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비수용액 전해질에서 란탄족 또는 악틴족 금속원소의 전기화학적 전착에 필요한 반응성 금속 양이온의 공급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수용액 전해질에서 란탄족 또는 악틴족 금속원소의 전기화학적 전착에 필요한 반응성 금속 양이온의 공급방법에 있어서, 비수용액 전해질 내부에 작업전극이 구비되고 작업전극에서 란탄족 또는 악틴족 금속원소의 전기화학적 전착시 반응성 금속 또는 반응성 금속 합금을 단독 상대전극으로 구비하거나 또는 상대전극 이외에 반응성 상대전극을 더 구비하여 작업전극에서 필요한 반응성 금속 양이온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용액 전해질에서 란탄족 또는 악틴족 금속원소의 전기화학적 전착에 필요한 반응성 금속 양이온의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란탄족 또는 악틴족 금속원소의 전기화학적 전착을 위한 반응기를 포함하며, 보다 상세하게는 반응기 내부의 하부에 비수용액 전해질이 구비되고 상기 비수용액 전해질의 내부에 작업전극이 일측에 구비되어 란탄족 또는 악틴족 금속원소의 전기화학적 전착을 위한 반응기에 있어서, 작업전극에서 란탄족 또는 악틴족 금속원소의 전기화학적 전착시 작업전극에서 필요한 반응성 금속 양이온을 공급하기 위한 상대전극으로 반응성 금속 또는 반응성 금속 합금을 단독 상대전극으로 구비하거나 또는 상대전극 이외에 반응성 상대전극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란탄족 또는 악틴족 금속원소의 전기화학적 전착을 위한 반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연소도에 적합한 우라늄산화물 핵연료 소결체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우라늄산화물 분말에 Ti-화합물 및 Mg-화합물로 구성된 첨가제를 (Ti+Mg)/U 기준으로 30~5000 ㎍/g 첨가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분말을 압축성형하여 성형체를 제조하고, 상기 성형체를 환원성 기체 분위기에서 1600℃ 내지 1800℃로 가열하여 소결함으로써 UO2 소결체의 결정립 크기를 증가시키는 동시에 크리프 변형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핵분열기체 포집능을 향상되는 동시에 PCI 특성이 개선되는 우라늄산화물 핵연료 소결체와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유/무기 복합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유/무기 복합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기물 입자와 커플링제를 용매와 혼합한 후 중탕시켜 무기물 입자를 표면처리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에서 제조된 무기물 입자를 용매에 녹인 고분자 전해질과 혼합한 후 가교제를 첨가하여 분산시키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유/무기 슬러리에 다공성 분리막을 침지시킨 후 습도가 유지된 상태에서 건조시켜 유/무기 슬러리를 코팅시키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다공성 유/무기 복합막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는 방사선 조사를 이용한 유/무기 복합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유/무기 복합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을 이용한 유/무기 복합막의 제조방법은 다공성 분리막에 무기물 입자, 고분자 전해질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유/무기 슬러리를 코팅시키고,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여 다공성 유/무기 코팅층과 다공성 분리막과의 화학적인 결합력을 증가시켜 내박리성 및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유/무기 복합막에 적절한 기공을 형성시킴으로써 전해액의 이온 전도도가 향상된 유/무기 복합막을 제공하므로, 전기화학소자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중도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도금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환경에서 도금을 직접 실시함으로써, 손상된 부위 때문에 구조물 전체를 교체함으로써 발생되는 시간적, 물질적 손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수중도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중도금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중도금장치는 도금액을 밀폐하는 커버부와, 중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부에 상기 커버부가 결합되고 하부에 복수의 공기흡착판이 구비되며 피도금물의 표면에 밀착되어 사용중의 용액과 상기 도금액을 격리시키는 바닥밀착부 및 상기 바닥밀착부의 내부에 구비되는 양극판을 포함하되, 상기 바닥밀착부에 도금액을 공급하는 공급펌프 및 도금액을 배출하는 배출펌프가 각각 연결되어 상기 커버부와 바닥밀착부 내외부로 상기 도금액이 순환되며 상기 피도금물에 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요 최소단절집합들의 SDP 계산방법을 이용한 대형 안전시설의 계통 고장확률의 계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계산의 어려움 없이도 쉽게 정확한 계통 고장확률을 계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고장 수목으로부터 계산된 최소단절집합들을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읽어오는 제 1단계와, 상기 최소단절집합들을 크기별로 정렬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를 통하여 정렬된 최소단절집합들을 N+1개의 하위 그룹으로 분리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를 통하여 분리된 최소단절집합들 중에서 S1 내지 SN을 SDP로 변환하는 제 4단계와, 상기 제 4단계를 통하여 SDP로 변환된 S1 내지 SN의 최소단절집합으로부터 pSDP(S1) 내지 pSDP(SN)을 계산하는 제 5단계와, pREA(SN+1)을 계산하는 제 6단계 및 상기 제 5단계를 통하여 계산된 확률 pSDP 및 상기 제 6단계를 통하여 계산된 확률 pREA를 합하여 계통 고장확률을 계산하는 제 7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요 최소단절집합들의 SDP계산방법을 이용한 대형 안전시설의 계통 고장확률의 계산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윤활성 및 산화방지에 의한 저장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윤활성 향상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의 윤활성향상제로서 사용되고 있는 바이오디젤, 즉 기존 지방산 메틸에스테르(fatty acid methyl ester, FAME)의 이중결합(double bond, Olefin)을 디메톡시 그룹(dimethoxy group)으로 전환시킴으로서 하기 화학식 a로 표시되는 1,2-다이메톡시에틸렌 구조 단위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포화 지방산메틸에스테 르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석탄가스화 