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에 따른, 불균질매질에서 이산화탄소 저장능 향상 및 염침전에 의한 주입효율 저감 해소 시스템 및 방법은,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을 위해 이산화탄소를 지중으로 주입할 때, 물을 이산화탄소와 함께 주입함으로써, 불균질한 매질에서도 이산화탄소 저장능이 향상되는 동시에, 염침전에 의해 이산화탄소 주입효율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산화탄소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감압부가 설치된 이산화탄소 주입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주입정의 상단에 결합되는 밀폐 어셈블리로서, 제 1 챔버와 제 2 챔버를 구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1 챔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단 밸브;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1 챔버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챔버의 상단에 위치하는 중단 밸브;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2 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단 밸브; 상기 제 1 챔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상단 밸브에 밀착하여 형성되고, 상기 상단 밸브를 밀폐하기 위한 상단 밀폐부; 및 상기 제 2 챔버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기 중단 밸브에 밀착하여 형성되고, 상기 중단 밸브를 밀폐하기 위한 중단 밀폐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 1 챔버 및 상기 제 2 챔버에 대해서, 상기 상단 밸브, 상기 중단 밸브, 상기 하단 밸브, 상기 상단 밀폐부, 및 상기 중단 밀폐부의 중심축은 모두 동일한, 이산화탄소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감압부가 설치된 이산화탄소 주입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AMS를 이용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을 위하여 시료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 및 포집하기 위한 시료 전처리 시스템으로서, 복수의 시료 전처리 장치와, 복수의 시료 전처리 장치와 연결되는 펌핑라인 및 펌핑라인에 연결되어 시료 전처리 장치 내부의 유로를 음압으로 형성하는 펌프를 구비한다. 그리고 시료 전처리 장치는, 시료를 이동시키기 위한 중공형 관으로서 베이스라인과 베이스라인 중간에 끼워져 연결되며 기체 상태 또는 기체 상태로 변화된 시료가 냉각되어 수용되는 트랩부와 트랩부의 후단에서 베이스라인에 끼워져 연결되며 시료로부터 분리된 이산화탄소 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부가 형성되어 있는 진공처리라인, 시료를 수용하여 시료가 진공처리라인으로 도입되도록 진공처리라인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시료도입부 및 트랩부의 온도를 이산화탄소의 어는점 이하의 제1온도와 이산화탄소의 어는점 초과의 제2온도로 선택적으로 냉각가능한 냉각유닛을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AMS를 이용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을 위하여 시료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 및 포집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료 전처리 장치는 시료를 이동시키기 위한 중공형 관으로서, 베이스라인과, 베이스라인 중간에 끼워져 연결되며 기체 상태 또는 기체 상태로 변화된 시료가 냉각되어 수용되는 트랩부와, 트랩부의 후단에서 베이스라인에 끼워져 연결되며 시료로부터 분리된 이산화탄소 가스를 포집하기 위한 포집부가 형성되어 있는 진공처리라인, 시료를 수용하여 상기 시료가 진공처리라인으로 도입되도록 진공처리라인의 일단부에 장착되는 시료도입부 및 트랩부의 온도를 이산화탄소의 어는점 이하의 제1온도와 이산화탄소의 어는점 초과의 제2온도로 선택적으로 냉각가능한 냉각유닛을 구비하며, 진공처리라인은 복수의 유리관이 상호 결합되어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전국의 지열자원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용이하게 지열자원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지열자원정보관리장치 및 지열자원정보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지열자원정보관리장치는, 일련의 처리과정을 기재한 프로그램 코드를 읽어 들여 실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한 지열자원정보관리를 위한 연산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코드 및 연산 처리에 적용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코드화된 데이터로서의 지열자원정보관리부와 지열자원정보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지열자원정보관리부는, 상기 지열자원정보의 관리 및 검색을 위하여 상기 제어부에 의해 실행된 후 표시부에 출력되어, 사용자가 입력하는 검색 조건에 대응하는 지열자원정보를 상기 지열자원정보데이터베이스로부터 독출하여 분석한 