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침목용 U볼트 고정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철도 침목의 하부에 구비되어 발리스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U볼트를 고정하는 U볼트 고정지그에 있어서,침목의 상부에 배치되는 사각틀 형태의 지그프레임과;침목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상기 지그프레임의 양측면으로부터 하부로 연장형성되는 한 쌍의 연결봉과;상기 한 쌍의 연결봉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U볼트의 양단부가 삽입되며, 너트가 체결되는 볼트체결고리를 포함하되, 상기 지그프레임은, 상기 침목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 한 쌍의 측면프레임과;상기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가로프레임은 상기 측면프레임 보다 일정 높이 높게 배치되고, 양단부가 하부로 경사지게 절곡되어 상기 측면프레임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측량장비용 삼각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 풀밭, 해안가와 같이 흙이나 모래, 자갈 등의 바닥이 불규칙한 지형에서 측량장비를 고정해주는 삼각대 다리의 스파이크를 개선하여 대리석, 아스팔트 등의 매끈하고 규칙적인 지형에서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측량장비를 고정할 수 있도록, 삼각대 다리에 미끄럼방지부재가 구비되는 특징을 갖도록 구성한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리석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규칙적이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 지형에서도 오차 없이 정확한 측정을 하는 것과 동시에 삼각대의 안전성을 높여 외부의 외력에도 삼각대가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하여 측량장비의 손상으로 인한 유지 및 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측량장비용 미끄럼방지 삼각대를 제공하는 것이며, 본 발명으로 인하여 어느 지형에서도 측정 시 발생하는 오차를 최소화 하여 정확하고 정밀한 측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일체형 검측기기(10)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기본레일(400)의 횡마모를 측정하는 기본레일 게이지(110), 텅레일(500)의 횡마모를 측정하는 텅레일 게이지(120), 기본레일(400)의 측면 기울기를 검측하는 삭정 게이지(130), 분기기 스퀘어를 검측하는 철자(140), 텅레일(500)의 유간 및 간격재 틈새 간격을 검측하는 틈새 게이지(160), 상기 기본레일 게이지(110)와 함께 기본 레일의 횡마모 이상 유무를 체크하는 측정편(150) 및 몸체(200)로 구성되어, 상기 다수의 검측기기(100)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상기 몸체(200)의 일단에 힌지 결합부(300)로 접철되어 고속 분기기에 사용하는 검측기기의 통합, 단순화를 통해 검측기기 취급시간 최소화로 검측시간 단축이 가능하고 휴대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으며, 또한, 일부 검측기기 가격이 고가인 점을 고려할 때 검측기기의 구입비용을 절감하는 경제성에도 큰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검측기기(1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탈선복구용 유압실린더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으로는 유압실린더가 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거치홈이 형성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타측으로는 길이조절을 위한 제 1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거치부재와; 상기 거치부재와 결합되고, 길이조절을 위한 제 2 길이조절부를 갖고 레일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길이를 가변하여 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선복구용 유압실린더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철도 중보선 장비 탈선 시 레일고정받침대 몸체부의 길이 조절과 지지력 확보를 위해 받침대를 개선·제작함으로써 400mm였던 기존 탈선복구 한계거리를 증가시켜 자체복구 가능 범위가 확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철도 중보선 장비 탈선 시 탈선되기 쉬운 주요 개소(포인트부, 리드부, 크로싱부)등 레일의 다양한 형상에도 기술 도입이 가능하게 되어 탈선복구시간을 단축하여 신속하게 열차안전운행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철도레일의 전환작업 시 사용하는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 저부 캐치용 공구는 철도레일의 일부분에 끼워지는 레일지지부, 상기 레일지지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레일지지부가 위치되는 반대방향에 바결합공이 형성된 바결합부, 상기 철도레일을 전환 시, 상기 바결합부를 들어올리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상기 바결합부에서 상기 레일지지부가 꺾이도록 상기 바결합부와 상기 레일지지부를 연결하는 꺾임힌지부, 상기 바결합부에서 상기 레일지지부가 꺾인 상태에서 상기 레일지지부가 최초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바결합부에서 상기 레일지지부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복귀스프링, 및 상기 바결합공에 결합되어 힘을 가하는 막대형상의 손잡이바를 포함한다. 따라서, 철도레일의 전환작업 시 공구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철도레일을 보수 시 사용하는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보수용 다용도 공구는 서로 다른 공구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끝단에 탈착공이 형성된 복수 개의 공구헤드, 상기 복수 개의 공구헤드 중 어느 하나의 탈착공에 끼워지는 헤드끼움부가 형성된 공구지지부, 상기 공구지지부와 일직선상에 배치되고 상기 공구지지부가 위치되는 반대방향에 바결합공이 형성된 바결합부, 상기 공구본체에 힘이 가해지는 반대방향으로 힘이 가해질 때, 상기 바결합부에서 상기 공구지지부가 꺾이도록 상기 바결합부와 상기 공구지지부를 연결하는 꺾임힌지부, 상기 바결합부에서 상기 공구지지부가 꺾인 상태에서 상기 공구지지부가 최초위치로 복귀하도록 상기 바결합부에서 상기 공구지지부를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복귀스프링, 및 상기 바결합공에 결합되어 힘을 가하는 막대형상의 손잡이바를 포함한다. 