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에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입설되는 다수개의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에 직각방향으로 결합되어 차량의 충돌에 직접 접촉하여 방호하는 상단 레일, 하단 레일과, 상기 상단 레일과 하단 레일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상단 레일과 하단 레일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면서 차량의 충돌에 잘 휘어지지 않도록 강도를 높여주는 레일보강대로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충돌에도 충격을 분산시켜 강도 및 방호력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고속도로 및 일반국도에 설치되어 차량을 방호하는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상기 도로에 길이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입설되고, 상기 차량의 충돌시 부러지지 않도록 충분한 강도를 유지하도록 단면상 "Z" 형태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상단부 양측에 직각으로 결합되어 차량의 충돌에 직접 접촉하여 방호하는 상단 레일과; 상기 상단 레일의 하단부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지주대의 하단부 양측에 결합되고, 차량의 충돌에 직접 접촉하여 방호하는 하단 레일과; 상기 상단 레일과 하단 레일에 동시에 결합되어 상기 상단 레일과 하단 레일의 간격을 유지시켜주면서 차량의 충돌에 잘 휘어지지 않도록 강도를 높여주는 레일보강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정화된 쌀겨와 쌀눈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안정화된 쌀겨와 쌀눈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현미를 도정하여 얻은 미강을 30~40 mesh의 진동체를 통해 쌀눈과 쌀겨를 분리하는 제1단계, 상기 분리된 쌀겨를 110~130℃에서 5~20분동안 건열처리한 후 냉각시켜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이 억제되어 안정화된 쌀겨를 제조하는 제2단계, 상기 분리된 나머지 쌀눈은 140~160℃에서 5~20분동안 건열처리한 후 냉각시켜 지방산화효소의 활성이 억제되어 안정화된 쌀눈을 제조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제 2단계에서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이 억제되어 안정화된 쌀겨 또는 상기 제 3단계에서 지방산화효소의 활성이 억제되어 안정화된 쌀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쌀눈과 쌀겨를 각 분리하여 별도로 안정화시켜 얻은 안정화된 쌀겨 또는 안정화된 쌀눈을 함유함으로써 장기 사용이 가능함과 동시에 우수한 미백효과 및 보습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미강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미강의 안정화 방법은 현미를 도정하여 싸라기가 함유된 미강을 얻는 제1단계; 비중 분리에 의해 상기 미강으로부터 상기 싸라기를 제거하는 제2단계; 상기 싸라기가 제거된 상기 미강을 30~40 mesh의 진동체를 통해 쌀눈과 쌀겨로 분획하는 제3단계; 상기 분획된 쌀겨를 110~130℃에서 5~20분동안 건열처리한 후 냉각시켜 지방분해효소의 활성이 억제되어 안정화된 쌀겨를 제조하는 제4단계 및, 상기 분획된 나머지 쌀눈은 140~160℃에서 5~20분동안 건열처리한 후 냉각시켜 지방산화효소의 활성이 억제되어 안정화된 쌀눈을 제조하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해, 쌀눈과 쌀겨를 각 분리하여 별도로 안정화시키는 미강 안정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 전압 추가 결선 작업시 상 전압 추가를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개선형 PT 단자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 전압 추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단자대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단자대는 상 전압 추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단자대로서, 단자대 본체; 상기 단자대 본체에 위치되는, A상이 입출력되는 두 개의 접속 단자들; 상기 단자대 본체에 위치되는, B상이 입출력되는 두 개의 접속 단자들; 상기 단자대 본체에 위치되는, C상이 입출력되는 두 개의 접속 단자들; 상기 단자대 본체에 위치되는, N상이 입출력되는 두 개의 접속 단자들; 및 상기 단자대 본체에 위치되는, 각각 A상, B상, C상 및 N상을 분기하기 위한 복수의 분기용 접속 단자들을 포함하고, 상기 A상이 입출력되는 두 개의 접속 단자들 및 상기 A상을 분기하기 위한 복수의 분기용 접속 단자들이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B상이 입출력되는 두 개의 접속 단자들 및 상기 B상을 분기하기 위한 복수의 분기용 접속 단자들이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C상이 입출력되는 두 개의 접속 단자들 및 상기 C상을 분기하기 위한 복수의 분기용 접속 단자들이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N상이 입출력되는 두 개의 접속 단자들 및 상기 N상을 분기하기 위한 복수의 분기용 접속 단자들이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은 전원 인가 여부에 따라 자기유도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에 의해 CT 회로와 연결되는 접점을 단락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기 접촉식 계기용 변류기(CT)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전원 인가시 자기력을 형성하는 자기 유도부; 상기 자기 유도부의 자기력에 의해 전진하고, 탄성력에 의해 후진하는 작동부; 상기 작동부의 전진시 하강하여 접점을 단락시키고, 상기 작동부의 후진시 상승하여 접점을 개방하는 후크부; 및 상기 후크부의 상승과 하강을 안내하는 후크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공어초용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천이나 바다에 부유(浮游)하는 복수 개의 부유체, 이 부유체 각각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탁방지막, 및 이 오탁방지막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하천 바닥이나 해저면에 구비되는 메인앵커블록을 포함하고, 메인앵커블록을, 하천이나 바다의 해저면에 구비되는 본체, 이 본체와 부유체에 구비되어 오탁방지막을 연결하는 연결고리부재, 및 이 본체에 상하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해저면의 해조류들이 자라나도록 허용하는 메인성장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오탁방지막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하천이나 바다의 해저면에 고정되는 앵커블록을 공사 완료 후 수거하지 않고 인공 어초로 활용할 수 있도록 형상 변경함으로써 수거에 따른 폐기물처리비용을 줄일 수 있고, 수거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의 열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를 운반하는 컨베이어벨트의 이송방향을 따라 왕복 이송되는 게이트, 및 이 게이트에 연결되어 이동하며 컨베이어벨트 위의 연료 온도를 실시간으로 설정 온도와 비교하는 열감지센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컨베이어벨트를 통해 공급되는 연료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감시하여 발열 가능한 온도를 검출시 자동적으로 물을 분사시킴으로써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재 발생 가능한 부위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다.
