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래에는 해빙의 굽힘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해역 해빙의 온도, 염도, 밀도 등의 관계를 이용해 국외에서 개발한 경험식을 바탕으로 대략적인 굽힘강도 값을 추정하였으나, 이는 염수 체적비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측정된 해빙시편의 온도 범위에 따라 굽힘강도의 계산 시 제한을 받게 되며, 해빙의 염도 측정 시 해빙시편을 시추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염수의 유출로 인해 정확한 염도 측정이 어렵고 해빙의 밀도를 측정하는 과정 또한 상당히 복잡한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실해역에서 실규모 해빙에 대한 굽힘강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극지해역에서 해빙에 대한 외팔보 시험을 통해 해빙의 굽힘강도를 측정하는 시스템으로서 지지대, 고정장치, 로드셀, 하중실린더, 스크류 잭, 모터, 센서, 데이터 취득 시스템 등으로 구성되는 실해역 해빙 굽힘강도 측정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제 극지해역에서 보다 정도 높은 해빙의 굽힘강도 측정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쇄빙선박의 쇄빙성능 평가 및 선박의 구조설계 시 기반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호 감소 기술 기반의 위장 그물에 관한 것으로, 주요 군사시설, 장비들을 적 감시체계로부터 보호하는 위장 그물에 있어서; 상기 위장 그물의 외관을 형성하는 테두리라인과; 상기 테두리라인의 가로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테두리라인의 세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 고정된 다수의 가로라인과; 상기 테두리라인의 세로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테두리라인의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연결 고정되며, 상기 가로라인과 직조되거나 혹은 매듭져 교차점을 형성하는 세로라인과; 상기 교차점에 연결고정된 다수의 지주와; 상기 테두리라인, 가로라인, 세로라인, 지주에 도포된 레이더흡수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호 감소 기술 기반의 위장 그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장 그물은 구형 함정, 전차 등의 군사 시설, 장비들의 스텔스 측면에서 신호 저감 능력을 향상시켜 적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하고, 별도의 구조 변경 없이 적의 위협 수준 및 작전 특성에 따라 한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납과 보관이 편리하고, 단위 부대 또는 함대에서 여러 척의 함정, 전차, 시설물에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특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슬라이딩기구와 와유기진동에 의한 양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류, 해류, 하천 유동 등의 유체 유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 등의 유용한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술로써, 오염원을 추가적으로 발생시키지 않고, 설치 및 운용시 환경에 영향이 거의 없는 친환경 에너지이며, 유체 유동이 실린더에 작용하는 와유기력에 의해 양력면 전,후부에 연결된 실린더가 회전 진동하여 양력면의 유체 받음각을 발생시킴으로써, 양력면에 상,하 기진력을 유도하며, 상,하 스프링으로 지지된 양력면이 공진함으로써 에너지추출효율을 최대화하는 특징이 있다.
별도의 시험신호 발생기를 설치할 필요없이, 음파 송신 센서나 음파를 수신하는 음파 수신센서 또는 음파 수신부의 파손여부를 간편하게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중 초음파 카메라 오작동 진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키는 음파 송신 센서, 상기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는 음파 수신 센서를 포함하는 음향 센서부; 상기 음파 수신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초음파 신호를 증폭하는 증폭기를 포함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증폭된 상기 초음파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부; 상기 A/D변환부에서 변환된 상기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DSP; digital signal processor)가 내장된 디지털 신호처리부; 상기 디지털 신호처리부에서 처리된 상기 디지털 신호의 레벨을 상기 음향 센서부 및 상기 수신부가 정상상태일 때의 기설정된 디지털 신호의 레벨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에서 비교된 상기 디지털 신호의 레벨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성전파항법 보정시스템에 적용된 종래기술이 빈번히 발생하는 위성시계 고장에 대해 고장위성을 식별하지 못함으로써 고장상황을 보정서비스를 통해 제대로 공지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정상 위성들도 고장으로 판단하여서 보정서비스를 불능상태로 만드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신한 위성들을 소그룹으로 분류하고, 각 소그룹의 수신기 시계오차의 변화를 패리티 공간에서 감시하여서 해당 고장의 발생 유무를 검출하고, 고장이 발생한 위성을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위성시계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 위성전파항법 보정시스템의 가용성과 연속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개선시키며, 무결성 감시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수동형 요잉 감쇠장치가 구비된 부유식 풍력 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 설치되는 부유식 풍력 발전기를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부유식 풍력 발전기의 로터가 풍향에 대응하여 회전하게 될 경우, 그 반대방향으로 발생하는 요잉(Yawing)을 감쇠시킬 수 있다. 