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고성능 금속 용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금속 용해장치는, 용해반응기; 음이온교환막을 사이에 두고 환원전극이 위치된 음극실과 산화전극이 위치된 양극실을 갖는 염소전해생성기; 용해반응기 내의 염소가스가 염소전해생성기의 음극실로 순환되도록 하는 염소가스회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금속 용해장치는 금속 용해율이 우수하고, 폐액과 폐가스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염소생성 원료의 재활용이 가능하고, 염소가스의 발생량을 늘리더라도 염소가스의 손실이 없으므로 염화이온의 불필요한 낭비가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맨홀형 지하수 및 지질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을 공개한다. 이 장치는 지하수 및 토양 환경에 대한 데이터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복합 센서부; 상기 감지된 지하수 및 토양 환경에 대한 데이터의 시공간 분포에 대한 자료를 저장하는 지하수-지질 환경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저장된 지하수 및 토양환경에 대한 데이터 및 상기 시공간 분포에 대한 자료를 전달받아 실시간 분석하여 지반 위험도를 산출하는 지반 위험도 분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도심지 내에서 땅 꺼짐이나 도로 함몰 등이 일어날 위험성 높은 지역을 예측하여 인적 재난 방재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이전의 수질 종합 측정 장치와 비교하여, 지하수- 토양 입자 거동- 지반 위험도에 관계된 인자들의 상호 관계를 이용하여 보다 정밀한 예측이 가능해 진다.
본 발명은 밀폐된 상태로 유체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가지며, 지하수 관측정 내에 깊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수용부의 압력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는 압력조절부; 일측이 개방되어 상기 유체가 유출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부력가이드, 및 상기 부력가이드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부의 압력에 따라 겉보기 밀도가 달라지는 부력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조절부의 겉보기 밀도에 따라 상기 유체 내에서 하강 또는 상승하는 이동체; 및 상기 하우징의 외측의 지하수 내에서 부유하되 상기 이동체의 움직임에 의해 종속적으로 움직이며,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는 측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수 특성 심도별 프로파일 자동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하수의 관측정에 투입되어 담수층 심도 및 담염수 경계면의 심도를 관측하는 지하수 관측시스템으로서,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로 이루어져 상기 관측정에 투입되어 담수층의 수면상에 위치하고, 상면에 반사판이 부착되는 제1 부력체; 상기 제1 부력체의 반사판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1 부력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담수층의 해발 심도를 측정하는 제1 센서; 부력조절이 가능한 부력체로 이루어져 담염수 경계면에 대응하는 부력으로 조절되고, 상면에 반사판이 부착된 상태로 상기 관측정에 투입되어 담염수 경계면상에 위치하는 제2 부력체; 상기 제1 부력체가 위치하는 담수층의 수중에 설치되고, 상기 제2 부력체의 반사판을 향해 레이저를 조사하여 제2 부력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제2 센서; 및 상기 제1 센서의 측정값을 인가받아 담수층의 해발 심도를 산출하고, 상기 제2 센서의 측정값을 인가받아 담수층의 두께를 산출하여 산출값을 기반으로 담염수 경계면의 해발 심도를 산출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부력체의 반사판이 담수층의 수면보다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는 부력으로 상기 제1 부력체의 부력이 조절된 경우, 상기 반사판과 수면의 거리를 통해 상기 제1 센서의 측정값을 보정하여 담수층의 해발 심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실제 자갈에 RFID 칩을 장착하여, 하천, 연안 범 등의 환경에서 퇴적지에서의 자갈의 이동을 용이하게 관찰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성체를 구비한 이동 추적 자갈, 그 제작 방법, 자성체를 구비한 자갈 이동 추적 장치 및 추적 방법에 관한 것 관한 것으로, 상기 자성체를 구비한 이동 추적 자갈은, 장착홀이 형성된 자갈로 구성되는 자갈부; 고유하게 구별되는 식별자가 부여되어 상기 장착홀에 장착되는 RFID칩을 구비한 RFID 칩부; 고유하게 식별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장착홀에 장착되는 자성체; 및 상기 RFID 칩이 장착된 장착홀을 밀봉하는 뚜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갈을 모사한 인조 자갈이 아닌, 실제 자갈을 이용하여, 연안, 해안 또는 범 등의 지역에서의 자갈 이동을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천 또는 연안 환경 등의 퇴적환경에 포함된 자갈의 입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자갈 입도 분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자갈 입도 분석 장치는, 케이스부; 케이스부 내부에서 자갈의 장경 방향의 축에 설치되어 자갈의 장경을 측정하는 장경스케일러부; 케이스부 내부에서 자갈의 중경 방향의 축에 설치되어 자갈의 중경을 측정하는 중경스케일러부; 케이스부 내부에서 자갈의 단경 방향의 축에 설치되어 자갈의 단경을 측정하는 단경스케일러부; 및 상기 케이스부를 지지하며 내부에 상기 장경스케일러부, 중경스케일러부, 단경스케일러부를 제어하며, 상기 투명케이스부의 하중을 측정하여 자갈의 무게를 측정하는 저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갈의 입도 분석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선박용 부유 타입 고정 장치(10)에는 부표(B)가 구비된다. 상기 부표(B)와 선박(C) 사이는 케이블(20a, 20b)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20a, 20b)의 일단은 상기 부표(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선박(C)에 연결된다. 상기 부표(B)의 하부에는 앵커(40)가 연결된다. 상기 앵커(40)는 상기 부표(B)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수중 바닥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유속이 빨라지거나 범람 등에 의해 부유토사를 채집하는 동안 선박 및 부표가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부유토사가 교란되는 것이 방지되어 계측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부유토사 채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부유토사 채집 장치(10)에는 부력에 의해 수면 위에 위치되는 부표(B)가 구비된다. 상기 부표(B)에는 수중에 위치되어 수중의 부유토사가 유입되는 원통형의 부유토사 유입통(10)이 구비된다.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10)의 하단에는 상기 부유토사 유입통(10)을 통해 유입된 부유토사의 유출을 방지하는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2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20)에는 상기 부유토사 유출 방지통(20)을 통해 유입된 부유토사가 퇴적되어 저장되는 부유토사 저장통(3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부유토사 저장통(30)의 하부에는 수중 바닥면에 밀착되는 베이스 프레임(50)이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50)을 수중 바닥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앵커(6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부유토사 채집 장치에 의하면, 유속이 빨라지거나 범람 등에 의해 부유토사 채집 장치가 유실되거나 다른 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되므로, 부유토사가 교란되는 것이 방지되어 계측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해수 담수화 농축수를 처리하기 위한 기술이다. 본 발명은 2가지 측면, 즉 농축수 내 양이온(특히 나트륨)을 제거하여 농축수의 친환경적 처리의 측면과, 농축수를 출발물질로 하여 이산화탄소를 제거하는 탄소광물화 측면에서 모두 유의미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산화탄소를 마그네슘, 칼슘 및 나트륨과 결합시켜 담수화 농축수 내 금속 양이온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이산화탄소를 저감한다.
