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내부 공간상에 분포하는 가스량을 측정할 수 있는 고감도 초음파 센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고감도 초음파 센서는 진동자의 일면에 복수의 백킹 레이어를 제1방향 및 제2방향으로 중첩하여 배열하고, 진동자의 타면에는 복수의 매칭 레이어를 중첩하여 배열하며, 복수의 매칭 레이어중 최외곽의 매칭 레이어는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감도 초음파 센서는 1개의 센서로 넓은 영역을 측정하여 가스 누설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으며, 어느 정도의 가스가 누설되었는지를 측정할 수 있고, 단순한 제어 방법으로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광고물 제작 중계 방법 및 광고물 제작 중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광고주와 광고물 제작자 간의 광고물 제작 매칭을 중계하고, 매칭된 광고에 할당된 고유의 인터넷 주소를 광고물 제작자에게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물 제작 중계 방법은, 광고주로부터 광고주 단말기를 통해 상품에 대한 광고물 제작 요청을 입력 받는 단계, 입력 받은 광고물 제작 요청을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광고물 제작 요청을 광고물 제작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광고물 제작자가 광고물 제작자의 단말기를 통해 광고물 제작 요청에 대응하여 광고물 제작을 신청하는 단계, 서버가 광고물 제작 신청을 광고주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광고주가 광고물 제작 신청을 승인하는 단계, 광고주가 승인된 광고물 제작 신청에 대응하는 상품에 대한 소비자 구매 페이지를 설정하는 단계, 서버가 설정된 소비자 구매 페이지의 URL 주소를 승인된 광고물 제작 신청과 매칭시키는 단계 및 서버가 매칭된 URL 주소를 승인된 광고물 제작 신청의 광고물 제작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는 냉온 두 가지 공기 기류로 분리해 내는 볼텍스 튜브를 활어차의 수온 조절용 온도조절기로 적용함으로써 활어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켜 신선도를 확보할 수 있고, 수온 조절을 위한 볼텍스 튜브의 구동을 위한 전력 공급장치를 별도 구비하지 않고 활어차의 산소공급기에 연동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가 발생되지 않으며, 볼텍스 튜브와 산소공급기의 연동을 통해 장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협소한 활어차의 적용이 쉬운 공간 활용도를 가지며, 기존 활어차의 산소공급기에 연동이 쉬워 보급성 및 경제성을 갖는 장점을 갖는 볼텍스 튜브를 이용한 활어차의 산소 공급 및 온도 조절 겸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볼텍스 튜브를 이용한 활어차의 산소 공급 및 온도 조절 겸용 장치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함이 후방에 구비된 차량과, 활어 등의 생물과 상기 생물을 위한 유체를 함께 수용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이동을 통해 상기 생물이 보급되는 목적지로 운반되는 동안 보관하는 수조와,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어 상기 생물의 생존을 위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 및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가 상기 생물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수온이 조절되게 하는 온도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는 냉온 두 가지 공기 기류로 분리해 내는 볼텍스 튜브를 양식장의 수온 조절용 온도조절기로 적용함으로써 활어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켜 신선도를 확보할 수 있고, 수온 조절을 위한 볼텍스 튜브의 구동을 위한 전력 공급장치를 별도 구비하지 않고 산소공급기에 연동함으로써 불필요한 전력의 소비가 발생되지 않으며, 볼텍스 튜브와 산소공급기의 연동을 통해 장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협소한 양식장에 적용이 쉬운 공간 활용도를 가지며, 기존 양식장의 산소공급기에 연동이 쉬워 보급성 및 경제성을 갖는 장점을 갖는 볼텍스 튜브를 이용한 양식장의 산소 공급 및 온도 조절 겸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볼텍스 튜브를 이용한 양식장의 산소 공급 및 온도 조절 겸용 장치는, 활어 등의 생물의 양식을 위한 시설을 갖추고 육상에 설치된 양식장과, 상기 활어 등의 생물과 상기 생물을 위한 유체를 함께 수용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양식장의 내측에 설치되는 수조와, 상기 양식장에 설치되어 상기 생물의 생존을 위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부 및 상기 양식장에 설치되며 상기 유체가 상기 생물에 적합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수온이 조절되게 하는 온도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박 해치용 부품에 대응하는 공동이 형성된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준비하는 금형 준비 단계;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서로 겹친후, 상기 공동에 사출노즐을 이용하여 사출 수지를 사출하는 사출단계; 상기 사출 수지를 냉각시켜서 사출 제품을 형성하는 냉각단계; 및 상기 상부금형과 하부금형을 분리하여 사출 제품을 분리시키는 제품 분리 단계;를 포함하는 선박 해치용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필요 무효전력 평가방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STATCOM의 통합적 제어 알고리즘에 관한 