특히, 수동형 요잉 감쇠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수동형 요잉 감쇠장치의 설치,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무공해 발전 분야, 특히 해상에서의 풍력발전 분야에서 구조물에 대한 안정성,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수동형 상하동요 및 회전동요 감쇠장치가 구비된 부유식 풍력 발전기 및 부유식 풍력 발전기용 수동형 상하동요 및 회전동요 감쇠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상에 설치되는 부유식 풍력 발전기를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감쇠용공기실의 내부 공기압을 이용하여, 부유된 풍력 발전기의 상하동요 및 회전동요에 대항하는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발전설비의 안정성을 충분히 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새로 설치되는 발전설비뿐만 아니라, 기존에 설치된 발전설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부유식 풍력 발전기의 부유구조물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므로, 부유식 풍력 발전기에 대한 설치제약을 극히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무공해 발전 분야, 특히 해상에서의 풍력발전 분야에서 구조물에 대한 안정성,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소형 선박 부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격자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폭방향 양쪽 상면에 구비되고, 길이방향으로 다수 형성되며, 다수의 프레임이 격자형 박스형태로 짜여 상기 메인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된 탱크수납실과; 상기 탱크수납실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단부가 각각 고정된 선박거치용 거치부재와; 상기 탱크수납실을 구성하는 프레임중 일부와 고정되어 상기 거치부재와 동일방향으로 고정되어 찌그러짐을 방지하는 보강프레임과; 상기 각 탱크수납실에 갇힌 상태로 고정되고, 공기공급원을 통해 공기를 공급받거나 빼낼 수 있도록 연결된 공기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선박 부양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리나에 정박하고 있는 고급 보트 또는 요트를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출수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간단한 설비와 쉬운 조작을 통해서도 정박중인 선박을 용이하게 리프팅시킬 수 있으며, 공기량 제어를 통해 트림 및 롤링 각도를 쉽고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센서의 빔패턴을 고려하여 수신 음향트랜스듀서의 배열 구조를 최적화 함으로써 사용하는 주파수가 높은 경우에도 앨리어싱 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이미징 소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트랜스듀서 간의 간격에 대한 제한이 완화되어 이미징 소나의 제작이 보다 용이해지며, 앨리어싱에 의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서 수중 물체가 나타나는 현상과 같이 잘못된 영상이 생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개수의 트랜스듀서를 이용하더라도 종래보다 넓은 범위의 음파 수신이 가능하므로 이미징 소나의 해상도를 현격히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상 통신을 위한 선박국용 시간분할 다중접속방식 매체접속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애드-혹 자율 구성 TDMA(Ad Hoc Self-Organizing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ASO-TDMA)에 의한 통신방식의 단점을 개선함과 더불어 해상 통신의 환경 변화에 보다 실질적인 대응을 수행할 수 있는 강화된 애드-혹 자율 구성 TDMA(Enhanced Ad Hoc Self-Organizing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EASO-TDMA) 통신방식으로 설계된 선박국용 시간분할 다중접속방식 매체접속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해상에 부유되는 서로 간격을 갖는 한 쌍의 플로트베이스와; 상기 플로트베이스의 상면에 고정되고, 플로트베이스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고정된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을 길이방향으로 연결 고정하며, 해상에서 육상을 향해 외팔보 형태로 배열된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상부에 고정되어 상기 수직프레임들을 서로 연결고정하는 연결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각 외주면에 일체로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구동모터 및 구동윈치와; 상기 구동윈치에 권취된 와이어로프에 연결되어 어선으로부터 활어를 수납하는 컨테이너를 걸어 고정하는 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육상 상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어가 활어차로 이송되는 시간을 최대한 줄일 수 있어 활어가 받을 이송에 의한 스트레스를 줄여 활어의 상품성을 높이고, 소형어종에서 대형어종까지도 단시간에 이송이 가능하며, 해상에 떠있는 부유식이므로 육상의 공간을 차지 않지 않아 공간적 제약을 적게 받으므로 상차의 효율성을 배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연약지반용 무한궤도 차량은 차량의 접지압을 낮추고 견인반력면을 넓히기 위해 무한궤도의 접지면이 넓은 특징이 있다. 