후 지열자원 측정자료 검색서비스, 지열자원분포도 검색서비스, 지열자원통계서비스 또는 지열자원 단면분석서비스 중 하나 이상의 지열자원정보 검색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열자원정보관리인터페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 지열자원정보를 용이하게 검색하고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지열자원 정보의 활용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황인지(context awareness) 기술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관심을 예측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검색요청에 대하여 불필요하게 방대한 검색결과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만을 다시 필터링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던 종래기술의 검색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황인지 기술에 기반하여 현재 사용자의 상황에서 어떠한 정보가 필요한지를 정확히 예측하고 해당하는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정확히 예측하여 제공하기 위한 상황 온톨로지(context ontology) 및 투어 온톨로지(tour ontology)를 구축하고, 핵심 클래스들 간의 관계를 정의하여, 시맨틱 데이터 마이닝 알고리즘(Semantic Data Mining Algorithm)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정확하게 예측하고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시맨틱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상황인지 기반 사용자 관심정보 검색서비스 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열복사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도 변화에 따른 가열된 지질암석의 교환이 용이한 열복사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질암석을 내부로 인입하는 인입부가 상부면에 구비된 챔버; 상기 챔버 내에 구비되며, 상기 지질암석을 수용한 후, 가열시키는 가열부; 상기 지질암석 표면에서 방출되는 열복사 에너지를 감지하는 열복사 검출기; 상기 챔버의 바닥면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레일부; 상기 레일부에 의해 좌우이동하며 상기 열복사 검출기와 연결되어, 상기 열복사 검출기와 상기 가열부와의 이격거리를 검출하는 검출기 높이조절부; 상기 가열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지질암석을 파지하는 파지기; 상기 파지기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파지기 높이조절부; 상기 파지기, 상기 파지기 높이조절부, 상기 검출기 높이조절부, 상기 열복사 검출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열복사 검출기에서 검출된 상기 지질암석의 열복사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가열된 지질암석을 파지기를 이용하여 상부 및 하부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고 다시 지질암석을 로봇팔 등에 의해 이송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가열된 지질암석을 다루는 일이 없도록 하여 위험성을 제거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토석류(Debris Flow) 발생지역의 지형도 정보를 이용하여 수치지형모델을 생성한 후, 생성된 수치지형모델을 이용하여 토석류 발생 지역을 예측하는 수치지형모델을 이용한 토석류 발생지역 예측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치지형모델을 이용한 토석류 발생지역 예측 장치는, 분석 대상 지역의 지형도 정보를 토석류 발생 지역 예측 기본 정보로 저장하는 토석류지형정보DB; 상기 토석류지형정보DB에 저장된 분석 대상 지역의 토석류 발생 지역 예측 기본 정보를 이용하여 수치지형모델을 생성하는 수치지형모델생성부; 및 상기 수치지형모델생성부에서 생성된 분석 대상 지역의 수치지형모델을 이용하여 TWI(Topographic Wetness Index), SPI(Stream Power Index), SL(Slope Length) 또는 TWI와 SPI와 SL 중 두 개 이상을 선택하여 합한 값 중 하나 이상의 지형지표 값을 위치별로 분석하여 각 지형지표 값들의 분포를 산출한 후 토석류 발생 예측 지역을 도출하는 수치지형모델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치지형모델에 포함되는 분석 대상 지역의 면적정보와 고도 정보만으로 토석류 발생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석류 발생 예측을 위한 연산처리를 현저히 간소화시키고, 토석류 발생 예측을 현저히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하수 관정 위치, 지하수 양, 지형, 지질, 토양, 토지이용 정보 등의 지질정보를 이용하여 지공간 상관관계를 통합분석하고, 이 통합분석된 지공간 상관관계를 기초로 지하수부존 지역을 예측하는, 공간정보를 이용한 지하수 부존가능지역 예측시스템 및 지하수 부존 지역 예측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간정보를 이용한 지하수 부존가능지역 예측시스템은 지하수 부존 가능지역 예측을 위한 분석지역을 선택하도록 구성된 분석지역 선택부; 