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담액식 수경재배용 양액 시스템에 있어서, 육묘가 재배되는 복수 개의 육묘상자; 상기 육묘상자에 양액을 공급 및 회수하며, 서로 상이한 EC, pH 및 온도를 가지는 양액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양액순환탱크; 상기 복수 개의 양액순환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양액을 혼합하여 상기 육묘상자에 공급하는 양액공급배관부; 상기 육묘상자에 공급된 양액을 배출하는 양액배출배관부; 상기 양액배출배관부로부터 배출된 양액을 저장하고, 상기 배출된 양액의 EC, pH 및 온도를 조절하는 양액조절탱크; 상기 양액조절탱크에 저장된 양액의 EC, pH 및 온도에 맞춰 상기 복수 개의 양액순환탱크 중 어느 하나에 양액이 회수되도록 하는 양액회수배관부; 상기 복수 개의 양액순환탱크 각각에 연결되어 양액의 공급을 조절하는 복수 개의 양액공급펌프; 상기 양액회수배관부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 개의 양액순환탱크로 양액 공급을 조절하는 조절밸브; 및 상기 복수 개의 양액공급펌프 및 상기 조절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EC, pH 및 온도가 조절된 양액을 육묘상자에 지속적으로 공급가능하며, 사용한 양액을 회수한 후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양액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으며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엔진룸의 자동 소화시스템은, 소정의 위치에 설치되어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발생을 감지하기 위한 신호를 센싱하는 화재감지부(100); 상기 화재감지부(10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200); 상기 제어부(200)의 명령을 받아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발생 시 소화를 담당하는 소화부(300); 및 상기 화재감지부(100), 상기 제어부(200), 상기 소화부(3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자동차 엔진룸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부(400); 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감지부(100)는 자동차 엔진룸의 온도를 센서로 인식하고 식별할 수 있는 온도감지모듈(110);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발생 시 생성되는 연기를 센서로 인식하고 식별할 수 있는 연기감지모듈(120);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발생 시 열복사로 방출되는 빛을 센서로 인식하고 식별할 수 있는 불꽃감지모듈(130); 및 자동차 엔진룸의 상태를 촬영하는 엔진룸촬영모듈(140); 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전송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데이터베이스모듈(210), 화재발생판단모듈(220), 화재위치감지모듈(230), 소화제어모듈(240)을 포함하고, 상기 화재발생판단모듈(220) 자동차 엔진룸이 정상상태일 때의 온도데이터, 연기데이터, 불꽃데이터에 대한 한계값 데이터를 미리 구비하고, 상기 온도감지모듈(110), 상기 연기감지모듈(120), 상기 불꽃감지모듈(130)의 데이터를 상기 한계값 데이터와 비교하여 1차적으로 자동차 엔진룸의 이상상태를 감지하고, 2차적으로 상기 엔진룸촬영모듈(14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화재위치감지모듈(230)은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발생 시 전술한 온도감지모듈(110), 전술한 연기감지모듈(120), 전술한 불꽃감지모듈(130), 전술한 엔진룸촬영모듈(140)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발생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소화제어모듈(240)은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발생 시 상기 소화부(300)를 구동제어하되, 상기 화재발생판단모듈(220)과 연동하여 자동차 엔진룸의 상태에 따라 상기 소화부(300)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200)는 영상분석모듈과 열화상분석모듈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영상분석모듈은 상기 엔진룸촬영모듈(140)의 영상 데이터에 대해 특정 주파수 대역에 존재하는 복수의 1차 변환 영상을 생성하는 제1 변환유닛과, 상기 제1 변환유닛에서 변환된 복수의 1차 변환 영상들 각각에 대해 영상 내 존재하는 잡음이나 조명의 변화에 무관하고 핵심정보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2차 변환 영상을 생성하는 제2 변환유닛과, 상기 제2 변환유닛에서 변환된 영상들 각각에 대해 기본요소분석을 통해 리던던시를 줄인 다음 입력 영상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영상을 선별하는 선별유닛과, 상기 선별유닛에서 선별된 영상을 바탕으로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화재판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열화상분석모듈은 상기 엔진룸촬영모듈(140)의 열화상영상의 프레임에서 픽셀들의 평균값, 픽셀들의 표준편차값, 픽셀의 최대값을 각각 산출하는 픽셀값산출유닛과 상기 픽셀값산출유닛에서 산출된 픽셀들의 평균값, 픽셀들의 표준편차값, 픽셀의 최대값을 이용하여 임계점을 산출하는 임계점산출유닛과 상기 임계점산출유닛에서 산출된 임계점보다 큰 픽셀의 최대값들에 해당되는 픽셀들을 선별하는 선별유닛과, 상기 선별유닛에서 선별된 부분에 대해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화재판단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소화부(300)는 자동차 트렁크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화장치(310)와, 자동차 보닛(Bonnet)의 하부면에 설치되어 상기 보닛의 하부면을 따라 상하 좌우로 이동되며 상기 소화장치(310)에 내장된 소화분말을 자동차의 엔진룸에 분사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분사모듈(320)과, 상기 소화장치(310)와 상기 분사모듈(320)을 연결하는 배관모듈(330) 및 상기 분사되는 소화분말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모듈(340)을 포함하고, 상기 분사모듈(32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통 형상의 배관으로 형성되는 오리피스관을 구비하는 본체파츠(321)와, 