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설치용 비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비계를 엘리베이터 승강로 바닥면으로부터 설치할 필요없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원하는 부분에 직접 설치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비계의 설치 및 철거 작업공수를 대폭적으로 줄여 비계의 설치와 철거 시에 발생하는 시간과 비용 및 작업의 편의성을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치를 설치,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가설되는 비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설치용 비계장치에 있어서, 비계를 엘리베이터 승강로 부분 중, 특정 높이 부분에 직접 설치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특정 높이 부분에서 비계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비계 지지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플랫폼 사다리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균형상실과 미끄러짐 및 전도를 방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소형, 경량화가 가능하여 협소한 장소나 경작업이 필요한 곳에서의 안전한 고소작업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안전성과 이동성과 휴대성 및 작업효율과 편의성을 동시에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특정 높이의 고소작업이 가능하도록, 고소작업 장소에 가설되는 플랫폼 사다리에 있어서, 펼침 시에 상부의 힌지축을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벌어지면서 지면에 지지되고, 접힘 시에 힌지축을 중심으로 서로 접혀지는 제 1 및 제 2사다리 프레임을 갖는 접철식 사다리 본체와; 사다리 본체의 작업발판에 탑승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작업발판에 탑승한 작업자 주변둘레의 사다리 본체부분에 접철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철식 안전난간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설치용 시스템 비계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특정 높이 부분에서 비계를 받쳐서 지지할 수 있는 비계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비계 지지대(10)는, 상기 특정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를 향해 설치되는 메인프레임(20)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20)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장(7)의 엘리베이터 출입구(7a)측에 간격을 두고 양립하는 양쪽의 수직빔(22)과; 상기 양쪽 수직빔(22)의 각 하단부분으로부터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를 향해 나란하게 펼쳐지고 접힘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쪽의 수평빔(24)과; 상기 수직빔(22)들로부터 나란하게 펼쳐진 상기 수평빔(24)들을 각각 고정시키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빔(26)과; 상기 양쪽의 수직빔(22)들 사이와, 양쪽의 수평빔(24)들 사이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파이프(28)들 및;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1)의 내부에 상기 비계(3a)를 가설할 수 있는 바닥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바닥판(40)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빔(26)은, 중간에 힌지부(26a)를 구비한 접이식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사빔(26)에 방염처리된 섬유로프로 구성되는 보조벨트(2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접철 작업만으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 설치되거나 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으로부터 철거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설치 및 철거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장치를 설치,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가설되는 엘리베이터 설치 및 유지보수용 작업대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승강장측에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으로 펼쳐지면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부에 일정 크기의 작업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서 엘리베이터 승강장측으로 접혀지면서 철거되는 접철식 작업대 본체와; 엘리베이터 승강로측에 설치된 작업대 본체의 작업공간 상부에 2층의 작업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작업대 본체의 상측부분에 조립 및 분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단 조립체를 구비한다.
본 고안은 안전작업판이 구비된 골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테이블에 겹쳐짐과 동시에 절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안전 작업판을 구비함으로써, 작업 중에 작업자의 손이 위험 영역에 노출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절단물이 놓이는 테이블(10)과; 띠톱(11')이 구비된 절단기(11)와; 상기 띠톱(11')에 의해 분할된 테이블(10)의 일측에 겹쳐짐과 아울러 레일(22)을 따라 절단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면에 절단물이 재치되는 작업 테이블(21)과; 절단물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며 상기 작업 테이블(21)의 상측 끝단부에 설치되는 절단물 조임구(14)와; 절단물의 절단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띠톱(11')을 중심으로 상기 작업 테이블(21)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두께 조절판(15)과; 일측에 상기 두께 조절판(15)이 부착되고 상기 테이블(10)에 설치된 위치 조절바를 따라 수평 이동하여 상기 두께 조절판(15)의 위치를 결정하는 절단 두께 