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탑부재의 휘어짐 측정장치는 철탑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철탑부재의 일측방향으로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송신부와, 상기 레이저 송신부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철탑부재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레이저빔이 통과되고 상기 레이저빔의 위치가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이저 수신부를 포함한다.
관형 구조체 접합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형 구조체 접합 유닛은 제 1 기둥관 및 제 2 기둥관의 이음부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둥 연결부; 및 제 2 기둥관 및 기초부재의 접합부에 형성되는 기초 접합부를 포함하는 관형 구조체 접합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둥 연결부는, 상기 제 1 기둥관의 상기 이음부에 배치되는 제 1 쐐기형 이음부재; 상기 제 1 쐐기형 이음부재와 수평면이 대향되도록 상기 제 2 기둥관에 배치되는 제 2 쐐기형 이음부재; 상기 제 1 쐐기형 이음부재 및 상기 제 2 쐐기형 이음부재를 덮도록 배치되는 제 1 커버; 및 상기 제 1 커버를 관통하여 고정 체결되고, 상기 제 1 기둥관과 상기 제 2 기둥관 사이에 배치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DC 모선측에 설치되어 LC 공진 발생 또는 고조파로 인한 과도전류를 검측하여 검측정보를 생성하는 검측부와, 상기 검측정보를 수신하여 DC BUS의 과도전류가 설정된 상한값과 비교하여 비교값이 상기 설정된 상한값을 초과하면 설정신호를 생성하는 과도전류 비교부와, 상기 과도전류 비교부로부터 수신한 설정신호에 따라 위상각 제어를 통해 무효전력 출력을 제어하도록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스위칭 밸브를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DC 전압원 시스템의 과도전류 감시장치 및 감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폿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저압 배전망에서 저압부하의 크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배전 변압기의 투입 제어 또는 개방 제어를 통한 적정 배전 변압기 공급 용량을 운전하도록 하는 저압배전망에서의 배전 변압기 제어장치 및 방법이 제시된다. 제시된 저압배전망에서의 배전 변압기 제어장치는 복수의 배전 변압기에 설치된 복수의 통신 제어부로부터 현재 부하량을 수신하는 통신부; 현재 부하량 및 복수의 배전 변압기의 공급 용량을 근거로 배전 변압기의 개방 또는 투입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판단부의 판단결과에 따라 배전 변압기에 설치된 제1차단부 및 제2차단부를 제어하여 배전 변압기를 개방 제어 또는 투입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접지일체형 맨홀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지중(地中)에 매설되며, 내측으로 배전선로가 통과하는 맨홀블럭과, 상기 맨홀블럭의 하단에 체결되며, 상기 맨홀블럭의 하부를 밀폐하여 맨홀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맨홀접지블럭을 포함하되, 상기 맨홀접지블럭은, 외측면이 대지와 접촉되어 접지 기능을 수행하며, 도전성 콘트리트로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십자(十字) 형태로 매립되어, 상기 대지와의 접촉이 차단되도록 형성된 접지극과, 상기 접지극의 단부가 상기 맨홀내부공간 측으로 일부 돌출되어 형성된 접지단자를 포함하는 접지일체형 맨홀이 제공된다.
내화뿜칠재 충격하중 시험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충격판; 일단이 상기 충격판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타단에는 충격해머가 장착되며, 자중에 의해 상기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상기 충격판의 상부에 소정정도의 충격을 가하는 해머부; 상기 충격판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해머부가 상기 충격판에 가하는 충격을 시험편에 전달하는 것으로, 상기 충격판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시험편을 지지하는 지지플랜지와, 상기 시험편을 상기 지지플랜지에 밀착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시험편은 내화뿜칠재가 시공된 면이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지지플랜지에 장착되는 시험편 장착부; 및 상기 충격판에 체결되어 상기 해머부가 상기 충격판에 가하는 충격량을 측정하는 가속도센서;를 포함하는 내화뿜칠재 충격하중 시험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온도차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존 발전소의 복수기(10)에 보조복수기(20)가 연결되고, 상기 보조복수기(20)의 내부에 온도차발전기(30)의 작동유체 증발관로(31)가 설치되며, 상기 복수기(10)와 보조복수기(20)를 연결하는 관로에 개폐밸브(23,24)가 설치된다. 따라서, 기존 발전소의 설비를 크게 변경하지 않고도 온도차 발전기를 운용할 수 있음으로써 온도차 발전 설비의 입지 조건 제한이 크게 완화되고, 기존 발전설비와 온도차 발전설비를 각각 독립적으로 운전할 수 있게 되며, 기존 발전소의 복수기 회수 열량 조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온도차 발전 설비의 증설이 용이하다.