것으로,STATCOM에서 무효전력의 출력을 변동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무효전력의 측정전압이 최대전압과 최소 전압의 사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2단계와 상기 측정전압이 최대전압과 최대전압 사이에 있지 않으면 STATCOM 출력전류가 block 시간 동안 유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3단계와 상기 STATCOM 출력전류가 block 시간 동안 유지되면, MSCs의 최대치와 STATCOM의 최대치의 합이 필요 무효전력(Q)보다 같거나 높은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4단계와 상기 MCSs의 최대치와 STATCOM의 최대치의 합이 필요 무효전력(Q)보다 크거나 같으면 필요 무효전력에서 모든 필요 MCS의 합을 빼는 제5단계와 상기 제5단계에서 값이 최소치가 되는 MSCs가 투입되는 제6단계와 무효전력(Q)의 이득을 확보, 제어하는 제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선박 도어용 부품의 내장재를 준비하는 내장재 준비 단계(S10); 상기 내장재보다 넓은 공동을 가진 금형을 준비하는 금형 준비 단계(S20); 상기 공동에 상기 내장재를 삽입하는 내장재 삽입 단계(S30); 상기 공동에 실리콘 수지로 이루어진 외장재를 삽입하여 사출성형하는 내/외장재 사출 성형 단계(S40); 및 상기 공동에 삽입된 내장재와 외장재가 결합된 완제품을 이젝팅하는 완제품 이젝팅 단계(S50);를 포함하는 선박 도어용 부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탬프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는, 화장액이 수용되며, 상단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단에 안착되며,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 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부가 상기 용기의 상단에 삽입결합되도록 구비되면서, 그 중심에 제 1 관통공이 형성되고, 실리콘을 포함한 변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 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쿠션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 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부가 상기 쿠션부의 제 1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상기 제 2 돌출부를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돌출면이 평행을 유지하면서 상호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니들 지지부와, 상기 니들 지지부의 상부면에 배치되면서, 소정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지지면과, 상기 지지면 상단과 일체로 형성되되, 상방을 향해 점차 가늘어지면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면서 말단이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자극유도면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니들 패널부 및 하방에서 상방을 향해 상기 니들 패널부가 삽입 결속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니들 패널부의 자극유도면을 따라, 상기 화장액이 토출될 수 있도록 상부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토출구를 포함하는 니들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롤러형 화장액 흡수 유도 기구는 화장액이 수용되며 상단이 개구된 형상을 가지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단에 안착되며,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 1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돌출부가 상기 용기의 상단에 삽입결합되도록 구비되면서, 그 중심에 제 1 관통공이 형성되고 실리콘을 포함한 변형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쿠션부와, 상기 쿠션부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며, 하방을 향해 돌출되는 제 2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돌출부가 상기 쿠션부의 제 1 관통공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며, 양측 상방을 향해 연장 형성되며 상호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한 쌍의 결합부가 마련되는 가이드 부와, 링 형상을 보유하도록 구비되고,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의 자극 유도면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니들 패널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니들 패널부가 결합되면서, 양 측단이 상기 가이드부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드론 조종사를 배출하기 위한 드론 조종 시험에서 수험자의 조종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드론 시험의 평가 기준이 명확해지고, 보다 정확한 채점을 수행할 수 있으며, 수험자로 하여금 본인의 감점 요인을 확인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소화장치는, 내부에 소화액이 채워지며, 내부에 채워진 소화액을 외부로 분출시키는 소화액 분출구를 구비하는 소화액탱크; 상기 소화액분출구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기 소화액탱크에 장착되어, 슬라이딩 방향에 따라 상기 소화액분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마개; 주변 온도에 따라 벤딩되도록 상기 소화액탱크에 고정결합되며, 