상기 분석지역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분석지역의 지하수 자료, 지형 정보, 지질자료, 토양자료, 토지이용도와 같은 지질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지하수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지하수 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되는 지질정보를 기초로 지공간의 상관관계를 통합 분석하도록 구성된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 분석부; 상기 지공간 상관관계 통합분석부에서 분석된 정보를 기초로 지하수 부존 지역의 예측도 및 통합 예측도를 작성하도록 구성된 지하수 부존 지역 예측도 작성부; 상기 지하수 부존 지역 예측도 작성부에서 작성된 지하수 부존 지역의 예측도 및 통합예측도를 이용하여 지하수 부존지역의 정량적인 정확도를 검증하도록 구성된 지하수 부존 지역 예측도 검증부; 및 상기 지하수 부존 지역 예측도 작성부의 결과와 및 지하수 부존 지역 예측도 검증부의 결과를 비교하여 모델별 지하수 부존 가능지역 예측도의 정확도를 비교하도록 구성된 결과 비교부를 포함한다.
의사결정트리에서 공간 예측을 위한 리프노드 등급 결정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 매체를 개시한다. 상기 의사결정 트리에서 리프노드 등급 결정방법은 공간예측에 필요한 훈련 데이터세트를 이용하여 하나의 루트노드와 더불어 부 노드와 복수개의 자 노드 관계를 갖는 의사결정트리 형태로의 학습단계 (S110); 상기 학습을 마친 의사결정 트리로부터 리프노드 등급 결정단계(S120)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단계(S110)에서 의사결정트리의 각 노드는 훈련데이터의 클래스 분포 개수를 저장하고 이를 저장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S120)의 리프노드 등급 결정단계에서는 루트노드로부터 리프노드까지 일련의 노드들을 조합에 각 노드에 저장된 클래스 분포수를 이용하여 리프노드 등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다른 리프노드 등급방법들보다 별도의 최적의 파라미터 값을 찾는 과정을 필요치 않으며, 부 노드의 등급을 자 노드 등급결정과정에서 다시 이용하기 때문에 동일한 부 노드로부터 분리된 자 노드간에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점토광물 팽창압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토광물 팽창압 측정장치는 점토광물이 포함되어 있는 토체(soil mass)에 삽입되어 내부에 토양이 수용되는 본체, 본체 내부로 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본체의 적어도 일측면에 설치되는 필터, 본체 내부에 수용된 토양의 팽창압력을 측정하도록 본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압력센서 및 본체 내부에 삽입되어 토양 내 간극수압을 측정하는 간극수압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시료의 밀도변화에 따른 실시간 투수계수 측정장치는 시료의 밀도가 실시간으로 변화할 때 이를 감안하여 투수계수를 측정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측정장치는 내부의 중공에 시료가 채워지며 양측이 개구되어 있는 튜브부재 및 상기 튜브부재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시료를 가압하는 한 쌍의 가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낙석 발생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경사면에 위치한 암반블럭에 설치되는 응력검출센서로서, 상기 암반블럭의 무게에 의한 응력검출센서의 미세변위를 측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응력검출센서, 및 상기 응력검출센서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상기 미세변위를 이용하여 상기 암반블럭에 가해지는 전단응력(shearing stress)을 연산하여 상기 암반블럭의 낙석 가능성을 예측하는 낙석 모니터링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지중 설치형 미소지진센서의 재사용을 위한 센서고정장치는, 시추공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되며, 미소지진음를 감지하는 센서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일 표면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에 연결되며, 상기 시추공에 주입되는 그라우팅재에 고정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1고정부와 상기 제2고정부 사이에 구비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1고정부와 제2고정부를 분리할 수 있게 구성된 분리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박테리아를 이용한 덮개암 투수성 저감방법은, 저류층(reservoir rock) 및 상기 저류층 상부에 위치하는 덮개층(cap rock)을 갖는 대상 지층에 접근할 수 있도록 심정을 시추하는 단계; 상기 덮개층에 상기 심정을 통하여 박테리아를 운반수와 함께 주입시키는 단계; 상기 박테리아를 배양시켜 상기 덮개층의 표면에 포함된 공극을 밀봉시킨 바이오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저류층에 저장용 매체를 주입하여 저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