접지면을 넓히기 위해서는 무한궤도의 폭을 확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무한궤도 폭이 확대되면 부양성능과 견인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발생하는 반면, 탑재장비를 구조적으로 안정하게 설치하기 힘들고 무한궤도 폭의 확대에 따른 중량 증가로 인하여 구조강도 설계가 어려워지는 단점도 발생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무한궤도를 2열로 분리한 4개의 무한궤도를 가진 무한궤도 차량을 제안한다. 분리된 무한궤도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부재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고 이것을 장비의 탑재프레임과 연결하여 섀시를 구조적으로 보강한다. 이를 통하여 무한궤도 차량의 무한궤도 폭을 넓혀 접지면의 확대를 가져옴과 동시에, 연약지반용 무한궤도 차량 섀시의 강성 또한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내압실험 시 내압용기 내부의 변화량을 커넥터와 케이블을 거치지 않고 ‘음파’를 매개로 하여 고압챔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는 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내압용기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센서; 상기 내압용기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와 연결되는 신호 변환 장치; 상기 내압용기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변환 장치와 연결되는 스피커; 상기 고압챔버의 내부 및 상기 내압용기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는 수중 청음기; 상기 고압챔버의 내부 및 상기 내압용기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고 수중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수중 청음기와 연결되는 수중 커넥터 및; 상기 고압챔버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중 커넥터와 연결되는 음파 측정 및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다수 개 센서의 서로 다른 주파수 할당 방법을 이용한 내압용기와 고압챔버 간의 신호전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압실험 시 내압용기 내부의 변화량을 커넥터와 같은 직접적인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음파를 통해 내부에서 외부로 신호를 쉽게 전달할 수 있으며, 내압용기 벽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도 음파의 크기 및 수중 청음기와 내압용기의 간격에 따라 전달 효과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내압용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내압실험 시 내압용기 내부의 변화량을 커넥터와 케이블을 거치지 않고 '진동'을 매개로 하여 고압챔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는 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내압용기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센서; 상기 내압용기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와 연결되는 신호 변환 장치; 상기 내압용기의 내벽에 밀착하여 부착되고 상기 신호 변환 장치와 연결되는 진동 모터; 상기 내압용기의 외벽에 밀착하여 부착되는 스트레인 게이지; 상기 고압챔버의 내부 및 상기 내압용기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고 수중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와 연결되는 수중 커넥터 및; 상기 고압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내압실험 시 진동을 이용한 내압용기와 고압챔버 간의 신호전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압용기의 벽을 커넥터와 같은 직접적인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진동을 통해 내부에서 외부로 신호를 쉽게 전달할 수 있으며, 내압용기 벽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도 진동 모터의 진동의 크기에 따라 전달 효과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내압용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내압실험 시 내압용기 내부의 변화량을 커넥터와 케이블을 거치지 않고 ‘음파’를 매개로 하여 고압챔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는 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내압용기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센서; 상기 내압용기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센서와 연결되는 신호 변환 장치; 상기 내압용기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신호 변환 장치와 연결되는 스피커; 상기 고압챔버의 내부 및 상기 내압용기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는 수중 청음기; 상기 고압챔버의 내부 및 상기 내압용기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고 수중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수중 청음기와 연결되는 수중 커넥터 및; 상기 고압챔버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수중 커넥터와 연결되는 음파 측정 및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내압실험 시 음파를 이용한 내압용기와 고압챔버 간의 신호전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압실험 시 내압용기 내부의 변화량을 커넥터와 같은 직접적인 방법을 이용하지 않고 음파를 통해 내부에서 외부로 신호를 쉽게 전달할 수 있으며, 내압용기 벽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도 음파의 크기 및 수중 청음기와 내압용기의 간격에 따라 전달 효과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와 크기의 내압용기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