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장 반사파를 이용한 지하 영상을 주로 획득하고 자기장 반사파를 이용한 지하영상의 획득은 배제되어 왔던 종래기술의 지하탐사 레이더(Ground-penetrating radar, GPR) 기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면의 특정 지점에 위치하여 전자기파 펄스 신호를 복사하는 송신 안테나 및 상기한 복사신호에 의해 형성되는 전기장 및 자기장 신호를 각각 측정하는 수신 안테나 쌍을 포함하여, 기존의 전기장 반사파를 이용한 지하 영상뿐만 아니라 자기장 반사파를 이용한 지하 영상도 획득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기존에 비해 지하의 물성을 더욱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규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하 물성 탐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지하 물성 분석방법이 제공된다.<드론,>
보석 전자 문서 생성 시스템 및 보석 전자 문서 제공 시스템에 대해서 개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석 거치대에 위치한 보석에 대한 X 선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부; 이미지 획득부로부터 얻은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부; 및 이미지 처리부에 의해서 처리된 이미지로부터 보석 전자 문서를 생성하기 위한 전자 문서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전자 문서 생성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석 전자 문서 생성 시스템으로서, 보석 거치대에 위치한 보석에 대한 X 선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이미지 획득부; 이미지 획득부로부터 얻은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부; 이미지 처리부에 의해서 처리된 이미지로부터 보석 전자 문서를 생성하기 위한 전자 문서 생성부; 및 보석에 대한 물리 데이터를 획득하거나 생성하기 위한 물리 데이터 획득/생성부;를 포함하며, 보석에 대한 보석 전자 문서를 요청하기 위한 전자 문서/이미지 요청부; 보석에 대한 보석 전자 문서를 서비스하기 위한 전자 문서 제공부; 및 보석에 대한 보석 전자 문서를 표시하기 위한 전자 문서/이미지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석 전자 문서 제공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도리니움 화합물을 반응시킨 암석 시료의 전자현미경 이미지를 활용한 공극률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극률 측정방법은, (a)공극률 측정의 대상이 되는 암석 시료에 대하여 전자 현미경 촬영을 수행하여 제1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b)제1이미지에서 중광물로 파악되는 부분의 제1면적을 파악하는 단계; (c)가도리니움 화합물이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암석 시료를 침지시켜 암석 시료 내부의 공극에 수용액이 유입되어 침전되도록 하는 단계: (d)가도리니움 화합물이 침전된 후 암석 시료에 대하여 전자 현미경 촬영을 수행하여 제2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및 (e)제2이미지에서 중광물 및 공극으로 파악되는 부분의 제2면적을 파악한 후, 제2면적으로부터 제1면적을 제하여 암석 시료의 공극 면적을 파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평면파를 이용한 이방성 매질에서의 전파형 역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전파형 역산방법은 파선변수(ray-parameter)의 범위에 따른 P파 수직속도와 이방성변수의 민감도를 분석하는 단계; 다른 변수를 고정하고 민감도가 가장 큰 P파의 수직속도를 먼저 순차 역산하는 단계; 도출된 P파의 수직속도와 수평속도를 동시 역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셀기반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이방성 매질에서의 순수음향파동모델링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순수음향파동모델링 방법은 이방성 매질에서의 S파가 분리된 순수음향파동방정식을 설정하는 단계; 순수음향파동방정식을 행렬형태로 표현하는 단계; 행렬형태로 표현된 순수음향파동방정식을 유한차분법으로 표현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천해지역이나 연안지역에서 대형 탐사장비 없이 간소화된 장비로 탄성파 탐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부이의 부력을 통해 스트리머의 수진기를 수면으로 부상시키는 동시에 부력에 대응하는 응력을 제공함으로써 수진기를 일정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하는 수진기의 수심조절 기능을 갖는 해상 탄성파 탐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형 선박의 후미에서 예인되면서 수중에서 해저면을 향해 탄성파 음원를 발생시키는 탄성파 발생기; 상기 탄성파 발생기와 이격된 상태로 소형 선박의 후미에 연결되어 일직선 형태를 이루면서 예인되며, 해저면에서 반사되는 탄성파를 수신하는 복수의 수진기가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스트리머; 상기 스트리머에 연결되고, 부력을 갖는 부력체로 이루어져 수면에 부상한 상태로 스트리머와 함께 예인되면서 상기 스트리머를 부상시키는 복수의 부이; 상기 부이와 상기 스트리머를 연결하고, 길이가 조절되면서 상기 부이와 상기 스트리머의 간격을 조절하는 부이커넥터; 및 상기 부이의 수량에 대응하면서 상기 스트리머에 설치되고, 상기 부이의 부력에 대항하는 응력을 상기 스트리머에 제공하여 상기 스트리머를 가라앉히면서 상기 스트리머와 상기 부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응력제공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퇴적물 시료의 음파전달속도 및 음파감쇠를 측정하는 음파측정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음파측정 방법은, 퇴적물 시료를 압전체(piezoelectric transducers)를 포함하는 시료 장착부에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퇴적물 시료에 음파신호 발생모듈을 통해 발생된 음파신호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퇴적물 시료로부터 음파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한 음파신호로부터 상기 퇴적물 시료에 대한 물리적 특성정보를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정보 출력모듈을 통해 측정된 물리적 특성정보를 출력하고, 측정정보 