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고온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 댐퍼를 적어도 2개 구비하며, 상기 2개의 배출 댐퍼가 번갈아 가면서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자기축열식 버너를 개시(introduce)한다. 상기 자기축열식 버너는, 연소용 공기를 이용하여 연료를 연소시키고, 연소시 생성된 고온의 배기가스를 상기 연소용 공기의 예열에 사용하며, 연소실, 축열체 몸체부, 연료공급부, 유입 댐퍼 및 2개의 배출 댐퍼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실은 상기 연료가 연소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배기가스가 생성되는 곳이다. 상기 축열체 몸체부는 상기 연소실의 일단에 연결되며, 상기 연소용 공기 및 상기 배기가스가 유출입되는 축열체 쳄버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공급부는 상기 축열체 몸체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소실과 연결되며, 상기 연소실에 연료 및 파일롯 공기를 공급한다. 상기 유입 댐퍼는 상기 축열체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연소용 공기를 상기 축열체 챔버를 경유하여 상기 연소실에 공급한다. 상기 2개의 배출 댐퍼는 상기 축열체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배기가스를 상기 축열체 챔버를 경유하여 외부로 유출한다.
본 발명의 연소식 기화기의 에어 블로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연소식 기화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임펠러(116)의 직경에 따른 높이를 맞추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통형태의 베이스 프레임(122)(124)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상기 임펠러를 구동하는 모터(110) 및 베어링 하우징(120)이 설치된 연소식 기화기의 에어 블로아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22)(124)의 내부에는 그 상판부를 받치도록 다수의 나사식 잭(130)(130')이 설치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벽부에는 상기 나사식 잭을 설치하고 수리하며 조정하도록 다수의 관통구멍(122a)(124a)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베이스 프레임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줄여 베어링의 파손 등을 방지하여 가스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해수식기화기(100)는 해수공급관(150)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를 저장하기 위한 해수살수부(140)와, 해수살수부(140) 아래에 설치되어 해수살수부(140)로부터 공급되는 해수의 열교환을 통해 액화천연가스를 천연가스로 기화시키기 위한 열교환관(111)과,해수를 열교환관(111)으로 살수하기 위하여 해수공급관(150)에서 공급되는 해수의 섭동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유량조절판(144)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화장치(200)는 열원유체와의 열교환을 통해 액상의 중간매체(LM)를 기화하기 위한 중간매체기화기(220)와, 기화된 기상의 중간매체(GM)와의 열교환을 통해 액화천연가스를 저온의 천연가스로 기화하기 위한 액화천연가스기화기(240)와, 열원유체와의 열교환을 통해 저온의 천연가스를 가열하기 위한 천연가스가온기(260)를 포함하며, 열원유체는 중간매체기화기(220)와 천연가스가온기(260)에 각각 독립적으로 공급된다. 또한, 열원유체와 저온의 천연가스와의 열교환은 대향류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열원유체는 천연가스가온기(260) 및 중간매체기화기(220)를 거치면서 각각 약 2.5℃ 정도의 온도강하만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포스트 텐션 작업용 곤돌라에 관한 것으로, 포스트 텐션을 위한 강선(15)이 설치되는 저장탱크의 외벽(10)을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작업대(21)와, 상기 작업대(21)를 상기 저장탱크의 외벽(10)을 따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51)과, 상기 작업대(21)가 상기 저장탱크의 외벽(10)을 따라 승하강시 상기 작업대(21)와 강선(15)과의 간섭을 방지하는 간섭방지수단(27)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저장탱크의 외벽에 포스트 텐션 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성이 확보되고 작업 효율성이 높으며 비용절감과 더불어 공사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장작업 시 비산되는 도료로부터 작업자의 안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면에 관한 것으로, 도장작업 중에 도료가 보안면에 묻어 시야를 가리는 경우에 보안면에 묻은 도료를 간단하게 제거함으로써, 도장작업 동안에 작업자의 시야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장작업용 보안면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도장작업용 보안면은 작업자의 머리 상부에 고정되는 헤드 프레임부와, 상기 헤드 프레임부에 고정되고 상기 헤드 프레임부의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프레임부와, 상기 고정 프레임부에 고정되며 상기 작업자의 안면에 대면하는 투명한 안면 보호부와, 상기 안면 보호부에 의해서 배면이 지지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부에 마련되는 삽입 홈에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투명한 스크린 시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장 작업용 보안면은 작업자의 머리 상부에 고정되는 헤드 프레임부와, 상기 헤드 프레임부에 고정되고 상기 헤드 프레임부의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 프레임부와, 상기 고정 프레임부가 가장자리에 고정되며 상기 작업자의 안면에 대면하는 투명한 안면 보호부와, 상기 안면 보호부에 의해서 배면이 지지되는 투명한 스크린 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부는 상기 안면 보호부의 정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평형 전동기의 회전자용 견인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전동기의 회전자용 견인지그는, 횡프레임;과, 상기 횡프레임의 일측에 연결되는 종프레임;과, 상기 종프레임에 구비되며, 전동기 회전자의 회전축이 결합되는 회전자 결합부;와, 상기 종프레임에 연결되며, 모터박스 외부의 측부에 탈착되는 결합아암;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자를 수평한 상태로 모터박스로부터 분리하여 회전자의 정비시 고정자의 손상없이 정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가스히터 튜브번들 건전성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 육안검사단계(S1), 기밀 및 내압시험단계(S2), 1차침수시험단계(S3), 가압PT검사단계(S4), 용접보수단계(S5), 2차침수시험단계(S6)로 구성된다. 