따라서, 운반이 용이하여 복구인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선장비용 실린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레임의 내부에 탄성 복원력을 통해 실린더를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를 구비하여 선로 보선작업시 실린더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함으로써, 실린더 로드가 휘어지거나 삽날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선로보수 효율을 향상시키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보선장비용 실린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Y축 방향으로 위치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을 위한 체결 홀이 형성된 Y축 프레임과, 상기 Y축 프레임의 양측에 X축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실린더 수용부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가이드 프레임과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 X축 프레임과, 상기 Y축 프레임의 체결 홀을 통해 체결되어 상기 X축 프레임의 내부 일 측에 위치하며 실린더의 유동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체를 포함하는 보선장비용 실린더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체는 일단 부분이 상기 Y축 프레임의 체결 홀에 삽입되어 너트에 의해 고정되는 하나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지는 볼트 형태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외 측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탄성력을 형성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지주의 타 단부분과 결합 되며 실린더의 외면을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도 분기기 크로싱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모에 취약한 노즈레일의 교체가 쉽도록 하고 단차에 의한 충격과 진동을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철도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유지보수 주기를 연장토록 하는 철도 분기기 크로싱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철도 분기기 크로싱에 있어서, 한 쌍의 X자 형태의 윙 레일(wing rail) 사이에 설치되고, 크로싱 교차점에 위치하는 선단 상부는 중앙이 뾰족하며 선단에서부터 후단 방향으로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는 노즈(nose)부가 형성되며, 양쪽 측면은 긴밀한 결합과 원활한 분리를 위해 상부는 넓고 하부는 상부보다 좁은 경사부가 형성된 노즈레일과; 상기 노즈레일의 경사부를 통해 좌, 우로 결합 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노즈레일과 조립할 때 레일 상면 높이 차이에서 발생하는 단차를 없애기 위해 일 측면은 선단에서부터 노즈레일과 결합 되는 부분까지 뾰족한 사선을 이루는 텅 레일 형태의 결합부가 형성된 후단레일과; 상기 노즈레일과 윙 레일의 사이, 후단레일과 윙 레일의 사이 및 후단레일의 사이, 윙 레일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각 레일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체결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측면으로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 하로는 체결구의 체결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는 개방부가 형성된 간격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운행 중인 에스컬레이터에서 보행하거나, 뛰는 고객만을 감지하여 부저, 경광등, 경고방송을 통한 경각심을 갖게 하여 운행 중인 에스컬레이터에서는 뛰거나 보행하지 않도록 유도하여 전도 사고를 예방하고자 함과 동시에, 기기부품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에스컬레이터 운행 중 보행고객 경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에스컬레이터 스커드(벽면)에 부착되어 에스컬레이터 이용 고객 중 보행고객 또는 뛰는 고객이 있는 경우에 보행하는 속도나 뛰는 속도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감지센서부; 에스컬레이터 운행 중 보행고객 경보를 위한 프로그램으로, 최초 전원 투입 시, 평상시 안내방송이 셋팅값(시간) 간격으로 상시 송출되고, 보행고객이나 뜀 고객이 있는 경우 경광등이나 경보음 및 보행금지 안내방송을 송출하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전송받는 통신부, 상기 프로그램에 대한 연산프로그램과 이에 의한 연산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통신부 및 저장부를 제어하며, 상기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감지결과를 연산하여 경광등(부저)과 음성 송출부를 통해 뛰거나 보행 중인 고객에게 경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프로그램부; 상기 프로그램부에 의하여 보행고객 감지시 경광등 동작, 설정된 시간 동안 경고음과 부저 동작을 수행하는 경광등(부저); 및 상기 프로그램부에 의하여 보행고객 감지시 경광등 동작, 설정된 시간 동안 경고음(부저) 동작 후 동작신호가 입력되면, 스피커로 경고방송을 송출하는 음성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컬레이터 운행 중 보행고객 경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철도 선로보수에 사용되는 트롤리 차량의 제동장치 점검을 위한 제동시험기로서, 공압을 공급하는 외부 컴프레서와 연결될 수 있는 외부공압입력 커플링; 입력측이 상기 외부공압입력 커플링과 연결되고, 2개의 출력을 가지며, 상기 공압을 통과 또는 차단시킬 수 있는 메인밸브; 입력측이 상기 메인밸브의 제1 공압 출력에 연결되는 공기서비스유니트 ON/OFF 밸브; 입력측이 상기 공기서비스유니트 ON/OFF 밸브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공기서비스유니트; 상기 공기서비스유니트의 출력측에 연결되며, 트롤리 차량의 제동장치에 공압을 공급하기 위한 공압호스가 연결되는 주공기 커플링; 입력측이 상기 메인밸브의 제2 공압 출력에 연결되는 압력조정기 ON/OFF 밸브; 입력측이 상기 압력조정기 ON/OFF 밸브에 연결되는 압력조정기; 상기 압력조정기 출력측에 연결되는 보조공기탱크 입력 ON/OFF 밸브; 입력측이 상기 보조공기탱크 입력 ON/OFF 밸브에 연결되며 압력계를 구비한 보조공기탱크; 입력측이 상기 보조공기탱크 출력측에 