본 발명은 마그네슘 탄산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즉, 암모늄이 풍부하게 포함되어 있는 용매를 이용하여 마그네슘 실리케이트 화합물로부터 마그네슘을 추출한다. 그리고 마그네슘이 녹아 있는 용매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여 탄산마그네슘을 합성한다. 마그네슘이 녹아 있는 용매는 pH 10 이상을 유지하여 탄산화 공정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네슘 용출과정에서 발생한 암모니아 가스는 별도로 포집하여 탄산화 반응시 pH 조절제로 재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마그네슘 탄산화공정과 별도로 칼슘 탄산화공정에서도 앞에서 마그네슘을 용출한 용액과, 별도로 포집된 암모니아 가스를 pH조절제로 재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양상은 철강슬래그에 유기산을 가하여 침출액을 제조하고, 고액분리하여 여액을 마련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여액의 실리콘 성분을 분리하고, 소결하여 크리스토발라이트(cristobalite)를 형성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의 실리콘 분리된 여액을 탄산화 반응시키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철강슬래그로부터 칼슘 및 실리콘 화합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양상은 철강슬래그에 유기산을 가하여 침출액을 제조하고, 고액분리하여 여액을 마련하는 단계(단계 i); 및 상기 단계 i의 여액을 탄산화 반응시켜, 탄산칼슘-실리카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단계 ii);를 포함하는, 철강슬래그로부터 칼슘 및 실리콘 화합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슬래그를 산업원료로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이다. 본 발명에서는 왕수 용액을 이용하여 슬래그로부터 고순도, 고미분말의 비정질실리카를 회수한다. 또한 슬래그로부터 유용 금속을 회수하며, 더 나아가 간접법을 이용한 광물탄산화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고정시킬 수 있다. 비정질실리카의 회수, 유용 금속의 회수 및 광물탄산화는 연속적,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바 공정의 경제성이 확보된다.
지중 유체 저장 부지의 최대 허용 유체압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은, (A) 상기 지중 유체 저장 부지 부근의 물리 검층 데이터를 확보하는 단계; (B) 상기 물리 검층 데이터로부터, 상기 지중 유체 저장 부지에 가해지는 수직 응력(Sn)과 전단 응력(τ)을 구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직 응력(Sn) 및 상기 전단 응력(τ)으로부터 최대 허용 유체압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며, 이때 물리 검층 데이터로는 음파 물리 검층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1차원 투수율이 상수로 되는 1차원 층류로 가정되는 암석 내에서의 유체의 유동에 대한 공극의 압력 변화의 분석을 위해서 암석 내부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확산방정식 내의 유체 특성인 투수율(permeability)(k)과 비저류상수(specific storage)(Ss)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극저투수율암석의 투수율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극저투수율암석 투수율 측정 장치는, 일 측에는 유동 펌프의 피스톤(20)이 장착되는 헤드(30)가 형성되고 헤드(30)에 연통하여 스트림의 경계에 상류지 저류조(upstream reservoirs)(40)와 하류지 저류조(50)가 형성되며 상류지 저류조(upstream reservoirs)(40)와 하류지 저류조(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암석샘플(60)이 내장되는 실린더(10); 헤드(30)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상류지 압력센서(70); 하류지 저류조의 압력을 측정하는 하류지 압력센서(71); 상기 상류지 저류조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센서(72); 및 상기 상류지 압력센서(70)와 하류지 압력센서(71) 및 유량센서(72)의 압력 신호 및 유량속도 신호와 헤드(30) 내의 유량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확산방정식의 유체특성 정보인 투수율 k와 비저류률 Ss를 산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라멘트 홀더 보관용기는, 복수의 수용공간이 방사상으로 일정 각도 이격 배치되는 본체; 및 필라멘트 홀더를 수납하며, 수용공간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수납부;를 포함하고, 수납부가 선형 이동하거나 회전하여 수용공간에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필라멘트 홀더 보관용기에 의하면, 필라멘트 홀더의 인입 또는 인출 시 필라멘트 홀더에 용접되어 있는 필라멘트가 손상될 가능성을 낮춘 필라멘트 홀더 보관용기가 제공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