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제습 냉방기를 이용한 제습냉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 온도의 온수를 생산하는 열원과; 상기 열원으로부터 생산된 온수를 전달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온수를 일정 압력으로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와; 상기 순환펌프와 연결되어 열공급대상지역까지 온수를 수송 및 회수하는 열배관과; 상기 열배관과 연결되어 상기 열배관의 온수를 열공급대상지역으로 전달하는 사용자 열교환기; 및 열공급대상지역의 각 세대로 인입되어 상기 사용자 열교환기과 연계된 온수 배관에 연결되어 각 세대에 설치되고, 상기 온수 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공기 중의 습기를 제거하여 잠열부하를 처리하고, 제습된 공기 속에서 물을 증발시켜 공기 온도를 낮추어 냉방을 공급하는 제습 냉방기를 포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습 냉방기를 각 세대에 설치하고, 제습 냉방기에 지역난방 온수, 소규모 지역난방 온수, 각 세대에 설치된 가스 또는 기름 보일러의 온수를 공급하여 효과적으로 냉방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단제어링을 구비하는 지역난방 열배관용 이형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 곡률로 벤딩되어 지역난방 열배관과 양단이 연결되고, 내부에 중온수가 이동되는 내관과; 상기 내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상기 내관이 내부에 삽입되는 외관과; 상기 내관과 외관 사이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보온재; 및 상기 내관의 벤딩부에 결합되는 전단제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곡률로 벤딩된 이형관의 내관 벤딩부에 전단제어링을 설치함으로써 보온재에 전달되는 전단응력을 분산시킴으로써 열배관에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기 및 열 생산량 증대를 위한 흡수식 히트펌프가 구비된 지역 난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지역난방 공급측의 고온수를 흡수식 히트펌프의 재생기로 공급하여 재생열로 활용하고, 지역난방 회수측으로부터 저온의 난방수를 흡수식 히트펌프 흡수기로 공급하여 재생기로부터 공급된 흡수액과 열교환되어 1차 가열되고, 응축기를 통과하면서 2차 열교환되도록 하여 온도를 승온시켜 배열회수 보일러의 디에이치 이코너마이저(DH Economizer) 또는 열전용 보일러의 입구 온수온도를 상승시킴으로서 열생산 증대가 가능할 수 있고, 터빈 발전기의 복수기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의 폐열을 열원으로 활용하여 흡수식 히트펌프의 증발기를 거치면서 냉각수의 온도가 저감되므로 이 저감된 냉각수를 복수기의 냉각수로 활용하여 복수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터빈발전기의 효율을 상승시켜 전기생산을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난방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제 1재생기와 보조 재생기 및 응축기를 구비하는 제 1셀과, 증발기와 흡수기 및 엘리미네이터를 구비하는 제 2셀과, 제 2재생기와 보조 흡수기 및 제 2엘리미네이터를 구비하는 제 3셀과, 고온 열교환기와, 저온 열교환기와, 보조 열교환기와, 복수의 펌프 및 이들을 연결하는 냉각수 라인, 냉매 라인, 흡수액 라인, 냉수 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저온수 2단 흡수식 냉난방기에 있어서; 난방 사이클시 상기 제 1셀내의 제 1재생기에 흡수액을 스프레이시켜 발생되는 수증기를 난방용 수증기 라인을 통해 상기 제 3셀의 증발기로 공급하고, 상기 저온열 교환기로부터 공급되는 흡수액을 난방용 흡수액 라인을 통해 상기 제 3셀의 증발기의 상부에 스프레이시켜 상기 증발기 내부의 난방수를 가열시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난방 사이클 시 제 1재생기에 흡수액을 스프레이시켜 발생되는 수증기를 증발기로 공급하고, 저온열 교환기로부터 난방용 흡수액 라인을 통해 증발기의 상부에 흡수액을 스프레이시켜 증발기 내부의 난방수를 가열시켜 배출하도록 함으로써 냉방과 난방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윗목과 아랫목의 분리난방이 가능한 실내난방시스템은, 주거용 건물 안의 복수 개의 실내공간들(LR,R1,..)에 각각 설치된 복수 개의 실내온도조절기들, 상기 실내공간들(LR,R1,..)의 바닥체에 각각 매설되어 난방수를 순환시키는 온수배관들(20,20a,..), 공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설비(보일러 또는 지역난방수 공급설비)(5), 상기 공수공급설비(보일러 또는 지역난방수 공급설비)(5)로부터 공급된 난방수를 상기 온수배관들(20,20a,..)로 분배하여 공급하고 상기 온수배관들(20,20a,..)로부터 환수된 난방수를 상기 온수공급설비(보일러 또는 지역난방수 공급설비)(5)로 보내는 온수분배기(3), 상기 각 온수배관들(20,20a,..)