조절부(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악성전화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고객의 악성발언에 대한 응답성을 높여 고객의 악성발언에 실시간으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머신러닝부를 기반으로 악성발언 관련 정보를 실시간으로 학습하고, 학습 결과를 반영하여 악성발언 대응 알고리즘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함으로써, 별도의 수작업 업데이트 없이도 다양한 종류의 악성발언에 능동적이고 입체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객의 전화응대 시에 발생하는 고객의 악성발언을 차단하기 위한 악성전화 차단 시스템에 있어서, 고객의 악성발언 예시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한 악성발언 데이터 베이스 구축부와; 악성발언 데이터 베이스 구축부에 구축된 데이터와, 고객의 음성 데이터를 근거로 악성발언 판별 모델(Model)을 생성하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부 및; 고객이 발언 및 발음한 음성데이터와, 머신러닝부의 악성발언 판별 모델을 실시간으로 비교 분석하여 고객의 악성발언 여부를 실시간으로 판별하고, 판결 결과, 고객의 악성발언이 확인되면 미리 설정된 절차에 따라 고객의 전화를 제한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고안은 아치형 터널의 작업자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아치형 터널의 작업자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아치형 에이치빔(100)의 하부수평부(120)가 삽입되게 좌우 및 전방으로 개방된 수평홈(11)과, 상기 아치형 에이치빔(100)의 보강부재(140)가 삽입되게 상기 수평홈(11)에서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부 및 전방으로 개방된 수직홈(12)이 형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를 상기 아치형 에이치빔(100)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20)과; 상기 몸체부(10)에서 상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지주부(30)와; 상기 지주부(30)에 결합되는 안전망(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근로자 안전활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근로자의 위치 정보를 무분별하게 수집하지 않고, 근로자가 "비활동" 상태, 즉 응급상황일 경우에만 근로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개인정보의 수집을 최소화하고 근로자의 프라이버시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근로자의 안전모나 작업복에 부착 또는 휴대되어 근로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활동성 감지모듈(10)과, 근로자 휴대폰(20)과, 관리자 휴대폰(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마트폰을 이용한 근로자 안전활동 감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활동성 감지모듈(10)은, 근로자의 움직임을 "활동"과 "비활동"으로 구분한 후, "비활동"으로 판별될 경우에만 근로자의 위치 및 정보를 관리자 휴대폰(30)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부노출 흡입실험장치용 챔버 밀봉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노출 챔버 내부의 습도와 열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실험동물이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실험자를 유해물질로부터 보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실험동물(A)이 수용되는 복수의 노출 챔버(10)와; 도입부(21)와 배출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각 노출 챔버(10)로 실험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실험물질 공급관(20)과; 상기 노출 챔버(10)의 일단에 구비되는 챔버 밀봉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부노출 흡입실험장치에 있어서, 상기 챔버 밀봉부재(30)는, 실험동물(A)의 후방에 구비되어 실험동물의 이동을 제한하는 동시에 노출 챔버(10)를 일부 밀폐하는 오픈형 밀봉부재(31)와, 상기 오픈형 밀봉부재(31)의 후방에 구비되는 필터(34)와, 상기 필터(34)를 노출 챔버(10)의 단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조수직재 결합형 수평 선행 안전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선행 안전난간대를 기존의 수직파이프에 손쉽고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정 간격 및 폭을 가지고 설치되는 복수의 수직파이프(3)와, 상기 수직파이프(3)들을 일정 간격으로 연결하는 수평파이프(1)와, 일정 높이마다 설치되는 작업발판(1a)과, 대각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가새(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시스템 비계에 구비되는 수평 선행 안전난간대에 있어서, 상기 수평 선행 안전난간대는,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수직파이프(10)의 사이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안전난간대로서, 상기 수직파이프(30)에 인접하여 추가로 설치되는 보조 수직재(10)와, 한 쌍의 보조 수직재(10) 사이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복수의 수평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보조 수직재(10)는,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파이프(3)와 결합되기 위한 상부 결합부재(11)와,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파이프(3)와 결합되기 위한 하부 결합부재(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하나의 청소도구로 바닥 물청소와 물기 제거 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청소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 청소시간을 단축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바닥부(30)와, 상기 바닥부(30)의 상면에 구비되는 힌지부(20)와, 상기 힌지부(20)에 연결되는 봉 형상의 몸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닥 청소 및 물기 제거기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30)의 일측면에 빗자루부(40)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30)의 