상기 본체파츠(321)에 결합되며 상기 오리피스관의 직경 크기를 조절하는 컨트롤파츠(322)와, 상기 본체파츠(321)에 교체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복수의 분사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소화분말을 상기 분사 구멍을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파츠(324)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파츠(322)는 상기 본체파츠(321)에 결합되며 중앙에 소정의 공간이 개방된 내부링판(322aa)과 상기 내부링판(322aa)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외부링판(322ab)이 구비되는 플레이트유닛(322a)과, 상기 플레이트유닛(322a)과 상기 본체파츠(321)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내부링판(322aa)과 상기 외부링판(322ab)에 결합되며 상기 외부링판(322ab)의 회전 시 함께 회전됨으로써 상기 오리피스관의 직경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유닛(322b)과, 상기 내부링판(322aa)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커버유닛(322c)을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400)는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발생 시 자동차의 현재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근 소방서에 화재발생 및 자동차의 현재 위치에 대한 알림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사 소화 장치는, 전투차량 장비의 엔진실이나 승무원실에 설치되어 소화 약제를 분사하기 위한 소화 장치에 있어서, 분사용 소화 약제가 저장되는 저장부(100); 상기 저장부(100)에 결합되며,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저장부(100)에 저장된 소화 약제를 방출시키고, 상기 방출되는 소화 약제의 유량을 감지하는 방출부(200); 상기 방출부(200)에 결합되며, 상기 방출되는 소화 약제의 유량에 기초하여 외부로 분사되는 소화 약제의 분사 압력을 조절하는 조절부(300); 및 상기 조절부(300)에 교체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복수의 분사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소화 약제를 상기 분사 구멍을 통해 외부로 분출시키는 노즐부(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물의 벽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건물 외부와 내부의 공기를 통과시키되, 온도센서에 의해 영하의 온도가 감지되면 환풍 팬을 작동시켜 영하의 냉기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수도와 보일러 등의 동파를 사전에 예방하는 냉기 유입 차단용 관통 슬리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기 유입 차단용 관통 슬리브는, 일단과 타단이 개방된 제1 중공이 내부에 형성되는 관(管)형의 슬리브와 일측에 모터 고정용 브라켓이 구비되고, 일단과 타단을 관통하는 하나 이상의 통기구가 형성되는 슬리브 커버와 모터 고정용 브라켓에 체결되는 모터부와 모터부에 체결되는 환풍팬과 슬리브 커버 또는 모터 고정용 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구비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소방용 방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현장에서 소방요원 또는 생존자가 몸을 보호하면서 이동하기 용이한 소방용 방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현장에서 소방요원 또는 생존자를 화재 열기로부터 보호할 뿐만 아니라, 온도조건에 따른 발광 및 알림음이 제공되고,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영상표시수단이 제공되기 때문에, 화재현장에서 소방요원 또는 생존자가 몸을 보호하면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캐리어용 보조바퀴장치에 있어서, 보조바퀴와, 상기 보조바퀴가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회전축지지부를 포함하는 보조바퀴유니트;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하부에 결합되며, 캐리어의 하면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캐리어의 하면에 지지되는 캐리어하면지지부; 일단이 상기 회전축지지부의 상부에 결합하는 막대형상의 로드부와, 내부에 상기 로드부를 수용하는 튜브부와, 상기 로드부가 상기 튜브부에 탄성적으로 삽입 및 인출되도록 일단은 상기 튜브부의 내면과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로드부의 타단과 결합하는 스프링부를 포함하며, 상기 튜브부에 상기 로드부가 삽입 및 인출됨에 의해 길이가 가변되는 가변유니트; 및 상기 튜브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캐리어의 상면을 향해 돌출되며, 상기 캐리어의 손잡이가 삽입되는 손잡이삽입공을 형성하여 상기 손잡이삽입공에 상기 손잡이를 삽입하면서 상기 캐리어의 상면에 지지되는 캐리어상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캐리어를 이동시 적은 힘으로도 계단을 손쉽게 오르내릴 수 있고 계단의 모서리로부터 캐리어의 배면 손상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별도로 캐리어를 구매하지 않고 기존에 소지하고 있던 캐리어에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실린더 바디 디버링 로봇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실린더 바디를 자동으로 디버링 가공할 수 있는 실린더 바디 디버링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실린더 바디를 디버링 가공하는 가공로봇; 상기 프레임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 바디를 상기 가공로봇 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동가이드부; 상기 이동가이드부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실린더 바디가 고정되는 클램프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가이드부를 고정 및 해제하는 고정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바디 디버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곤충사육용기 자동 반입/반출기는 