벤딩각도에 따라 상기 소화액분출구를 개폐되도록 상기 개폐마개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시키는 바이메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소화장치를 이용하면, 별도의 전원공급 없이도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소화액을 분사시킬 수 있고, 콘센트 주변의 지점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발화점으로 소화액을 즉각 분사시킴으로써 화재 초기 진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어선 및 운반 유통과정에서 어획물의 선도유지 및 이송에 사용되는 미세 입자 얼음을 제빙할 수 있는 샤베트형 해수 제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해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해수의 염분의 농도를 조절하는 염분 조절부와, 상기 염분 조절부에 연통되며, 상기 염분 조절부에서 염분의 농도가 조절된 해수가 수용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구동시키는 구동원과, 상기 드럼을 급냉시키는 냉매 회로 모듈을 포함하는 제빙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에 설치되되, 상기 드럼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절삭부 및 상기 절삭부에 인접한 위치이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발명은 네트워크 스위치 인쇄물 및 아크릴 접합을 위한 이송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모터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컨베이어에서 3축 CNC 실리콘 도포기를 이용하여 아크릴위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1단계; 인쇄물을 투입하여 아크릴에 부착하는 2단계; 열건조터널을 거쳐 열건조하는 3단계; 불량품을 골라내어 결합제품 수거장치에 수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발명은 인쇄물의 접합 부위 형태에 따라 접착제를 위치자동제어(CNC)에 의해 도포 후 접착 진행이 가능하며, 유압시스템에 의해 인쇄물/아크릴 자동 이송 후 다음 공정 작업 진행이 가능하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접착 비용이 절감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공정 기술 및 자동화 기술의 확보에 의한 기업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며, 생산 단가 절감 및 품질 향상을 통한 기업 경쟁력이 개선되며, 열악한 생산 현장의 환경 개선이 가능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발명은 네트워크 스위치 인쇄물 및 아크릴 접합을 위한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모터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컨베이어와; 인쇄물/아크릴을 접착하기 위해 접착제를 도포하는 3축 CNC 실리콘 도포기와; 인쇄물/아크릴을 컨베이어에 하는 투입장치와; 부착된 인쇄물/아크릴을 열건조하는 열건조터널과; 불량품을 골라내어 수거하는 결합제품 수거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발명은 인쇄물의 접합 부위 형태에 따라 접착제를 위치자동제어(CNC)에 의해 도포 후 접착 진행이 가능하며, 유압시스템에 의해 인쇄물/아크릴 자동 이송 후 다음 공정 작업 진행이 가능하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고 접착 비용이 절감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공정 기술 및 자동화 기술의 확보에 의한 기업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며, 생산 단가 절감 및 품질 향상을 통한 기업 경쟁력이 개선되며, 열악한 생산 현장의 환경 개선이 가능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가공물 이송컨베이어(100)에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P)을 공급하고,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회전 이동에 따라 일방향으로 가공이 완료된 가공물(P)을 이동시키는 가공물 이송단계(S10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의 상측에 뒤집기부재(150)가 설치되어, 일방향으로 이동되는 가공물(P)을 파지하여 가공물(P)을 180°도로 뒤집어 주는 가공물 뒤집기단계(13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110)측으로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이동되어 상기 뒤집기부재(150)에 의해 180°도로 뒤집어진 가공물(P)을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파지하고, 상기 가공물 투입부재(200)가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탈유드럼(304)에 가공물(P)을 투입하는 가공물 투입단계(140)와; 상기 탈유드럼(304)이 고속으로 회전되어 가공물(P)에 묻어있는 가공유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가공물 탈유단계(S150);를 포함하는 가공물 탈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되는 가공물의 투입방향을 자동으로 전환해 줌으로써 탈유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물에 대한 가공유 및 이물질 제거 성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탈유통체의 내부에 가공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개방부를 폐쇄한 상태로 탈유 공정이 이루어짐에 따라 가공유 및 이물질 배출에 따른 작업 현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