타측면에 탄성력을 지닌 물기제거부(5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리치타입 지게차의 조작레버 가드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작업자가 지게차의 차체와 마스트 조립체 사이의 발판에 탑승하여 조작레버를 조작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차체(10)의 상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조작레버(12)와, 차체(10)의 상부 전방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20)과, 상기 수직 프레임(20)의 상부에 수평으로 구비되는 오버헤드 가드(30)와, 차체(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다가 전방으로 인출되는 한 쌍의 레그(40)와, 상기 레그(40)의 상부에 구비되는 마스트 조립체(70)와, 상기 한 쌍의 레그(40)를 연결하는 발판(40a)과, 상기 마스트 조립체(70)의 전방에 구비되는 캐리지(80)와, 상기 캐리지(80)의 전방에 구비되는 한 쌍의 포크(90)와, 상기 레그(4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전륜(50)과, 상기 차체(10)의 하부에 구비되는 후륜(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리치타입 지게차에 있어서, 상기 차체(10)의 상부 전방에, 작업자가 상기 발판(40a)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차체(10)의 상부에 구비된 조작레버(12)를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작레버 가드부재(10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토건용 멀티 스티프너에 관한 것으로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재사용이 가능하며 길이 조절이 간편하고 경제성이 높은 토건용 멀티 스티프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막혀 있는 끝단에서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 구멍(11b)이 대칭되게 형성되고, 가이드 구멍(11b)의 주위에 높이 조절용 수나사(11c)가 형성된 외관부재(11)와; 일단이 막혀 있는 파이프 형성으로 형성되고, 개방된 끝단으로부터 특정 거리마다 복수의 관통공(12a)이 대칭되게 형성되며, 막힌 부분이 외관부재(11)의 관통 구멍(11a)에 삽입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는 내관부재(12)와; 외관부재(11)의 개방된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외관받이판(13)과; 내관부재(12)의 개방된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내관받이판(14)과; 외관부재(11)의 가이드 구멍(11b)과 내관부재(12)의 관통공(12a)을 동시에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내관위치조절용 핀(15)과; 내측에 외관부재(11)의 높이 조절용 수나사(11c)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외관부재(11)에 체결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내관위치조절용 핀(15)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위치결정구(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 현장 등에서 사용되는 동바리의 붕괴 위험을 사전에 감지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는 동바리 붕괴 자동 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이 인가될 경우 경보음을 발생하는 경보음 발생수단(20)과, 동바리(5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동바리(50)가 기울어질 경우 전원공급수단으로부터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2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경사감지 스위치(10)를 포함하며, 상기 경사감지 스위치(10)는 뒤집어진 컵 형상으로 형성되는 비전도성 재질의 밀폐 용기(11)와,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극에 전원공급선(21)으로 연결되며 상기 밀폐 용기(11)의 내부에 위치되는 도전성 재질의 구형 추(15)와, 상기 밀폐 용기(11)의 뚜껑(12) 저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형 추(15)를 지지하는 지지 와이어(14)와, 상기 밀폐 용기(11)의 하측 내벽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구형 추(15)가 접촉될 때 상기 경보음 발생수단(2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전원인출선(22)이 연결되는 도전판(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동바리가 일정 각도 이상 기울어질 경우 경보음 발생수단에 전원이 인가되어 경보음이 발생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신속하게 대피하여 동바리 붕괴에 따른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나노입자 다중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3D 프린터에서 성형품 제작시 발생하는 나노입자 및 HAPs가 인체에 미치는 잠재적 위험을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나노입자 다중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필라멘트(F)가 코일상으로 감겨진 필라멘트 롤(6)과, 상기 필라멘트 롤(6)에 감긴 필라멘트를 가열 코어(2)측으로 밀어 이송시키는 익스트루더 스텝퍼(1)와, 상기 필라멘트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 코어(2)와, 상기 가열 코어(2)로부터 공급되는 필라멘트를 압출하는 익스트루더(9)와,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익스트루더(9)의 압출작용에 의해 나노입자가 발생되도록 하는 챔버(3)와, 상기 챔버(3)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에어 인렛(5)과, 상기 챔버(3)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 아웃렛(4)과, 나노입자 발생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를 포함하고, 상기 필라멘트 롤(6)과, 익스트루더 스텝퍼(1)와, 가열 코어(2)를 복수로 구성하여 단일 재질의 필라멘트 또는 서로 다른 재질의 필라멘트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7)에서 익스트루더 노즐의 토출온도와 토출속도 및 상기 챔버(3)로 공급되는 공기유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크기와 농도의 나노입자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