과 연결된 배관들에 설치되어, 각 실내공간들의 바닥에 설치된 바닥온도센서(31,31a,...,31e) 및 실내공간들의 환수관에 설치된 환수온도센서(30,30a,...,30e)로부터 온도 값을 받아 연산하여, 상기 각 온수배관들로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량을 조절하는 복수 개의 밸브들(40,40a,...,40e)로 구성된 밸브제어기(4), 상기 실내온도조절기들과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실내공간들의 실내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온도와 일치하게 되도록 상기 각 밸브들(40,40a,...,40e)의 개도(開度)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각 밸브들(40,40a,...,40e)에 인가하는 밸브제어기(2)를 포함하며, 상기 실내공간들 중 일부 실내공간의 난방영역은 윗목과 아랫목으로 구분되고, 상기 아랫목의 바닥체에 매설된 아랫목 온수배관(20)과 상기 윗목의 바닥체에 매설된 윗목 온수배관(20a)은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온수분배기(3)에 연결되고, 상기 온수분배기(3)는 상기 아랫목 온수배관(20)과 상기 윗목 온수배관(20a)에 공급되는 난방수의 유량을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현대적인 난방방식에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온돌난방의 윗목 아랫목의 개념을 융합한 것으로서, 하나의 방 또는 거실 내에서 윗목과 아랫목의 온도를 서로 다르게 별도로 조절하여 거주자들에게 쾌적한 온열환경을 제공하며, 에너지(연료비 또는 지역난방열량)의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우드칩을 보일러로 투입하는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우드칩을 이송하여 보일러로 투입하는 이송 시스템에 있어서, 이송 차량에 의해 이송된 우드칩이 저장되는 반입부와; 상기 반입부에 저장된 우드칩을 이송시키는 제 1이송부와; 상기 제 1이송부로부터 이송되는 우드칩에 포함된 이물질 및 오버사이즈 목재를 제거한 후 이송하는 제 1선별부와; 이물질 및 오버사이즈 목재가 선별된 이물질이 제거된 우드칩을 적재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저장된 우드칩을 일정량으로 배출하는 공급부와; 상기 공급부로부터 일정하게 배출되는 우드칩을 이송하는 제 2이송부와; 상기 제 2이송부 경로 상에 설치되어 우드칩에 포함된 금속을 제거하는 제 2선별부와; 상기 제 2이송부 경로 상에 설치되어 우드칩의 이송량을 측정하는 측정부; 및 상기 제 2이송부로부터 공급되는 우드칩을 적재한 후 상기 보일러로 투입하는 투입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반입호퍼로부터 공급되는 우드칩을 디스크 스크린을 통해 이물질 및 오버사이즈 목재를 분리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일정 크기 이하의 우드칩을 벙커에 고르게 저장한 후 이를 스크류 피더와 벨트 스케일 및 버켓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보일러로 정량을 투입시킴으로써 설비를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전모듈 열교환기를 이용한 축열조 발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단에 고온수가 저장되고, 하단에 저온수가 저장되는 축열조와; 자체 생산된 고온수를 상기 축열조 또는 지역난방 공급관으로 공급하는 열병합발전시설; 및 상기 열병합발전시설 또는 축열조로부터 공급되는 고온수와 상기 축열조 또는 지역난방 회수관로부터 공급되는 저온수를 공급받아 열교환시켜 열교환시 발생되는 에너지로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열전모듈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축열조로 공급되는 고온수와 축열조에서 배출되는 저온수를 열전모듈 열교환기로 공급하여 열전모듈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시 발생되는 에너지로 전기를 생산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수송관용 고온발포 폴리우레탄 보온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소시아네이트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관능기 2 이상의 폴리올을 40~80중량부와, 반응촉매 0.01~1.5중량부와, 발포제 5~20중량부 및 첨가제 1~15중량부로 배합된 혼합 폴리올 조성물을 혼합하여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 상태에서 폴리우레탄 폼이 탄화(scorch)나 균열이 없이 고온상태의 이중보온관에 안정적으로 발포되며 단열성능과 기계적 강도 등이 모두 우수한 열수송관용 고온발포 폴리우레탄 보온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철산화물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열수송관에 캐비테이션부와 복수의 마그네틱 필터가 구비된 확관부를 설치하여 캐비테이션부에서 발생되는 기포에 의해 철산화물중 적철광이 자력을 가지도록 하고, 적철광과 자철광이 마그네틱 필터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철산화물을 저감하도록 하는 열수송관 내부의 철산화물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병합 복합화력 발전시스템의 출력증강을 위한 증기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TCA 쿨러, 축열조, DH 히터와 같은 주변 기기를 이용하여 지역난방수 또는 증기를 생산하고, 가스 터빈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압력과 온도를 각각 측정하여 입구 공기의 질량유량을 예측한 후 기준질량유량 이하인 경우, 생산된 지역난방수 또는 증기를 공급하되, 출구측의 압력과 온도를 통해 예측한 연소온도를 기준으로 지역난방수량 또는 증기량을 조절하여 공급함으로써, 주변 기기에서 생산된 지역난방수 또는 증기를 연료와 섞어 가스 터빈에 분사하여 출력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열병합 복합화력 발전시스템의 출력증강을 위한 증기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배관의 