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집 추정 방법은, a) 전층이 무허가인 주택들을 1차 추출하는 것과, b) 상기 1차 추출된 주택들 중 도로명 주소를 갖고, 전기 사용량이 기준사용량 이하이거나 전기 사용량 변화율이 기준사용량변화율 이하인 주택들을 2차 추출하고, 상기 2차 추출된 주택들을 빈집으로 추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물은, 전기 사용량이 기준사용량 이하이거나 전기 사용량 변화율이 기준사용량변화율 이하인 주택들과, 상수도 사용량이 기준사용량 이하이거나 상수도 사용량 변화율이 기준사용량변화율 이하인 주택들과, 공폐가들을 1차 추출하는 것과, 상기 1차 추출된 주택들 중 건축물 대장이 존재하는 주택들을 2차 추출하는 것과, 상기 2차 추출된 주택들 중 건축연수가 기준연수를 초과하거나 및/또는 RC/SRC 이외의 건축물 구조/지붕 구조를 갖는 주택들을 3차 추출하고, 상기 3차 추출된 주택들을 빈집으로 추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빈집 추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해수전지 셀의 제작을 위해 천공된 장착홀을 갖는 라미네이트 필름과 상기 장착홀에 결합되는 세라믹을 융착하는 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수전지 셀 제작용 세라믹-라미네이트 융착장치는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에 안착되며 융착대상물인 세라믹과 라미네이트 필름을 지지하는 지그부와,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그부에 안착된 세라믹과 라미네이트 필름을 가열 및 가압하는 가열판 및 상기 가열판을 상하로 승강구동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상부금형을 구비하며, 상기 지그부는 상면에 하방으로 소정깊이 인입된 인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지그본체와, 상기 지그본체의 인입홈에 안착되는 완충부재와, 상기 인입홈의 내벽에 가장자리가 접촉하도록 상기 인입홈의 형상과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세라믹의 장착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홀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은 상기 가이드부재의 가이드홀에 삽입되며, 세라믹의 상부에 상기 세라믹의 위치에 대응하는 구멍이 천공된 라미네이트 필름이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석탄이 연소된 후에 발생되는 석탄재를 회처리수와 슬러리하여 회사장으로 이송시키는 회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파이라이트 탱크와 회 이송 탱크와 연동하며 회 슬러리 펌프의 후단에 설치되는 리시버 탱크유닛, 상기 파이라이트 탱크에서 배출된 석탄재를 상기 리시버 탱크유닛으로 유입시키는 제4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리시버 탱크유닛은 상기 석탄재 내의 회(ASH)와 파이라이트를 회처리수와의 비중 차이로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처리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이물질을 걸러서 분리시키는 스크린망, 상기 스크린망을 작동시키도록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스크린 이송부, 상기 스크린 이송부와 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 이송부를 회전시키는 스크린 구동부, 및 상기 스크린 이송부와 상기 스크린 구동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회전망스크린을 위한 하중 감지 및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양 종단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덮개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양 종단에 가해지는 스크린망 하중들에 대한 하중 신호들을 생성하는 하중 감지부들; 상기 하중 감지부들로부터 상기 하중 신호들을 전송받아, 상기 스크린망 하중들에 대한 하중값들과 상기 하중값들 사이의 하중 차이값을 산출하고, 상기 하중값들 및 상기 하중 차이값을 대응하는 기준값들과 비교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하중 제어부; 및 상기 하중 제어부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스크린 이송부의 상하 변위를 제어하는 제어 구동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망스크린을 위한 하중 감지 및 제어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회전망스크린을 위한 하중 감지 및 제어 장치는 스크린망 하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안정적인 회전망스크린의 구동을 위하여 회전망스크린의 상하 변위를 자동적으로 제어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을 걸러서 분리시키는 스크린망, 상기 스크린망을 이송시키도록 샤프트를 중심으로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스크린 이송부, 및 상기 스크린 이송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크린 이송부를 회전시키는 스크린 구동부를 포함하는 회전망 스크린의 작동에 따른 경보 신호를 생성하는 회전망 스크린 경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구동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크린망의 이송에 따른 상기 스크린 구동부의 운전전류값을 검출하여 상기 운전전류값에 대응되는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전류 검출부; 및 상기 전류 검출부로부터 상기 검출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운전전류값에 따른 경보신호를 