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인 설비의 위치, 계통 및 종류에 따라 각각의 설비에 대한 위치 번호, 계통 번호 및 종류 번호가 저장된 설비 마스터(121), 및 설비 마스터(121)와 연계되어 설비 마스터(121)로부터 위치 번호, 계통 번호 및 종류 번호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정비 작업에 대한 절차를 하나의 절차로 표준화한 표준절차(130)에 따라 설비에 대한 워크 오더(work order)를 생성하는 워크 오더부(120)를 포함하여, 설비의 정비 작업에 대한 처리가 일괄적으로 관리되는 정비관리부(100); 발전소 제어설비 시스템(270)으로부터 설비의 운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고, 운전정보를 분석하여 설비의 이상 운전 상태를 판단하고, 운전정보인 PI 태그(Plant Imformation Tag) 번호가 설비 마스터(121)에 등록됨으로써 설비 마스터(121)와 연계되어 설비에 대한 정비 이력 및 설비의 상세 정보 조회가 가능한 운전관리부(200);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받은 운전정보를 통해 단위 설비별로 성능 및 효율을 계산하는 성능관리부(300); 정비관리부(100), 운전관리부(200), 성능관리부(300) 및 ERP(Enterprise Resource Plan, 900)로부터 정보를 제공받고, 정보를 통해 발전소의 정비 및 운전 활동에 대한 종합 성과를 평가하는 운영관리부(400); 발전소의 보조 설비에 대해 일정 기간 단위로, 정비관리부(100)로부터 설비의 정비 이력 및 고장 이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설비의 운전 정보를 제공받아, RCM 리빙(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Living) 분석을 실행하여 보조 설비의 경상예방업무(511)의 유효성을 평가하고, RCM(Reliability Centered Maintenance) 분석을 실행하여 RCM 분석 결과를 통해 예방점검 및 예방 정비의 종류 및 주기를 결정하는 신뢰도 관리부(500); 정비관리부(100)로부터 설비의 재질에 대한 검사 결과 및 워크 오더를 제공받고, 운전관리부(200)로부터 운전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아 RBI(Risk Based Inspection) 분석을 실행하여, RBI 분석 결과를 통해 발전소의 주설비의 잔존 수명 및 차기의 예방 정비에 대한 검사 시점, 검사 대상 및 검사 부위를 결정하는 위험도 관리부(600); 및 신뢰도 관리부(500) 및 위험도 관리부(60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를 통해 정비 대상 설비 및 정비 대상 설비에 대한 정비 시점을 제시하는 코스트-타임(Cost-Time) 분석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