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유동층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유동층보일러에 구비되는 노, 이 노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이 노에 석회석을 공급하여 탈황 처리하기 위한 석회석공급부, 이 노에 유동매체를 공급하여 유동층 연소를 돕는 유동매체공급부, 이 노 내에서 연소 중 상측으로 비산되는 애쉬를 포집 처리하는 비산애쉬처리부, 및 이 노 내에서 연소 중 하측으로 낙하하여 배출되는 애쉬를 포집하여 재사용하는 낙하애쉬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순환유동층보일러의 노 내에 저열량탄과 저순도 석회석을 공급하여 연소시킴으로써 연료비용을 줄일 수 있고, 석회석에서 연소 중 생성되는 층물질(bed material)을 재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양식장에서 버려지는 물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여 소수력 발전기의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수력 발전설비에 관한 것으로, 양식장에서 배수되는 방류수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침전부와, 침전부에서 배수되는 물이 저수되는 저수부와, 저수부에 저수된 물이 높이차에 의해 흐르도록 저수부에 연결되며 저수부의 물을 바다로 배출시키는 소수력 발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발전플랜트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터빈의 설정출력의 1/n배에 해당되는 출력을 갖는 n개의 보일러, 이 보일러 각각에 연결되어 급수저장탱크에 저장된 급수를 해당 보일러로 펌핑하도록 기동용급수펌프와 주급수펌프로 이루어지는 n개의 펌핑부, 및 하나의 기동용급수펌프를 복수 개의 보일러에 연결하여 일부 기동용급수펌프의 고장시에도 안정적인 터빈의 출력을 유도하기 위한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발전플랜트의 급수설비 구성과 제어를 간단하게 하고, 복수 개의 보일러를 동시에 기동 운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블랙아웃(black-out)시 보일러의 최소유량 공급을 실현할 수 있고, 복수 개의 보일러에 일대일 대응되는 기동용급수펌프를 병렬로 연결함에 따라 모든 보일러에 항상 안정적으로 급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발전플랜트의 급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터빈의 설정출력의 1/n배에 해당되는 출력을 갖는 n개의 보일러, 및 이 보일러 각각에 연결되어 급수저장탱크에 저장된 급수를 해당 보일러로 펌핑하는 펌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발전플랜트의 급수설비 구성과 제어를 간단하게 하고, 복수 개의 보일러를 동시에 기동 운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블랙아웃(black-out)시 보일러의 최소유량 공급을 실현할 수 있다.
폐열 회수를 이용한 발전시스템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폐열 회수를 이용한 발전시스템은: 폐열공급부에서 공급된 배기가스를 폐열로 회수하는 폐열회수부; 및 상기 폐열회수부의 폐열을 이동하는 제1작동유체로 흡수하고, 제1작동유체의 열기를 제2작동유체와 재차 열교환하여 터빈에 공급하므로 발전에 재활용하는 폐열교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필드버스(Fieldbus)와 무선(Wireless) 방식의 디지털 통신기술을 발전설비에 적용함으로써 발전설비의 다양한 계측기기와 구동기기로부터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한 발전설비의 운전정보 통합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발전설비의 현장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수집하여 통합 관리하고 발전설비의 구동을 제어하는 통합 관리 단말기, 발전설비의 현장에서 계측된 다양한 전송 방식의 데이터와 발전설비의 구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중계하기 위한 게이트웨이,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통합 관리 단말기로 전송하고, 통합 관리 단말기로부터 발전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받아 게이트웨이로 전송하는 분산 제어부, 게이트웨이와 무선방식으로 연결되어 발전설비 현장에서 계측된 데이터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무선계측기, 게이트웨이와 필드버스 방식으로 연결되어 구동하는 구동기기 및 게이트웨이와 연결되어 보일러 노내온도를 계측하여 수집하는 DAS(Data Acquisition)를 포함하되, 무선계측기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상호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밸브용 보수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밸브용 보수장치는: 밸브부에 고정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를 따라 승하강되는 승하강부와, 승하강부와 같이 이동하면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승하강부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회전부 및 회전부에 연결되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밸브부를 가공하는 가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면 부유식으로 태양전지 모듈을 설치한 수면 부유식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면에 부유되는 바닥부, 바닥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부, 덮개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전지 모듈을 덮개부에 고정시키는 모듈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벨트와 접촉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에 구비되고 벨트의 낙하물을 제거하는 낙탄제거부 및 이동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클리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클리너는 벨트에 낙하된 낙하물을 안정적으로 제거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력발전용 물 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 발전공정에서 요구하는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발전공정에서 요구하는 수질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화력발전용 물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상여과수를 집수하는 단계와, 해수를 집수하는 단계와, 해수의 염분을 제거하는 단계와, 하상여과수를 해수에 혼합하고 해수의 염분을 제거하는 단계와, 염분이 제거된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용 물 공급방법을 제공한다.
발전소용 폐열 재활용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전소용 폐열 재활용장치는: 발전용 증기터빈을 냉각시키고 배출되는 냉각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송관로에 연결되며, 냉각유체의 흐름을 강제하는 펌프가 복수로 구비되는 멀티펌프부와, 멀티펌프부와 연결되며 작동유체와 냉각유체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가 복수로 구비되는 멀티열교환부 및 멀티열교환부와 연결되는 관로에 설치되어 작동유체와 냉각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멀티밸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를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연료가스를 공급받아 전기 화학 반응을 일으킴으로서 고온의 배기가스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스택, 및 이 연료전지스택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열기를 복합 발전 계통으로 재활용하는 폐열재활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고온형 연료전지인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Molten Carbonate Fuel Cell)의 성능을 개선하여 복합화력발전 시스템과 연계함으로서 연료전지로부터 발생되는 폐열의 자원 재활용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력발전소의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가스연료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이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연료를 탈황처리하는 탈황처리부, 이 탈황처리부를 거치며 탈황처리된 가스연료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이 탈황처리부를 거친 가스연료와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혼합하여 습분연료를 형성하는 습분연료생성부, 이 습분연료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습분연료를 개질하고 메탄을 제외한 고 탄화수소를 제거하는 연료전처리부, 및 이 연료전처리부로부터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전기 화학 반응을 일으킴으로서 배기가스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스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고온형 연료전지인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를 통해 발생되는 중저온의 폐열을 메인발전기의 워밍업용 연료로 재활용함으로써 기존에 구비되는 보조보일러를 제거할 수 있어 유지,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고, 중저온의 폐열에 포함된 수소가스를 포집하여 그린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어 신재생에너지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기초단 위에 설치되는 방파제; 방파제에 묻혀 고정되고, 방파제에 의해 지지되는 플레이트부; 및 플레이트부와 결합되는 풍력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력발전기를 방파제에 설치하므로 바다 바닥에 설치하는 것에 비해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에 구비되는 연돌 일체형 건물에 관한 것으로서, 발전부에서 폐기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연돌부; 및 연돌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건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에 구비되는 연돌 일체형 건물은 연돌부와 건물부를 일체화 시켜 줌으로써, 혐오시설인 연돌부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 연돌부 주변 부지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