연결되는 제동밸브; 입력측이 상기 제동밸브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제동압력계; 상기 제동압력계의 출력측에 연결되며, 트롤리 차량의 제동장치 제어용의 파일럿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압호스가 연결되는 파일럿 커플링; 및 상기 제동압력계의 출력측과 상기 파일럿 커플링 사이에서 상기 제동압력계의 출력측에 연결되는 완해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철도분기기 길이조절용 조절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철도분기기 길이조절용 조절간은 한 쌍의 텅레일 사이 측에 상기 한 쌍의 텅레일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연결판; 및 상기 한 쌍의 텅레일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길이가 조절된 후, 상기 한 쌍의 연결판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텅레일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 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철도분기기 길이조절용 조절간은 한 쌍의 텅레일 사이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철도분기기 조절간의 길이를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어, 철도분기기 조절간을 한가지 규격으로 제작 가능하므로 경제적이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일 전동 바이크 시스템은, 차체(110), 상기 차체(110) 상에 구비되며 전동 모터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동력 수단(120), 상기 동력 수단(120)의 전원 ON/OFF, 속도 조절, 방향 조절을 포함하는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121), 상기 차체(110) 상에 부착되는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2a), 상기 차체(110)에 탑승하는 승객이 휴대하는 이용표 상에 부착되는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2b), 상기 차체(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동력 수단(120)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차체(110)가 레일(R)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레일(R)과 맞물려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주 바퀴(130),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상기 차체(110) 상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의자(140) 및 상기 차체(110) 하부에 고정 구비되며 상기 동력 수단(120)에 의하여 구동되는 회전축(151)에 일측 끝단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암(152)의 타측 끝단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151)이 회전하여 상기 암(152)이 펼쳐지면 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차체(110)가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져 상기 레일(R)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상기 차체(110)를 지지하고, 상기 동력 수단(120)에 의하여 구동되고, 상기 차체(110)가 지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보조 바퀴(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암(152)은 상기 차체(110) 하단면과 상기 레일(R) 상단면까지의 거리보다, 상기 회전축(151)으로부터 상기 암(152)을 따라 연장되는 방향에 대한 상기 보조 바퀴(150)의 끝단까지의 거리가 더 크도록 그 길이가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 전동 바이크(100); 상기 레일(R)을 따라 각각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1a) 및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1b)를 식별하는 다수 개의 RFID 리더(200); 컴퓨터를 포함하는 연산처리수단으로 구현되며, 상기 RFID 리더(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RFID 리더(200)에서 식별한 상기 차량 식별용 RFID 태그(121a) 및 상기 승객 식별용 RFID 태그(121b)의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레일 전동 바이크(100) 및 상기 이용표를 휴대한 승객의 위치를 파악하는 관리 수단(3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식 우산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건물 또는 공공장소의 실내오염 방지와 일회용품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우산에 남아있는 빗물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압축공기를 우산으로 분사하되, 우산을 식별하여 작동되고, 배터리의 이용으로 이동이 용이하며, 추가적으로 우산에 잔존되는 빗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 이동식 우산 건조기 및 우산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증기세척을 대신하여 보일러 튜브 내부의 이물질을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게 제거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구성은 자기력으로 금속성분의 이물질을 흡착하는 자석을 구비한 금속 제거유닛(100)과, 상기 금속 제거유닛과 결합하고 상기 금속성분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에서 잔류하는 비금속성분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는 진공흡입유닛(300) 및, 튜브 내부를 촬영하여 사용자가 상기 금속 제거유닛(100)과 진공흡입유닛(300)을 조작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튜브 내부의 청소 상태를 촬영하며, 상기 금속 제거유닛과 결합하는 촬영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 제거유닛(100)은, 자석(10)과; 상기 자석(10)을 수용하는 수용 홈(22)이 형성된 자석 수용부재(20)와; 상기 자석 수용부재(20)에 결합하는 몸체(30); 및 상기 몸체(30)와 회전 링크(50)를 개재하여 결합하는 무게 추(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