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트렌치 단면 기준선 설정 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센서부(10)와, 상부면에 서로 직교하는 2개의 수평유닛(20)과, 측면에 각각 3개의 레이저광원부(30)와 그리드촬영부(110')를 구비한 트렌치 단면 기준선 설정 트렌치기준선설정바디부(100); 트렌치기준선설정바디부(100)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자세조정부(230)와 높이조절부(250)를 구비한 기준선설정삼각지지부(200); 및 트렌치기준선설정바디부(100)의 그리드촬영부(110')로부터 촬영된 단층이미지를 수신하여 트렌치 단면 구조의 지층도를 작성하는 트렌치지층분석서버(30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정 지질학적 시대의 지층 형상을 모사한 하나 이상의 지층 플레이트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지층 플레이트를 다수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소정 지질학적 시대를 모사하는 적층형 퇴적 지층 베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층 플레이트에는 하나 이상의 화석 생물 입체 모형이 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감마선을 이용한 측정 시 이극(bipolar) 펄스 신호를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이극 펄스 특성을 이용한 행성탐사용 감마선 분광계 및 그 감마선 신호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이극 펄스 특성을 이용한 행성탐사용 감마선 분광계는, 신틸레이터(scintillator)와 전자증배관(PMT, Photo Multiply Tube)을 구비하여 입력된 감마선을 증폭한 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감마선 검출부(120); 및 상기 감마선 검출부(120)에서 출력되는 전기 신호에서 이극 펄스 신호를 추출한 후, 펄스 위상차 신호처리, 제로교차점(zero crossover point) 신호처리 또는 파일업 리젝션(pileup rejection) 신호처리 중 하나 이상의 신호처리를 수행한 후 단극 펄스에 대응하는 에너지를 가지는 이극 펄스의 스펙트럼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처리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섬광을 발생하는 섬광기와, 상기 섬광을 입력받아 검출 가능한 신호의 크기로 증배하여 전하를 차아지(charge)하고, 차아지된 상기 전하를 출력하는 광전자증배관과, 상기 전하를 입력받아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여 일정한 전압을 출력하는 전치증폭기와, 상기 일정한 전압을 펄스 성형(shaping) 및 증폭하여 펄스 신호를 출력하는 주증폭기, 및 상기 펄스 신호를 펄스의 높이에 따라 분류, 수집, 및 저장하는 다중채널분석기를 포함하는 섬광체 기반 감마선 검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현지응력 평가방법은 기존에 제시되지 않은 새로운 실내시험방법이다. 본 발명은 현지에서 확보한 코어시료에 기형성되어 있는 균열 정도를 현지응력의 크기로 대응시켜 평가에 이용할 수 있다는 개념을 제시한다. 그리고 암석 내 균열의 정도는 암석이 파괴될 때의 응력피크치에 대한 상대적 크기와 상호 대응될 수 있다는 과학적 고찰이 뒷받침 되었다. 즉, 암종마다 응력피크치의 절대값은 모두 다르지만, 균열의 정도는 응력피크치에 대한 상대적 힘의 크기에 따라 유사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과학적 통찰을 기반으로, 본 발명에서는 암석에 가하는 힘의 크기(응력피크치에 대하나 상대값)에 따른 균열의 정도를 상호 대응시켜 기준자료로 제작하고, 코어링을 통해 시료를 확보하여 코어시료에 형성된 균열의 정도를 파악한다. 균열의 정도는 응력피크치에 대한 상대적 힘의 세기와 대응시킨다. 코어시료에 고유한 응력피크치만을 실내시험을 통해 구해내면 지하 암반 내 현지응력을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암반의 강도 시험방법은, 직경(D)과 높이(H)를 갖는 환봉 형태의 암반코어를 마련하는 단계; 상기 암반코어의 축 방향의 제1위치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제1노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노치에 대한 높이 차이(c)를 갖는 제2위치의 측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제2노치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암반코어의 상면과 하면에 축 방향의 하중을 적용하여 상기 암반코어의 강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비저항 측정장치는, 시료의 양단에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전극과, 전극에 전류를 인가하는 전류발생기와, 코어 시료 양단의 전위차를 측정하는 전위계 및 전류발생기와 전위계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며, 컨트롤러를 통해 전기비저항 측정조건을 설정하여, 이 측정조건에 따라 컨트롤러는 전류발생기와 전위계의 작동을 제어하고, 전기비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전체 측정시간과, 단속적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전기비저항을 측정점 단위로 측정할 수 있도록, 측정점 사이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는 쉬는 시간으로서의 포인트 딜레이를 측정조건으로 설정가능하다. 포인트 딜레이는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지만, 주로 전류의 인가에 따라 발열된 시료의 온도가 하강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금속 및 비금속 광물이 포함된 물에 압력을 가해 순환시키고 순환시키는 중에 광물의 비중 차이에 의해 광물을 분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물을 수용하는 수조; 상기 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 상기 공급관과 상기 수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수조에 유입되는 물의 양 및 수압을 조절하는 수압제어부; 상기 수조 및 수압제어부로부터 가해진 수압에 의해 상기 물을 순환되고 순환시에 상기 물에 광물을 혼합하여 순환시키는 순환파이프; 및 상기 순환파이프를 순환한 물이 수집되는 물회수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공급된 물을 재사용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오염수 