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발명은 철도 차량의 윤축자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동 가능한 지지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탑재되어 철도 차량의 대차를 승강시키는 승강 모듈과,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탑재되어 상기 철도 차량의 윤축을 초음파로 탐상하는 초음파 탐상 모듈과, 상기 지지 프레임 상에 탑재되어 상기 윤축의 차륜을 탐상하는 탐상 모듈과, 상기 승강 모듈, 초음파 탐상 모듈, 탐상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반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에 수동으로 진행되던 철도 차량의 윤축 검사를 자동화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철보수용 모터카의 지붕에 설치된 팬터그래프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팬터그래프를 고정하는 팬터그래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팬터그래프 고정장치는 전철보수용 모터카의 지붕에 설치된 팬터그래프의 펼쳐짐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하는 팬터그래프 고정장치로서,상기 팬터그래프의 링크연결핀에 걸쳐지는 걸림고리부를 포함하는 걸림부재, 상기 지붕의 상부에서 상기 걸림부재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에서 회전된 상기 걸림부재를 상기 팬터그래프의 링크연결핀에 걸쳐지도록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걸림부재가 회전시키는 형태로 팬터그래프를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팬터그래프를 고정 또는 해제할 수 있으며, 시야확보가 곤란한 야간시간대 및 우천시 작업대 밖으로 나가 작업 중 장비에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윤활성능이 향상된 도시철도차량 차축베어링용 케이지는 링부와, 창살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부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로 구비되며; 상기 창살은 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양단부는 상기 링부에 연결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이웃하는 창살 사이에는 포켓부가 형성되며; 상기 링부에는 축 방향 외측으로 제1 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창살에는 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2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성능이 향상된 도시철도차량 차축베어링용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돌기가 구비된 도시철도차량 차축베어링용 케이지는 링부와 창살로 이루어지며; 상기 링부는 링 형상으로 구비되며, 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창살은 상기 링부의 사이에서 양단부가 링부에 연결 구비되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포켓부를 형성하며; 상기 창살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기부는 반경 방향 내향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기가 구비된 도시철도차량 차축베어링용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 몸체와 대차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안티롤바 장치(anti-roll bar assembly)를 구성하고 있는 로드(rod)의 상하부에 결합되는 탄소섬유 적층 복합재를 사용한 고탄성 너클에 있어서, 속이 빈 원뿔대형상이고, 원뿔대의 밑면이 개구되는 외곽부, 상기 외곽부의 윗면에서 밑면방향으로 원기둥모양으로 돌출형성된 중심축 및 상기 중심축의 중앙에 관통형성된 결합구를 포함하는 보강체를 포함하되, 상기 보강체 한 쌍이 각각의 상기 중심축이 연결되도록 마주보게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보강부, 링 형태로, 상기 중심축을 감싸는 형태로 삽입되는 완충고무, 상기 보강부와 중심축이 동일하고, 상기 보강부 및 상기 완충고무를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는 원기둥 형태의 외부구조체 및 상기 결합구에 끼움결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도 차량의 전두부 작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철로와 평행하게 구비된 수평이송레일, 수평이송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수평이송부, 수평이송부를 이동시키는 수평구동부, 수평이송부에 수직하게 구비되되 축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선회체, 선회체에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선회체와 함께 일체로 선회하여 철도 차량의 전두부에 접근하는 작업대를 포함하여, 철도 차량의 전두부에 최대로 근접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작업자가 작업대 위에서 간편하게 작업위치를 조정하여 작업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열차용 좌석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객실의 길이 방향을 따라 좌석의 이동 및 고정을 위한 잠금 수단을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일부 또는 전체 좌석을 전, 후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시 넓은 공간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청결한 객실 환경을 이루도록 하는 공간활용 기능을 갖는 열차용 좌석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좌, 우 한 쌍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열차 탑승객이 앉을 수 있는 각 시트 부재가 결합 되고 하부에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와 결합을 위한 결합부를 형성하고 열차의 객실 바닥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측면에 잠금 홈이 형성되는 레일과, 상기 슬라이더와 레일을 통해 결합 되어 슬라이더를 고정하거나 이동 가능하도록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잠금 수단을 포함하는 열차용 좌석에 있어서, 상기 잠금 수단은 슬라이더를 통해 횡 방향(수평)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제1 기어를 갖는 제1 회전축과, 상기 제1 기어와 결합 되는 제2 기어를 갖고 종 방향(수직)으로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제2 회전축과 상기 제2 회전축의 하단에 결합 되어 회전동작에 연동하여 좁은 폭을 형성하거나 넓은 폭을 형성하는 캠 형태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양 측면 중앙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 외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레일의 잠금 홈과 결합 되거나 분리되면서 슬라이더를 고정하거나 고정을 해제시키는 잠금 돌기와 상기 회전체의 외 측면과 상기 슬라이더의 내 측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잠금 돌기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부하의 흡상 전류를 이용한 고장 분석 방법은 변전소와 급전 구분소 사이의 급전구간에 운행되는 상행 또는 하행의 시험 전기차가 미리 