키기 위한 3개의 전압접속자가 상기한 전압단자쌍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일체 형성되어 있는 전압접속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저온영역 (30∼200℃)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수 및 재생이 가능하도록 알칼리 금속 화합물을 지르코늄 함유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알칼리 금속계 CO2 분리용 고체 흡수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체 흡수제는 배가스에서 CO2를 흡수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K2CO3, KHCO3, Na2CO3 및 NaHCO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 화합물 및 지지체 또는 첨가제로서, Zr 함유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알칼리 금속계 CO2 분리용 고체 흡수제는 부반응에 의한 비활성화를 억제할 수 있고 저온영역에서 재생 가능하여 경제성이 우수하다.
염해 오손 예측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복수개의 지역에서 측정된 염해 오손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와, 오손 예측을 위한 지역의 지형 인자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염해 오손이 측정된 지역 부근의 강수량 데이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지형 인자 및 상기 강수량을 변수로 상기 염해 오손의 상관관계식을 설정하는 단계와, 강수량에 따른 각 지역의 염해 오손을 예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용량이 크고 이온 흡착용량이 큰 이온흡착용 전극, 이를 구비한 전기흡착식 정화장치 및 이온흡착용 전극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흡착용 전극은 활성탄소, 바인더 및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흡착식 정화장치는 물중의 무기이온 중 음이온을 흡착한 후 탈착하는 양전극, 상기 양전극과 대향하고 상기 물중의 무기이온 중 양이온을 흡착한 후 탈착하는 음전극, 및 상기 양전극과 음전극에 각각 전압을 인가하는 직류전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양전극 및 상기 음전극은 활성탄소, 바인더 및 이온교환수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온흡착용 전극의 제조방법은 활성탄소분말, 바인더 및 이온교환수지를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압연하고 기설정된 두께로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