등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로 광물을 친환경적으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초분광영상센서 탑재 드론을 이용한 크롬 광체 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초분광영상센서 카메라가 탑재된 드론을 활용해 탐사지역의 초분광영상 촬영자료를 공중에서 획득하는 단계와, 촬영자료를 근거로 탐사지역 내의 더나이트 암체의 분포도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초분광영상센서를 탑재한 드론을 활용해 크롬 광체를 배태하고 있는 주요 모암인 더나이트 암체를 신속히 발견할 수 있으므로, 크롬 광체 탐지를 위한 광역 탐사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초분광영상센서 탑재 드론을 이용한 크롬 광체 탐지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질 조사용 멀티 맵 홀더에 관한 것으로, 중첩된 다수개의 지형도가 안착되는 하판과, 지형도를 덮도록 하판의 일측 단부에 힌지 결합된 상판을 포함하며, 하판의 단부에 필기구 또는 펜 형태의 루뻬(loupe)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다수개 형성되고, 하판의 저면에 지표 또는 암석의 성분을 확인할 수 있는 화학물질이 담겨진 미니팩이 보관되는 보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멀티 맵 홀더 일측에 구비된 장착부에 필기구 또는 루뻬가 장착되므로, 지질조사 시, 지질조사원은 멀티 맵 홀더 외에 별도로 루뻬 또는 필기구를 소지할 필요가 없어, 지질조사원의 물품 휴대가 매우 간소해지는 효과가 있는, 지질 조사용 멀티 맵 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중광물의 동위 원소 분석에 의한 오염토양과 하천퇴적물의 중금속 오염원 분석방법은, (a) 중금속이 포함된 시료에서 중광물을 분리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의 중광물을 테프론 바이알에 투입한 후, 산성용액을 가하고 가열하여 용해한 후 건조하는 단계; (c) 상기 (b) 단계의 건조된 중광물에 염산을 투입한 후 가열하고 다시 건조시킨 후 브롬화수소에 녹이는 단계; (d) 상기 (c) 단계의 브롬화수소에 녹인 중광물을 원심분리한 후 음이온교환수지와 브롬화수소를 이용하여 중금속을 분리하는 단계; 및 (e) 상기 (d) 단계에서 분리된 중금속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중광물의 동위 원소 분석에 의한 오염토양과 하천퇴적물의 중금속 오염원 분석방법은, 오염토양과 하천퇴적물 내의 중광물에 분리, 수득하여 동위 원소 분석을 통해, 중금속, 구체적으로는 Pb의 오염원의 인위적 기원과 자연적 기원을 보다 더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지상에 설치된 포장체의 하부에 태그들을 매설하고 포장체 상에서 주기적으로 태그들의 인식 여부 혹은 상태 변화를 체크함으로써 포장체 하부에서 지하공동 발생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는 지반함몰 신속탐지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 방법 대비 비교적 낮은 초기 구축비용만 투자된다면 대상 포장체 구간에 대해 반영구적으로 지하공동 발생 여부를 탐지할 수 있으며, 탐사 및 해석이 간단하여 전문 인력이 없이도 운영이 가능하고 다수회 탐사에도 추가 비용이 거의 없게 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도심지 지반함몰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지반함몰을 지반환경인자와 사회기반시설인자에 의한 것으로 규정하고, 이들에 대한 데이터와 실제 지반함몰이 발생한 데이터를 획득한다. 획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지역 전체에 대하여 지반함몰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실제 데이터를 이용하여 평가지역 전체의 위험도를 추정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지반함몰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한 실제 측정과정을 가급적 배제하고 기존에 축적된 데이터를 활용함으로써 경제적이다. 본 발명에 의해 지반함몰 위험도에 대한 체계 확립과, 이 체계에 근거한 실천적 방안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본 발명은 특정 지역에 대한 초분광 영상(hyperspectral image)으로부터 목표하는 표적물질의 분포를 검출하기 위한 표적물질 탐지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지역에 대한 초분광 영상으로부터 목표하는 표적물질의 분포를 검출하기 위한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표적물질 탐지방법에 있어서, 화소 단위로 목표 물질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표적물질이 아닌 다른 물질까지 표적물질로 오탐지되거나, 목표물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탐지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던 종래기술의 표적물질 탐지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분석하고자 하는 지역에 대한 초분광 영상을 취득하고, 취득된 초분광 영상으로부터 영상 엔드멤버(image endmember)를 자동으로 추출한 후, 여기에 다시 표적물질에 대한 타겟 스펙트럼(target spectrum)을 또 다른 엔드멤버로서 추가하여 분광 순수화(spectral unmixing)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표적물질에 대한 점유비율을 구하여 표적물질에 대한 분포도를 작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오탐지되는 화소가 거의 없이 목표하는 표적물질만을 정확하게 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서브픽셀(sub-pixel) 기반의 초분광 영상의 분광혼합분석을 이용한 표적물질 탐지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전자탐사 장비를 멀티콥터에 장착해 공중 탐사를 가능하게 하며 자세 변화가 심한 긴 막대 형태의 전자탐사 장비를 매달고 비행하면서도 안정적인 탐사가 가능한 멀티콥터 기반의 전자탐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멀티콥터; 상기 멀티콥터의 하부에 결합되며, 멀티콥터의 비행에 따른 자세 변화를 감지해 수평 상태를 유지시키는 자세제어 짐벌; 상기 자세제어 짐벌의 하부에 상측 말단이 고정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의 하측 말단에 고정되는 전자탐사 장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