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브용 보수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밸브용 보수장치는: 밸브부에 고정되는 하우징부와, 하우징부를 따라 승하강되는 승하강부와, 승하강부와 같이 이동하면서 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을 전달받아서 승하강부의 내측에서 회전되는 회전부 및 회전부에 연결되며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밸브부를 가공하는 가공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업용 안전발판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작업용 안전발판는: 본체부의 내측으로 장착공간을 형성하는 장착홈부와, 장착홈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몸체부와, 회전몸체부에 힌지 연결되며 장착홈부에 접혀져서 수납되는 접철손잡이 및 접철손잡이의 회전에 따라 회전몸체부와 같이 회전되어 본체부를 지지하는 고정부재에 탈착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면 부유식으로 태양전지 모듈을 설치한 수면 부유식 태양광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면에 부유되는 바닥부, 바닥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덮개부, 덮개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태양전지 모듈 및 태양전지 모듈을 덮개부에 고정시키는 모듈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용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서, 벨트와 접촉되는 이동부와, 이동부에 구비되고 벨트의 낙하물을 제거하는 낙탄제거부 및 이동부를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컨베이어용 클리너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컨베이어용 클리너는 벨트에 낙하된 낙하물을 안정적으로 제거하여 벨트 컨베이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백하우스 및 이를 구비한 순환유동층보일러용 하이브리드 집진설비에 관한 것으로, 연소가스유입덕트와 처리가스배기덕트를 갖는 케이싱, 및 이 연소가스유입덕트에 형성되어 유입되는 연소가스에 포함된 수은을 제거하기 위해 활성카본을 공급하는 활성카본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순환유동층보일러의 노 내에서 일차 탈황과 이산화황 제거 후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전기집진기와 반건식 탈황장치 및 백하우스에 연이어 거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탈황 과정을 거쳐 노내 탈황 규제치를 충족할 수 있고, 백하우스에 카본을 주입하여 연소가스에 포함된 수은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반건식 탈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순환유동층보일러용 하이브리드 집진설비에 관한 것으로, 연소가스유입구와 탈황반응물배출구와 처리가스배출구를 형성하는 케이싱, 및 이 케이싱 일측에 형성되어 기체로부터 탈황 유도하는 솔벤트액을 분사하는 솔벤트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순환유동층보일러의 노 내에서 일차 탈황과 이산화황 제거 후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전기집진기와 반건식 탈황장치 및 백하우스에 연이어 거치도록 함으로써 복수의 탈황 과정을 거쳐 노내 탈황 규제치를 충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력발전용 물 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 발전공정에서 요구하는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발전공정에서 요구하는 수질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화력발전용 물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상여과수를 집수하는 단계와, 해수를 집수하는 단계와, 해수의 염분을 제거하는 단계와, 하상여과수를 해수에 혼합하고 해수의 염분을 제거하는 단계와, 염분이 제거된 물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용 물 공급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발전설비에 부착된 유비쿼터스 센서와의 통신을 통해 설비 이력을 검색하고 계측 데이터를 자동으로 입력받아 발전설비를 유지보수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 유비쿼터스 기반의 발전설비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설비에 장착되어 데이터를 계측하고 설비식별 태그를 갖고 유비쿼터스 센서;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를 인식하고, 설비관리 서버로부터 설비이력을 수신하며, 상기 유비쿼터스 센서로부터 계측 데이터를 입력받아 설비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설비점검 단말기; 및 상기 설비점검 단말기에 설비이력을 제공하고, 상기 설비점검 단말기로부터 상기 계측 데이터를 전송받아 설비이력에 저장하고 관리하는 설비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전소용 폐열 재활용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전소용 폐열 재활용장치는: 발전용 증기터빈을 냉각시키고 배출되는 냉각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송관로에 연결되며, 냉각유체의 흐름을 강제하는 펌프가 복수로 구비되는 멀티펌프부와, 멀티펌프부와 연결되며 작동유체와 냉각유체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가 복수로 구비되는 멀티열교환부 및 멀티열교환부와 연결되는 관로에 설치되어 작동유체와 냉각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멀티밸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를 이용한 복합 발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연료가스를 공급받아 전기 화학 반응을 일으킴으로서 고온의 배기가스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스택, 및 이 연료전지스택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열기를 복합 발전 계통으로 재활용하는 폐열재활용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고온형 연료전지인 용융탄산염 연료전지(MCFC: Molten Carbonate Fuel Cell)의 성능을 개선하여 복합화력발전 시스템과 연계함으로서 연료전지로부터 발생되는 폐열의 자원 재활용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력발전소의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가스연료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연료공급부, 이 연료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가스연료를 탈황처리하는 탈황처리부, 이 탈황처리부를 거치며 탈황처리된 가스연료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 이 탈황처리부를 거친 가스연료와 물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혼합하여 습분연료를 형성하는 습분연료생성부, 이 습분연료생성부로부터 생성된 습분연료를 개질하고 메탄을 제외한 고 탄화수소를 제거하는 연료전처리부, 및 이 연료전처리부로부터 메탄가스를 공급받아 전기 화학 반응을 일으킴으로서 배기가스를 발생시키는 연료전지스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고온형 연료전지인 용융탄산염 연료전지를 통해 발생되는 중저온의 폐열을 메인발전기의 워밍업용 연료로 재활용함으로써 기존에 구비되는 보조보일러를 제거할 수 있어 유지, 보수비용을 줄일 수 있고, 중저온의 폐열에 포함된 수소가스를 포집하여 그린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어 신재생에너지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에 관한 것으로, 기초단 위에 설치되는 방파제; 방파제에 묻혀 고정되고, 방파제에 의해 지지되는 플레이트부; 및 플레이트부와 결합되는 풍력발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력발전기를 방파제에 설치하므로 바다 바닥에 설치하는 것에 비해 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에 구비되는 연돌 일체형 건물에 관한 것으로서, 발전부에서 폐기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연돌부; 및 연돌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건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에 구비되는 연돌 일체형 건물은 연돌부와 건물부를 일체화 시켜 줌으로써, 혐오시설인 연돌부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 연돌부 주변 부지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화력발전소에 구비되는 연돌 일체형 건물에 관한 것으로서, 발전부에서 폐기되는 가스가 배출되는 연돌부; 및 연돌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건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력발전소에 구비되는 연돌 일체형 건물은 연돌부와 건물부를 일체화 시켜 줌으로써, 혐오시설인 연돌부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 연돌부 주변 부지에 대한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화력발전용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이 부족한 지역에서 발전공정에서 요구하는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고, 발전공정에서 요구하는 수질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화력발전용 물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상여과수를 집수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1집수부와, 해수를 집수하고 이물질과 염분을 제거하는 제2집수부와, 발전공정에 사용된 폐수를 집수하고 이물질을 제거하여 상기 제2집수부에 공급하는 제3집수부와, 제1집수부와 제2집수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담수하는 탱크와,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순수로 변환시키는 정수부를 포함하는 화력발전용 물 공급장치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