음극방식 전위기준 설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역난방시스템의 열배관 음극방식 설정방법에 있어서, 토양의 비저항을 측정하고, 열배관의 전위값이 일정값 이하인 곳을 방식관리구역으로 설정하는 단계와; 열배관의 단열재의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소요 전류를 산출하는 단계와; 측정된 소요 전류를 이용하여 소요 양극 중량과, 양극 수량을 계산하고, 정류기의 용량을 결정하는 단계와; 열배관에서 음극방식법을 적용하여 부족방식기준전위와, 과방식기준전위 및 음극방식기준전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열배관의 공급관 및 회수관의 단열재의 함수 정도에 따른 절연저항값과 소요 전류를 통해 전류저항 강하값(IR drop)을 산출하는 단계와; 전류저항 강하값으로 음극방식기준전위를 보정하여 음극방식전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음극방식전위를 통해 소요 전류를 조절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적인 열공급을 도모하기 위하여 열배관의 특성에 맞는 음극방식전위기준 값을 산출하여 음극방식시스템의 설계 및 유지관리 기준을 수립하여 열배관의 유지관리를 철저히 하여 수명연장을 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배관 차압조절 및 열생산이 가능한 유량계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지역난방수의 압력 강하가 필요한 열배관 내에 회전 날개, 발열기 및 브레이크를 구비하는 유량계를 설치하여 지역난방수에 의해 회전 날개가 회전되어 압력을 강하시키고, 회전 날개의 회전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 에너지로 발열기에서 열을 발생하여 지역 난방수를 가열해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회수하며, 열배관 내의 차압을 측정하여 압력차에 따라 브레이크를 이용하여 회전 날개의 회전 속도를 제어해서 차압을 조절하도록 하는 열배관 차압조절 및 열생산이 가능한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열배관 보온재용 클레이-폴리우레탄 폼 나노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열배관 보온재로 사용되는 클레이를 함유하는 폴레우레탄 폼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디이소시아네이트에 이를 기준으로 클레이를 혼합하고, 반응 및 교반시켜 클레이를 개질시키는 단계와; (B) 개질 클레이 함유-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초음파를 일정 시간 동안 가하여 반응성 및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단계와; (C) 개질 클레이 함유-디이소시아네이트에 폴리올 혼합물을 혼합하는 단계; 및 (D) 개질 클레이 함유-디이소시아네이트와 상기 폴리올 혼합물이 혼합된 혼합물에 발포제와, 촉매와, 계면 활성제를 첨가하는 폴리우레탄 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개질 클레이 함유-고분자형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저장 안정성이 현저히 향상시키는 기술을 제공하고, 열배관 보온재로 사용되는 클레이-폴리우레탄 폼 나노복합재 내부에 클레이가 나노스케일로 박리되어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열적 안정성 및 화학적 안정성, 그리고 기계적 물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연돌의 자연통풍력을 이용한 풍력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풍력발전장치는, 보일러의 연돌 하부에 설치된 맨홀에 부착 설치되며, 내부에 팬이 구비된 팬 하우징 장치; 상기 팬의 구동에 따라 발생된 힘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장치; 상기 발전장치로부터의 전기 에너지를 변환하는 컨버터; 상기 컨버터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충전장치; 상기 발전장치와 상기 컨버터 사이를 연결 또는 해제하는 스위칭부; 상기 보일러의 운전상태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보일러의 비운전시에 상기 발전장치와 상기 컨버터를 연결하도록 상기 스위칭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아이스 슬러리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지역 냉방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쓰레기 소각로 또는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배관을 통해 공급받아 냉수를 생산하여 배관을 통해 공급하고, 배관을 통해 열교환된 냉수를 회수하는 중온수 흡수식 냉동기와; 냉수 또는 아이스 슬러리를 제조하여 공급하는 제빙기와; 상기 제빙기에서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 또는 아이스 슬러리를 저장하는 빙축열조; 및 상기 중온수 흡수식 냉동기에서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냉수를 일시 저장하거나, 상기 빙축열조에서 공급되는 아이스 슬러리를 냉수와 혼합하여 주배관과 분기배관을 통해 수용가의 냉방 열교환기측으로 공급하는 믹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미래의 불확실한 부하에 대비할 수 있도록 냉방 수요에 따라 냉수를 단독으로 또는 냉수와 아이스 슬러리를 혼합된 형태로 가변적으로 공급함으로써 미래의 부하형태가 다양하게 변화함에 관계없이 대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