기력발전소의 보일러 안전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기력발전소의 보일러 안전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력발전소의 보일러 안전장치는, 제1보일러의 제1과열기의 제1영역에서 과열증기를 배출하는 제1주증기배관와, 제1보일러의 제1과열기의 제2영역에서 과열증기를 배출하는 제2주증기배관와, 제2보일러의 제2과열기의 제1영역에서 과열증기를 배출하는 제3주증기배관와, 제2보일러의 제2과열기의 제2영역에서 과열증기를 배출하는 제4주증기배관와, 제1,제3주증기배관을 병합하여 과열증기를 터빈으로 공급하는 제5주증기배관와, 제2,제4주증기배관을 병합하여 과열증기를 터빈으로 공급하는 제6주증기배관와, 터빈에서 배출되는 저온 또는 고온의 재열증기를 복귀하여 제1보일러의 제1,제2재열기로 공급하는 제1,제2재열증기배관과, 제1,제2,제3,제4주증기배관에 설치되어 제1보일러와 제2보일러의 불균형 운전을 조절하는 제1밸브설치부와, 제1,제2재열증기배관에 설치되어 제1보일러와 제2보일러의 불균형 운전을 조절하는 제2밸브설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냉각 및 세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냉각 및 세정장치는, 태양광을 입사 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 모듈과, 태양광 모듈 상에 묻은 이물질에 공기,물,세정액 중에 적어도 어느 하나를 연결관을 통해 공급하여 표면을 냉각 또는 세정하는 다수의 분사노즐과, 다수의 분사노즐을 고정한 상태로 태양광 모듈의 전체 면으로 왕복 이동하는 왕복이동부재과, 왕복이동부재에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태양광 모듈과 왕복이동부재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케이블 트레이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케이블 트레이는: 상호 대응되도록 이격되는 한 쌍의 수직바와, 수직바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바와, 수평바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수직바에 접하는 연결브라켓 및 수평바에 안착되고, 케이블이 정렬되는 케이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발전플랜트의 해수 취수설비에 관한 것으로, 해수(海水)를 저장하는 집수조, 이 집수조에 연결되어 해수를 공급받음으로써 보일러에서 연료의 연소열에 의해 발생하는 과열증기(Superheated steam)를 응축하는 복수기, 및 이 집수조에 저장된 해수에 방오도료를 공급함으로써 해수의 흐름 경로를 따라 해수에 포함된 해양물질의 부착을 방지하는 방오도료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해수를 집수(集水)하는 집수조에 친환경 소재인 방오도료(防汚塗料)를 공급함으로써 해수를 발전플랜트의 복수기로 공급시 배관이나 설비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기존에 방오를 위한 차아염소산설비가 불필요하여 설비비를 줄일 수 있고, 해수를 집수조로 공급하는 취수관에 게이트와 맨홀을 구비하여 맨홀을 통해 사람이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취수관 내부를 주기적으로 쉽게 청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직류전원 상태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직류전원의 음극단자와 접지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여 지락상태를 판단하는 지락상태측정부, 직류전원의 전원공급상태를 표시하는 전원상태표시부 및 지락상태측정부에서 판단한 지락상태의 방향 및 크기를 색상으로 구분하여 단계적으로 표시하는 지락상태표시부를 포함하되, 지락상태측정부는 전압의 크기가 직류전원의 중간전압값을 기준으로 설정되는 기준전압범위 이상이면 직류전원의 양극단자에 지락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전압이 기준전압범위 이하이면 직류전원의 음극단자에 지락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은 직류전원에 발생한 지락의 방향과 크기를 동시에 표시함으로써, 직류전원의 유지관리에 편의성을 제공하고, 낮은 비용으로 간단하게 직류전원의 지락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증기터빈의 수분 유입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중압터빈 출구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부, 탈기기 입구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부, 증기터빈 내 수분의 유입을 경보하는 경보부 및 중압터빈 출구의 온도 변화율과 탈기기 입구의 온도 변화율을 산출하여 중압터빈 출구의 온도 변화율을 제1온도기준치와 비교하고, 탈기기 입구의 온도 변화율을 제2온도기준치와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라 경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발명을 통해 증기터빈 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날개의 손상에 의한 인명사고 및 대형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복수기의 순환수 온도측정장치는: 복수기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중공 형성되는 가이드파이프와, 가이드파이프에 삽입되어 복수기의 순환수와 접촉되고, 가이드파이프에 결합되는 보호관과, 보호관에 내장되는 온도계 및 보호관과 가이드파이프 사이에 개재되어 보호관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진동감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