생성하는 경보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망 스크린 경보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회전망 스크린 경보 장치는 스크린 회전망의 작동에 따른 운전전류값을 검출하고, 운전전류값에 대응되는 회전망 스크린의 작동 상태를 작업자에게 제공하여, 회전망 스크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방지하면서 회전망 스크린을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화력 발전소에서 발전기 속도 조정률 및 출력 변화률을 계산하는 방법과 그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력 장치, 출력 장치, 연산 장치 및 저장 수단을 구비하는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되는 주파수 조정 운전 프로그램을 이용한 화력 발전소에서 발전기의 속도 조정률을 계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주파수 신호(Gov Free On)에 의해 아날로그 입력값이 지연되어 출력하는 아날로그 지연 함수와 상기 아날로그 입력값과 상기 아날로그 지연 함수의 출력값의 차이를 계산하는 ∑(Summming) 함수와 상기 ∑ 함수의 출력값을 입력으로 받아 계산된 제 1 기준치에 따라 Set/Reset 함수를 제어하는 H//L 함수에 의해 주파수의 변화 시점 및 변화 종료 시점을 감지하는 단계; (b) 상기 주파수의 변화 시점에 주파수의 차이값(Error)을 홀딩(Holding)하여 기억하고, 변화하고 있는 주파수 차이값과 홀딩된 상기 주파수 차이값을 입력으로 받은 ∑1 함수에 의해 주파수 변화량을 연산하는 단계; (c) 상기 주파수의 변화 시점의 출력값을 홀딩하여 기억하고, 변화하고 있는 출력값과 홀딩된 상기 출력값을 입력으로 받은 ∑2 함수에 의해 출력 변화량을 연산하는 단계; 및 (d) 상기 주파수 변화량과 상기 출력 변화량이 제 2 기준치 이상되면, 상기 주파수 변화량은 T3 함수의 입력으로, 상기 출력 변화량은 T4 함수의 입력이 되도록 하고, T3 출력값을 정격 주파수(60 Hz)로 나눈 수치와 T4 출력값을 정격 출력(500 MW)으로 나눈 수치의 백분률 비를 구하여 속도 조정률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주파수 조정 운전 프로그램은 상기 속도 조정률을 실시간으로 측정 및 감시하여 상기 속도 조정률이 기준치(5.5) 이상이면, 주파수 변화량만큼 터빈 밸브를 더 열거나 닫아서 출력이 추가로 변화할 수 있도록 터빈 밸브 콘트롤러에 선행 제어 신호를 가감해주어 계통 주파수(60 Hz)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력 발전소에서 발전기의 속도 조정률 및 출력 변화률을 계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파수 조정 운전(속도 조정률 및 출력 변화률)이 실시간으로 측정 및 감시가 가능하므로 주파수 조정 운전의 기준치에 미달하는 경우, 터빈 콘트롤러에 선행 제어 신호를 전송, 제어하여 계통 주파수(60 Hz)를 유지함으로써 계통 불안정 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헤더 스터브 튜브(header stub tube)에 결합되며, 상기 헤더 스터브 튜브의 용접부를 원주 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스캐닝하여(scanning) 스캔 신호를 생성하는 스캐너부; 상기 스캐너부와 연결되며, 상기 스캔 신호를 상기 스캐너부로부터 취득하여 디지털 형태로 변환, 저장하는 신호취득부; 및 상기 스캐너부와 연결되며, 상기 스캐너부가 상기 용접부를 스캔하도록 상기 스캐너부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더 스터브 튜브 용접부의 검사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헤더 스터브 튜브 용접부의 검사 장치는 자동적으로 용접부를 스캐닝하여 결함 여부를 검출하고 다양한 직경을 갖는 헤더 스터브 튜브에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은 호퍼 레벨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도압관 및 호퍼 레벨 감지부를 이용하여 호퍼 레벨을 감시하는 호퍼 레벨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형상이며, 부압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떨어진 미세 먼지를 저장하는 호퍼; 호퍼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호퍼의 측면에 위치되고, 일단이 호퍼의 내부와 연통된 복수 개의 도압관들; 및 도압관의 타단에 설치되어, 도압관의 일단이 미세 먼지에 의해 폐쇄되는지 여부에 따라 호퍼 레벨을 감지하는 호퍼 레벨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냉각수에 의해 공기를 냉각시키는 공기조화기(110); 내부에서 순환되는 냉매를 통해 냉각수를 냉각시키는 냉동기(120); 냉각수를 냉동기(120) 및 공기조화기(110)를 경유하여 순환시키는 주냉각수로(111); 공기조화기(110)를 경유한 냉각수를 냉동기(120)를 거치지 않고, 공기조화기(110)로 유도하는 보조 냉각수로(112); 주냉각수로(111) 및 보조 냉각수로(112)와 연결되어, 공기조화기(110)를 경유한 냉각수를 냉동기(120) 또는 보조 냉각수로(112) 중 어느 하나로 유도하는 전환 밸브(113); 폐쇄 냉각수를 순환시켜 발전소 설비(134)를 냉각시키되, 발전소 설비(134)를 경유하기 전의 폐쇄 냉각수의 일부를 냉동기(120)로 유도하여(FCCW2) 냉각수와 열교환한 후의 냉매와 열교환시킨 후, 발전소 설비(134)를 경유한 폐쇄 냉각수(FCCW1)와 합류시키고, 합류된 폐쇄 냉각수(FCCW1+FCCW2)의 일부(FCCW1+FCCW2-FCCW3)를 해수와 열교환하여 냉각시키고, 해수와 열교환된 폐쇄 냉각수의 일부(FCCW4)를 합류된 폐쇄 냉각수의 나머지 일부(FCCW3)와 혼합시켜 발전소 설비(134)로 유도하는 폐쇄 냉각수 순환장치(130); 및 폐쇄 냉각수 순환장치(130)에서, 해수와 열교환된 폐쇄 냉각수의 나머지 일부(FCCW5)를 보조 냉각수로(112)의 냉각수와 열교환시킨 후, 해수와 열교환하여 냉각되도록 합류된 냉각수의 일부(FCCW1+FCCW2-FCCW3)에 합류시키는 냉각수 보조 열교환기(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일러에서 