본 발명은 발전소 설비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터페이스 캐비닛, 상기 마샬링 캐비닛, 및 상기 제어 캐비닛 각각에 대한 케이블 연결 정보로부터 각 캐비닛 간 동작을 시뮬레이션하여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 검사하고,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정보에 오류가 없으면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시작 신호를 발령하는 제어부, 인터페이스 캐비닛, 마샬링 캐비닛, 및 제어 캐비닛과 각각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제어부로부터 인터페이스 캐비닛으로 시작 신호가 발령된 이후에, 마샬링 캐비닛 및 제어 캐비닛으로부터 입력되는 핀 정보에 근거하여 각 캐비닛 간 케이블 연결 상태를 감시하는 연결 상태 감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화로 열 성능 해석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로 열 성능 해석 장치는 화로의 3차원 연소 해석을 수행하여 전열량 분포 정보 및 제1 연소상태량 정보를 산출하는 연소해석부-상기 제1 연소상태량 정보는 배기가스의 제1 가스온도 정보를 포함함-, 상기 전열량 분포 정보를 이용하여 대류전열부의 전열뱅크당 열흡수량 정보 및 제2 연소상태량 정보를 산출하는 열 성능 해석부-상기 제2 연소상태량 정보는 배기가스의 제2 가스온도 정보 및 산소농도 정보를 포함함-, 상기 제1 가스온도 정보 및 상기 제2 가스온도 정보의 차이 값과 미리 설정된 값을 비교하는 데이터 비교부 및 상기 비교결과, 상기 차이 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인 경우, 열 성능 해석 데이터를 출력하는 열 성능 해석 데이터 출력부를 포함하되, 상기 연소해석부는 상기 열 성능 해석부에서 산출되는 대류전열부의 전열뱅크당 열흡수량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연소상태량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고유동 저열저항성 전력구 채움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유동 저열저항성 전력구 채움재는 석회석분말 57 내지 68 중량%, 시멘트 10 내지 20 중량%, 고유동화제 0.2 내지 0.35 중량% 및 물 20 내지 26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공가열을 이용하여 PCBs(Polychlorinated biphenyls, 폴리염화바이페닐)에 오염된 처리대상물을 처리하는 난분해성 유기물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응축기 또는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증발절연유 및 열화생성물을 진공가열로 내부에서 80% 이상 응축할 수 있는, 자체 응축형 진공가열로를 이용한 난분해성 유기물 처리장치 및 그 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첫째, 기존 방법에서는 증발절연유 및 열화생성물을 진공가열로 외부로 전량 배출하고 외부 응축공정에서 영하 100℃에 이르는 극저온의 냉매를 사용하여 응축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응축기 또는 열교환기를 이용하여 진공가열로 내부에서 80% 이상 응축함으로써 외부 응축공정을 단순화하였고, 극저온 냉매가 아닌 영하 10℃ 이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일반 순환매체를 사용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다. 둘째, 진공가열로 외부로 배출되는 증발절연유 및 열화생성물 양이 감소하여 진공펌프의 부하를 경감함으로써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고, 오염 가능성을 대폭 축소하여 진공펌프에 소요되는 소모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력구 내부표면 열화 검사장치 및 전력구 내부표면 열화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지하 전력구의 내부표면을 정밀하게 검사하는 전력구 내부표면 열화 검사장치 및 전력구 내부표면 열화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전을 수행하는 이송카트와, 상기 이송카트의 일측에 이동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전력구 내부표면에 광을 투영하고, 상기 전력구의 상면을 스캔하여 3D스캔데이터를 생성하는 상부표면검사부와, 상기 상부표면검사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력구의 측면을 촬영하여 2D사진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측부표면검사부들과, 상기 상부표면검사부 및 상기 복수개의 측부표면검사부들로부터 생성된 상기 3D스캔데이터 및 상기 2D사진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전력구 내부표면의 정보데이터를 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구 내부표면 열화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전력구 상면을 스캔하여 3D스캔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전력구 측면을 촬영하여 2D사진데이터를 생성하는 제 1 단계; 상기 3D스캔데이터 및 상기 2D사진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전력구 내부표면의 정보데이터를 판별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정보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전력구 내부표면의 손상정도를 외부로 표시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전력구 내부표면 열화 검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스마트그리드 인프라 구축을 위한 국제표준 디지털 변전소 자동화 계획에 따라 모든 전송매체를 광케이블로 적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도록 됨에 따라 154kV 및 345kV T/L의 지락, 단선 시 고장파급을 방지하기 위한 IEEE C37.94 광 기반 계통보호 전송 시스템(PITR)이 제시된다. 제시된 IEEE C37.94 광 기반 계통보호 전송 시스템은 LAN 선로 및 RS-232C 선로를 통해 EMS 기능을 제공하고, Master 모드 및 Slave 모드를 포함하는 운영상태를 감시하고, 계통보호 전송 시스템 자체 운영상태 및 대국 계통보호 전송 시스템의 운영상태를 감시하는 주 운영 유니트(MOU); 시스템 기준 클럭을 발생하고 외부 및 수신 종속 클럭을 처리하는 클럭 유니트(CKU); E1 데이터 송수신하고, 보호배전반 신호를 채널에 실어서 초고속통신망을 통하여 대국에 전송하는 인터페이스 유니트(EIU); 대국간 시험을 할 때 사용할 수 있도록 직통전화 기능을 수행하는 가입자 트렁크 유니트(STU); 배전반과 송전선로 보호 정보를 인터페이스하고 CKU와 EIU를 통해 대국으로 전송하는 C37.94 인터페이스 유니트(CIU); 및 송전선로의 Trip 발생 여부를 상시 감시하고, 대국 측 통신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C37.94 모니터링 유니트(CMU)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