설정된 트립 시험 지점을 통과할 때 변전소에 구비된 고장점 표정장치에 임의의 동작 전원이 인가됨으로써 트립 시험이 시행되고, 이어서, 변전소로 흡상되는 전기차의 부하전류를 이용하여 흡상 전류비와 변전소간 거리 비가 산출됨에 따른 고장점 데이터가 수집되고, 이어서, 수집된 고장점 데이터 중 미리 정한 판정 기준에 만족되는 샘플데이터가 추출되고, 이어서, 추출된 샘플데이터와 실제 지락시험에 의한 고장점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장점 표정장치의 보정계수를 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차 운행 중에 변전소로 흡상되는 부하전류를 이용하여 복수의 고장점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산출함으로써 강제 지락 시험의 부담을 제거하고, 고장점에 대한 복수의 시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어 표정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강제 지락 시험에 따른 대전류에 의한 설비손상, 통신유도, 접지 전위 상승 등의 부작용이 제거되고, 최적의 보정계수 산정에 따른 고장점 표정장치의 표정 오차 축소로 신속한 복구 및 유지보수를 할 수 있어 열차의 정시운행 확보와 설비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KTX열차의 동력전달장치의 일 구성품인 트리포트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을 용이하게 분해 및 조립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부에 다수의 작업대 다리(110)가 구비되는 작업대(100); 상기 작업대(100) 상에 고정 설치되며, 상면에 상기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10)이 위치하는 받침대(200); 상기 받침대(200) 양측에 높이방향으로 소정 높이 형성되는 제1 및 제2 지지대(300, 400); 상기 제2 지지대(400)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10)을 상기 제1 지지대(300)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수단(500); 상기 제1 지지대(300)의 하부에 상기 가압수단(500)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압수단(500)에 의해 가압되는 상기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10)을 지지하는 지지수단(600); 상기 받침대(200)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지지대(300, 400)를 연결하는 수평 가이드(700); 및 하단이 상기 트리포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10)과 결합되며, 상단이 인양장치에 체결되어 인양되고, 상기 트리프드 저어널 크로스 베어링(10)을 상기 받침대(200) 상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수평 가이드(700) 상에 위치되는 인양지그(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철도차량의 모터 감속기에 설치된 베어링을 분해하는 베어링 분해 지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도차량의 모터 감속기 베어링 분해 지그는 철도차량의 모터 감속기에 설치된 베어링을 분해하는 철도차량의 모터 감속기 베어링 분해 지그에 있어서, 중앙에 관통되어 형성되는 암관통공과, 상기 암관통공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는 슬라이딩공을 포함하는 가이드원판, 상기 가이드원판에서 상기 슬라이딩공이 형성된 부분에 각각 위치되고,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공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기 베어링의 내륜에 지지되거나 상기 내륜에서 이격되며, 상기 내륜에 지지된 상태에서 내륜의 하단 둘레에 걸쳐지도록 하단 둘레에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분할조, 상기 복수 개의 분할조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복수 개의 분할조의 사이를 넓히거나 좁히는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면적을 갖는 가이드블럭과, 상기 가이드블럭의 중앙에서 상기 암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원판의 외부로 돌출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암부를 포함하는 가이드암, 상기 가이드원판에서 돌출된 상기 암부의 부분에 나사체결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가이드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형태로 상기 가이드블럭에 의해 상기 분할조의 사이를 벌리거나 좁히는 작동너트, 및 상기 슬라이딩공을 관통하여 상기 분할조에 체결되는 형태로 상기 분할조를 상기 가이드원판에 고정시키는 연결볼트를 포함한다. 따라서, 정비시간을 단축시키며, 분해 지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젤기관차 엔진 회전수 검사장치는, 보조발전기, 상기 보조발전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보조발전기로부터 입력되는 교류신호와 이를 정류한 직류전원을 출력하는 VR모듈, 및 엔진 회전수를 조절하는 전자변 A, B, C, D를 포함하고 스로틀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조속기를 포함하는 디젤기관차 엔진의 회전수 검사장치로서, 상기 VR모듈로부터 출력되는 교류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여 정제된 교류신호를 출력하는 노이즈 필터부; 상기 노이즈 필터부에서 출력된 상기 정제된 교류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하는 주파수 측정부; 상기 주파수 측정부에서 측정된 주파수를 입력받아 엔진의 회전수를 연산하며, 상기 조속기에서 출력되는 상기 스로틀 위치신호를 입력받고, 상기 스로틀 위치신호로 지시되는 미리 결정된 회전수 범위와 상기 연산된 엔진 회전수를 비교하여, 상기 연산된 엔진 회전수가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수 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회전수 검사를 수행하는 연산부: 상기 연산부와 연결되며, 상기 연산된 엔진 회전수, 상기 스로틀 위치신호, 상기 미리 결정된 회전수 범위 및 상기 회전수 검사의 결과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DC/DC 컨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VR모듈로부터 공급받은 직류전원을 상기 DC/DC 컨버터를 통하여 전압을 변경하여 출력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경험 최적화된 디지털 빅데이터 운영기반의 열차 자율운전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열차를 운영하는 경험적 데이터를 디지털화하여 열차번호와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패턴을 생성하여 열차의 자율주행을 수행하는 경험 최적화된 디지털 빅데이터 운영기반의 열차 자율운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컬러패턴 인식을 이용한 열차 미세정차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ID 태그를 감지하는 RFID 태그 리더부, 역사에 설치된 마지막 RFID 태그를 지나갈 때 작동을 시작하고 역사 내의 승강장에 설치된 RGB 컬러패턴을 감지하는 컬러센서부, 상기 컬러센서부로부터 RGB 컬러패턴의 감지 정보를 수신하고, 열차의 정위치 정차를 위하여 열차 제어를 수행하는 정위치정차 마이크로 컴퓨터 유니트, 및 상기 정위치정차 마이크로 컴퓨터 유니트의 제어에 따라 열차의 가속, 감속 및 제동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미세제어를 실행하는 열차구동 미세제어 실행부를 포함하는, 컬러패턴 인식을 이용한 열차 미세정차 제어장치를 제공한다.