복합발전설비를 구성하는 산소플랜트의 대용량 기자재인 증류탑과 연결배관을 효율적이며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는 초대형 공기분리 증류탑과 연결배관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증류탑의 길이방향이 지표면과 평행하도록 지상에 눕혀놓고, 상기 증류탑에 연결배관을 조립하는 배관 지상 조립 단계; 복수개의 단으로 이루어진 외함의 각 단을 지상에서 조립하는 외함 지상 조립 단계; 상기 외함의 일부 단을 상기 증류탑이 설치된 장소에 설치하여 제1차 외함을 형성하는 제1차 외함 설치 단계; 상기 제1차 외함의 내부에 상기 연결배관이 조립된 증류탑을 설치하는 증류탑 설치 단계; 및 상기 제1차 외함의 상부에 외함의 일부 단을 더 설치하여 제2차 외함을 형성하는 제2차 외함 설치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공기분리 증류탑과 연결배관의 조립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플랜트의 기자재 설치 시 지지철골을 이동시킴으로써, 기자재가 지지철골에 간섭되지 않는 기자재 지지철골 및 이를 이용한 기자재 설치 방법이 개시된다. 일 예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철골로 이루어진 제1철골 및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다수의 철골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철골을 이루는 다수의 철골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제1철골에 체결되며, 상기 제1철골과의 체결이 분해된 경우 상기 제1철골을 따라 이동하고, 기자재를 지지하는 제2철골을 포함하는 기자재 지지철골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가스화기를 예열시킬 때 예열공정의 시간단축과 위급상황 발생시 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통풍장치를 제공한다. 일 예로, 가스화기에 결합되는 통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스화기는 고체 연료를 연소시켜 합성가스를 생성해 내는 가스화 반응기, 상기 가스화 반응기에 연결되어 상기 합성가스를 이동시키는 트랜스퍼 덕트 및 상기 트랜스퍼 덕트에 연결되어 상기 합성가스를 냉각시키는 합성가스 냉각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화기의 상부에 설치된 공기배출장치를 포함하는 통풍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전소 터빈의 종합 감시를 위한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500MW급 석탄 화력 보일러의 연료량 대비 급수량 불균형 보호 및 터빈 물 유입 가능 개소의 운전 상황을 종합 감시 및 정보 제공 운전 화면을 구성하여 터빈을 보호하고 운전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발전소 터빈의 종합 감시를 위한 화면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발전소 터빈의 종합 감시 방법에 있어서, 공기 요구량 대비 실제량과 연료량 대비 필요한 공기 요구량을 표시하는 제1단계; 연료 요구량 대비 실제량과 급수량 대비 연료 요구량을 표시하는 제2단계; 급수 요구량 대비 실제량과 연료량 대비 급수 요구량을 표시하는 제3단계; 및, 주증기의 포화 온도를 표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전소 터빈의 종합 감시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발전소 터빈의 물 유입 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500MW급 석탄 화력 보일러의 연료량 대비 급수량 불균형 보호 및 터빈 물 유입 가능 개소의 운전 상황을 종합 감시 및 정보 제공 운전 화면을 구성하여 터빈을 보호하고 운전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발전소 터빈의 물 유입 보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주증기 최종 과열기의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작은지 판단하는 제1단계; 발전기의 출력값이 제1기준값보다 큰지 판단하는 제2단계; 터빈의 정지 가능 조건이 온(on)되었는지 판단하는 제3단계; 및, 상기 주증기의 최종 과열기의 온도가 기준 온도보다 작고, 상기 발전기의 출력값이 제1기준값보다 크며, 상기 터빈 정지 가능 조건이 온(on)된 경우, 터빈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터빈을 정지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진 발전소 터빈의 물 유입 보호 방법을 개시한다.
이 발명은, 각각의 서버마다 접속 IP 주소 및 호스트 명칭을 알고 있지 않아도 전체적인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통일시키며, 발전설비운전화면의 계층적 구조가 표준화되도록 하는, 발전설비용 서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통합 플랫폼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발전운전정보 시스템과 조기경보 시스템과 발전설비성능관리 시스템과 지능형 조기경보엔진과 사용자 개발화면 시스템의 정보를 연계하기 위한 시스템 연계부와, 상기한 조기경보시스템에서 발생된 경보를 상기한 시스템 연계부를 통하여 받아들여서 호기별, 설비별로 발생현황을 표시하기 위한 조기경보시스템 경보발생 표시부와, 상기한 조기경보시스템 경보발생 표시부와 시스템 연계부에서 선택된 시스템 컨텐츠를 표시하기 위한 시스템 컨텐츠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발명은, 미분기가 막힐 우려가 있는 경우에 이를 미연에 감지하여 본체부의 작동이 중지되지 않도록 하면서 대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체부의 작동 중지로 인한 경제적 손실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미분기용 급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분기의 보울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1 및 제2 압력센서와, 상기한 제1 및 제2 압력센서에 연결되어 있으며 미분기의 보올 차압 센서의 측정값을 수신하여 미분기 보올 차압이 제1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 미분기 내부막힘 징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미분기 내부 막힘 경계경보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미분기 보올 바이패스를 활성화시키고 미분기 내부 막힘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미분기 보올 에어공급밸브를 동작시키며, 미분기 보올 차압이 제1 기준치보다 큰 상태가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고 미분기 모터 전력량이 제2 기준치보다 큰 상태가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에 미분기가 막힌 것으로 판단하여 최소 급탄량만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한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공기압력을 이용하여 미분기 내부 막힘을 해소하는 에어공급밸브와, 상기한 제어부에 연결되어 있는 경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