발생된 플라이애시(fly ash)와 상기 플라이애시를 이동시키는 공기를 저장하는 저장조; 상기 저장조에 저장된 상기 플라이애시를 재활용하기 위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하역 슈트(unloading chute); 상기 하역 슈트와 상기 저장조를 연결하여 상기 플라이애시의 일부를 상기 저장조로 이동시키는 경로를 제공하는 슈트 출구 배관; 및 공기를 상기 슈트 출구 배관에 공급하여, 상기 슈트 출구 배관을 따라 상기 플라이애시를 상기 저장조로 이동시키는 공기 이젝터(air eject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이애시 배출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플라이애시 배출 장치는 장치의 막힘 현상과 이로 인한 오작동을 감소시키고, 설비와 유지에 따른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은 폴더형 조립식 비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비계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하중을 지탱하는 긴 기둥 형상의 메인 포스트와; 상기 메인 포스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며 방사 방향으로 수개의 결합리브가 구비되어 있는 포스트 허브와; 상기 포스트 허브의 결합리브에 힌지핀으로 연결되는 체결리브가 구비되어 상기 메인 포스트의 상측 수직방향으로 폴딩되는 수평 지지빔; 및 인접되는 상기 수평 지지빔에 지지되는 평판형상의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형 조립식 비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비해 작업 현장에서 비계의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해져서 설치 및 철거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특히 좁고 깊은 하측 공간의 내부에 안전하게 비계를 설치할 수 있으며, 환경이 열악한 내부 공간에서도 비계를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하고 작업 효율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폐암모니아 처리방법, 폐암모니아 처리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탈질반응장치의 암모니아 주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폐암모니아를 폐암모니아수로 변환하여 수거하는 단계(S11)와, 상기 폐암모니아수를 무화시키는 단계(S13)와, 상기 무화된 폐암모니아수를 탈질반응장치에 주입시켜 상기 탈질반응장치의 환원제로 사용하는 단계(S1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폐암모니아를 탈질반응장치의 환원제로 재활용하여 고가의 환원제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폐암모니아를 무화시켜 탈질반응장치에 주입하므로 별도의 증발수단을 부가하지 않고도 폐암모니아수를 탈질반응장치에 균일하게 주입하여 폐암모니아의 이용률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탈황공정수 재순환방법은, 보일러 또는 보일러에서 SCR 반응기를 거쳐 탈황흡수탑으로 유입된 탈황공정수를 이송펌프의 펌핑력에 의해 보일러로 주입 분사하도록 재순환할 수 있기 때문에 탈황공정수에 함유된 NH₃로 인한 NOx 발생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별도의 폐수처리설비가 불필요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약품과 전력이 불필요하며, 폐수처리설비 확장 및 신설이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탈황공정수 속에 포함된 염소성분이 보일러 노내에서 연소되어 생성되는 각종 회분과 결합하여 광물의 형태로 전환되도록 처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스케일 계측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컨베이어 벨트(Conveyor Belt)의 벨트 스케일(Belt Scale)을 계측하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풀리(Pulley)의 회전을 센싱하여 풀리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풀리 센서부;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특정 부위에 부착된 감광 테잎을 센싱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1 회전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제 1 펄스 신호 및 제 2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벨트 센서부; 상기 풀리 펄스 신호를 입력받아 카운트하는 풀리 펄스 카운터부; 상기 제 1 펄스 신호 및 상기 제 2 펄스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회전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1 회전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동작 신호를 발생하는 1 회전 카운터부; 및 상기 1 회전 카운터부의 상기 동작 신호에 따라 상기 1 회전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스케일 계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컨베이어 벨트의 1 회전 시간 및 길이를 정비원이 수동으로 측정하던 방식을 탈피하여, 이를 자동화 함으로써, 정비원의 수동 측정에 따른 오차를 해결할 수 있으며, 컨베이어 벨트의 벨트 스케일 교정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선탄 스케일 계측 설비의 허용 오차 범위를 최소화함으로써, 석탄 취급 제어 설비의 신뢰도 확보와 석탄이나 석회석 등의 입하량 및 소비량의 과저 공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