좌측에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된 승하강 부재(20), 상기 승하강 부재(20)의 우측에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전후 이동 부재(30), 상기 전후 이동 부재(30)의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포크부(40), 상기 승하강 부재(20)의 좌측에 연장 배치되어, 상기 승하강 부재(20)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시키고, 곤충사육사의 천장 하부에 연장 배치되어, 상기 승하강 부재(20), 전후 이동 부재(30) 및 회전 포크부(40)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주행 모듈(50) 및 상기 승하강 부재(20), 전후 이동 부재(30), 회전 포크부(40) 및 주행 모듈(50)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모듈(60)을 포함하고, 상기 전후 이동 부재(30)는 전후 이동 프레임(33)의 상부에 배치되어,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제1 서보 모터(31), 상기 전후 이동 프레임(33)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서보 모터(31)에 축 결합되어, 상기 제1 서보 모터(31)에 의해 회동하는 제1 피니언 기어(32) 및 상기 제1 피니언 기어(32)의 회전력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 이동 프레임(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린더 바디가 공급되는 공급라인과, 상기 실린더 바디가 디버링 가공되어 배출되는 배출라인으로 구성되는 이송부;와, 상기 공급라인 배출측에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 바디를 세척하는 세척부;와,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상기 실린더 바디를 송풍 건조하는 건조부;와,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된 상기 실린더 바디를 디버링 작업되는 디버링부;와, 상기 공급라인, 세척부, 건조부의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공급라인의 실린더 바디를 그립하여 상기 세척부로 이동 및 상기 세척부의 실린더 바디를 상기 건조부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1핸들링로봇; 상기 건조부, 디버링부, 배출라인의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건조부를 통과한 실린더 바디를 그립하여 상기 디버링부에 이동 및 상기 디버링부의 실린더 바디를 상기 배출라인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제2핸들링로봇;이 포함되고, 상기 공급라인, 세척부 및 건조부는 상기 제1핸들링로봇 작업 회전 반경에 위치하고, 상기 건조부, 디버링부 및 배출라인은 상기 제2핸들링로봇 작업 회전 반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린더 바디 디버링 로봇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상 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마운트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세일을 펼치거나 접이할 수 있는 세일링 요트형 수상 로봇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상 로봇에 있어서, 소정의 부유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데크; 상기 데크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힌지; 상기 제1힌지에 힌지결합되는 마스트(Mast); 상기 마스트에 연결되는 세일; 및 상기 마스트를 제1힌지를 기준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마스트의 회전에 따라 세일이 펼쳐지거나 접이되는, 수상 로봇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상 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마운트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세일을 펼치거나 접이할 수 있는 세일링 요트형 수상 로봇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수상 로봇에 있어서, 소정의 부유 구조를 가지도록 구비되는 데크; 상기 데크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1힌지; 상기 제1힌지에 힌지결합되는 마스트(Mast); 상기 마스트에 연결되는 세일; 및 상기 마스트를 제1힌지를 기준으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마스트의 회전에 따라 세일이 펼쳐지거나 접이되는, 수상 로봇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누포장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비누 포장기는 비누가 포장되는 작업공간을 제공하되, 중앙부에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양 측방에 각각 설치되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포장지를 연속적으로 권출 및 권취시키는 좌측롤러 및 우측롤러를 포함하며, 포장지가 작업대의 저면에 작업대의 좌우방향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도록 하는 포장지 이송부와 상기 작업대의 저면측 전방에 배치되되, 상면에 성형이 완료된 비누가 안착되며 구동 실린더에 의해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여 작업대 상부로 비누를 이송시키며, 이 과정에서 비누의 상면 및 측면 일부구간이 포장지에 감싸지도록 하는 비누 공급부와 상기 작업대에서 일정높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비누 공급부에 의해 상면 및 측면 일부구간이 포장지에 감싸진 상태의 비누를 파지하는 그리퍼와, 상기 그리퍼를 연속 회전시켜 비누의 하단부가 포장되도록 하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파지부 및 상기 작업대의 상면에 설치되되, 상기 관통홀의 측방에 배치되며, 후단측 일부구간에는 커팅날이 장착되고 실린더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파지부에 의해 포장이 완료된 비누에 연결된 여분의 포장지를 커팅하는 커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포장기는 성형이 완료된 수제 자연비누를 하나씩 포장재에 넣어 밀봉시킴으로써 포장 품질이 우수하여 비누의 형태와 향이 장시간 유지되도록 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