크랙을 성장시키는 상기 기밀 및 내압시험단계(S2)를 선 실시하고, 또한 1,2차 침수시험단계(S3,S6)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PT시험단계(S4)에서는 침투액이 헤더에 충진되어 가압상태에서 표면 결함부위로 침투되므로, 전 검사과정에 있어서 결함존재여부를 확실히 알 수 있게 되고, 존재하는 미세 크랙을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검출해 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용접보수를 통해 결함부위를 완벽하게 보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튜브번들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천연가스 배관용 볼밸브의 누설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천연가스 배관에 설치되는 볼밸브의 드레인 밸브에 일단부 측이 연결되는 메인 시험관부재, 상기 메인 시험관부재에 장착되어 메인 시험관부재의 관로를 개폐하는 차단밸브, 상기 메인 시험관부재의 일단부 측 방향으로 상기 차단밸브와 이격되게 상기 메인 시험관부재에 연결되는 분기 시험관부재, 상기 분기 시험관부재에 장착되는 차압계; 및 상기 차압계와 상기 차단밸브를 연결하는 누설 시험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차압계는, 상기 분기 시험관부재와 상기 누설 시험관부재 내의 가스 압력 차이를 측정 표시하여 천연가스 배관용 볼밸브의 누설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어 누설 시험 시 볼밸브 내 천연 가스를 일부만 배출하여 천연가스를 대기 중에 방산시키면서 발생되는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며, 누설 시험 시 소요되는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작업 인원을 줄여 시험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액화가스의 공급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배관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액화가스 공급용 배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저장탱크의 내부로 액화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액화가스 공급용 배관으로서, 상기 저장탱크의 몸체를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되는 상부 파이프와; 상기 상부 파이프의 아래쪽에서 상기 저장탱크의 바닥까지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파이프와; 액화가스 공급시 상기 하부 파이프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상부 파이프 및 상기 하부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 파이프와; 상기 연결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파이프에서 상기 하부 파이프로 공급되는 액화가스의 유동방향을 안내하는 유동 안내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액화가스 공급용 배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방산탑으로부터 발생되는 저주파 소음이 현저하게 감쇄될 수 있는수단이 구비되는 방산탑 소음기 및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공급관리소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수직으로 연장되는 벤트배관 및 벤트배관을 이격되게 감싸는 보호관으로 이루어지는 방산탑의 상단에 결합되어 벤트배관과 연통되는 통체로서 외주면에 가스 방출공이 형성되는 디퓨저와, 상기 디퓨저 외주면을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둘러싸면서 상부가 개방되는 원통체인 인렛셀과, 상기 인렛셀 외주면을 둘러싸는 원통체로서, 인렛셀 외주면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부가 개방되는 외함 및, 중공의 원판으로, 외함이 상기 원판의 중공에 삽입되면서 외함의 외주면 상에 수평으로 부착되는 보강 도넛판이 복수개가 상기 소음기 외주면 상에 복층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수평보강부로 이루어짐으로써, 방산탑 소음기 자체에서 발생되는 저주파 소음이 단순한 구성의 추가로 인하여 현저하게 감쇄될 수 있는 방산탑 소음기 및 방산탑 소음기 제작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가스 공급 관리소 내 바닥에 설치되어 가스 배관의 방향을 표시하는 가스 배관라인 표시못장치이며,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부로 돌출되어 가스 공급 관리소 내 지반 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못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부의 상면에 배관 라인의 방향을 표시하는 라인방향 표시부, 고압 가스관 표시부, 배관 라인의 공급처 또는 수요처를 표시하는 지명표시부가 구비되어 가스 공급 관리소 내 매설된 가스 배관의 수요처 또는 공급처를 작업자가 작업 시 육안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어 배관라인의 인식 오류로 인해 계통사고 및 배관 손상을 방지한다.
본 발명은 레이스웨이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명유닛, 및 조명유닛에 고정되어 한 곳 이상의 레이스웨이의 거치구에 삽입됨에 따라 조명유닛을 레이스웨이에 근접되거나 밀착될 수 있게 결합하는 탄성있는 클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조명유닛에 장착된 클립을 레이스웨이(race-way)의 거치구에 탄성 변형시키며 삽입 후 탄성 복원되도록 함에 따라 조명유닛을 레이스웨이의 하측에 접하거나 근접되게 고정 설치가 가능하여, 클립의 노출을 방지하면서 천장 거치형 조명유닛의 상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기존의 커넥터와 볼트를 이용한 레이스웨이와 조명유닛의 설치 대비 끼움 방식의 클립을 통한 조명유닛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로전환기용 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밀착조절 간에 결합하는 간격조절 부재의 후면에 간격조절 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연결 간과 연결 간의 사이에 형성된 브라켓트의 거리를 간편하게 조절하고, 간격조절 부재의 전면에 풀림 방지와셔와 고정부재를 순차적으로 결합하면서 풀림 방지와셔에 형성된 제1,2 날개가 간격조절 부재와 고정부재의 회전방지 턱에 밀착되어 간격조절 부재는 정 회전을 고정부재는 역회전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선로전환기용 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풀림 방지와셔에 형성되는 제1,2 날개의 절곡되는 길이와 탄성력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도록 베이스의 절개홈의 길이를 다르게 절단한 특징과, 철도차량의 과중한 무게와 철바퀴와 레일간의 마찰 및 진동으로 발생하는 간격조절 부재와 고정부재의 풀림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간격조절 부재가 최초 세팅된 위치를 이탈하여 브라켓트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부재 또한 최초 세팅된 위치 그대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밀착조절 간이 브라켓트에서 이탈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