저장모듈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물리적 특성정보는 음파전달속도 및 음파감쇠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부지층을 탐사하기 위한 첩(chirp) 방식 천부지층 탐사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천부지층 탐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첩 원시 자료를 기록할 수 있는 새로운 장비를 구비하고 기록된 첩 원시 자료를 이용하여 극성 및 위상 정보를 포함한 고해상도의 첩 원시 단면을 제작함으로써, 지층의 연속성과 해상도가 향상된 첩 방식 천부지층 탐사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천부지층 탐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양 탄성파 탐사 방법 중 글라이더에 수진기를 장착하여 굴절파를 취득하는 글라이더를 활용한 해양 탄성파 굴절법 탐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원을 탑재한 탐사선; 및 해상에 표류하거나 수중에서 동작하며 상기 탐사선에 매달려 이동하거나, 원격조정에 의해 양력과 회전력을 발생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하며 상기 탐사선에서 발생된 상기 음원이 굴절된 탄성파를 수신하는 수진기를 구비하며 상기 탄성파를 기록하는 글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해양 무인 관측시스템인 글라이더에 하이드로폰 및 스트리머 그리고 이를 기록할 수 있는 기록시스템을 탑재하여 해양 탄성파 굴절법 탐사에 활용하려는 것으로서, 이를 통하여 탄성파 굴절법 자료를 취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한 고해상 탄성파 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밀도가 높은 해저면의 수심자료를 포함한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활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이 보정된 고해상 탄성파 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한 고해상 탄성파 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해양자력탐사 측정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자력탐사 측정방법은, 조사 대상 영역에서 중심점을 기준으로 원형의 항로를 그리며 탐사선을 진행시키면서 자력계를 예인하며, 진북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측정된 상기 탐사선의 진행 각도에 따라 상기 자력계를 이용하여 지자장값을 측정하는 측정단계; 탐사선의 각도에 대한 데이터와, 각도에서 측정된 지자장값에 대한 데이터를 모두 연산유닛에서 입력받는 데이터 입력단계; 연산프로그램이 수록되어 있는 연산유닛에서 측정된 지자장값에 포함되어 있는 탐사선에 의해 유도된 교란자기장값을 설정하는 연산단계; 및 측정된 자기장값으로부터 교란자기장값을 제하여 실제 지자장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무기지화학적 지시자를 이용하여 초기 유기물 유형(kerogen type) 및 초기수소지수(HIo)를 도출하여 초기총유기탄소량(TOCo) 평가하는 것에 의해 셰일층의 가스 형성/저장 잠재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무기지화학적 지시자를 이용한 셰일 가스 잠재성 평가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무기지화학적 지시자를 이용한 셰일 가스 잠재성 평가 장치는, 채취된 셰일 샘플에 대한 현재의 총유기탄소량(TOCpd), 수소지수(HI), 산소지수(OI)을 측정하는 열분석부(10); 채취된 시료로부터 퇴적물에 포함하는 생물기원 및 육상기원 퇴적물을 지시하는 무기물인 SiO2와 Al2O3의 함량을 측정하는 주원소함량측정부(20); 채취된 시료로부터 해양의 산소 유무를 지시하는 무기물인 Mo, U과 육상기원 점토광물을 지시하는 Hf의 함량을 측정하는 미량원소함량측정부(30); 상기 주원소함량측정부(20)에서 측정된 주원소의 함량을 이용하여 생물기원 원소인 SiO2의 함량을 생물기원원소함량으로 도출하는 생물기원원소함량도출부(40); 상기 미량원소함량측정부(30)에서 측정된 총 Mo와 U 중 해양자생기원 Mo와 U 함량을 자생기원원소함량으로 도출하는 자생기원원소함량도출부(50); 현재 해양퇴적물의 수소지수와 상기 생물기원원소함량도출부(50)에서 도출된 생물기원 SiO2의 함량과 SiO2 총량을 이용하여 초기수소지수(HIo)를 도출하고, 초기총유기탄소량(TOCo)를 도출하는 초기수소지수(HIo)계산부(60); 및 상기 초기총유기탄소량(TOCo)으로부터 현재 총유기탄소량(TOCpd)을 차감하는 것에 의해 가스 잠재성을 평가하는 가스잠재성평가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무기지화학지시자들을 사용하여 셰일 가스층 내에서의 초기 유기물 종류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평가 결과를 초기수소지수(HIo) 평가에 적용하여 신뢰성 있는 초기총유기탄소량(TOCo)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셰일 가스 잠재성을 더욱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구통계기법에서의 관측자료(observed data)를 이용한 2차자료(secondary data 또는 soft data) 생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공간적 분포자료(spatial correlation), 1차자료(primary data 또는 hard data) 및 관측자료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공간적 분표자료 및 1차자료를 이용하여 지구통계기법을 수행하여 초기모델들을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초기모델들로부터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최적모델(the best model)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최적모델을 수렴시켜 최종모델들(final models)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간적 분포자료와 1차자료를 지구통계기법을 이용하여 모델을 생성하고 거리기반기법(distance-based method) 및 군집화(clustering) 등을 이용하여 대표모델들(representative models)을 선택한 후 관측자료를 이용해 최적모델을 선정하고 최적모델 주변의 일부 모델들(few models)을 선택한 후 이들의 평균을 2차자료로 이용하여 기존의 공간적 분포자료와 1차자료와 함께 지구통계기법을 이용해 새로운 모델을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최종모델들을 선택하며 이를 이용하여 불확실성평가(uncertainty quantification)와 미래거동예측(prediction of future performances)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